김홍진 교수. |
역사 해석이나 기술은 권력의지를 반영한다. 돌이키면 이명박 정권은 역사 교과서에서 민주주의란 단어를 자유민주주의로 수정하고는 교과서 여러 곳을 자신들 입맛대로 뜯어고쳤고, 박근혜 정권은 수능에서 한국사를 필수과목으로 지정하고는 아예 뉴라이트 계열 필진을 동원한 한국사 교과서를 검정에 통과시켰다. 결은 좀 다르지만, 문재인 정권은 집권하자마자 영호남 벽을 허물 수 있다는 이유로 고대 가야사 연구와 복원 사업을 국정과제에 포함하려 했다. 최근 홍범도 흉상 철거나 이승만 기념관 건립 등을 위시한 논란들도 같은 맥락이다.
이승만 전 대통령 전기를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 '건국전쟁'이 17일 기준 누적 관객 116만 명을 돌파했다. 언론 시사회 같은 홍보를 생략하고 개봉한 이 영화의 존재감은 처음엔 미미했다. 하지만 유력한 정치권 인사들의 관람 후기가 매체에 잇따르고, "역사를 올바르게 알 수 있는 기회"라는 대통령의 언급 등을 포함한 이런저런 사회 분위기와 여파에 힘입어 관람 행렬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는 모양이다.
단체 관람 위주의 모객 행위는 드물지 않다. 하지만 이 영화 공동 제작사의 관람료 페이백 이나 어느 회사의 영화관람 직원 5만 원 지원 이벤트 등은 '건국전쟁'이 전달하려는 메시지만큼이나 노골적이다. 권터 안더스의 말대로 사실은 만들어지는 것이다. 다큐멘터리가 사실의 기록이라는 건 순진한 생각이다. 정도의 차이만 있을 뿐 사실 모든 다큐멘터리는 연출 없는 기록이라는 문법 규약을 따르는 척하면서 또 다른 사실을 의도적으로 은폐한다. 다큐멘터리를 표방한 이 영화는 해방과 한국 전쟁 후 건국 과정에서 이승만 전 대통령의 업적을 보여주려 애쓴다. 하지만 그것을 드러내려는 의도가 강하면 강할수록 결국 사실을 왜곡할 수 있다는 사실을 망각하고 있다.
허구와 마찬가지로 다큐멘터리 역시 편집을 통해 전달할 메시지를 극화한다. '워낭소리'에서 일찌감치 경험했듯 다큐멘터리는 사실의 기록이란 서사 규약을 따르는 것 같지만 메시지 전달 효과를 위해 어떤 식으로든 감독의 의식이 개입할 수밖에 없다. 그럼으로써 이승만 정권의 독재와 부정의 흔적은 말끔히 표백된다. 사실을 보여주는 게 다큐멘터리라지만, 역설적으로 이 만큼 사실과 진실에서 멀어질 수 있는 양식도 없다. 특정 이념과 분위기를 확산하려는 강렬한 목적의식으로 인해 '건국전쟁'은 다 멘터리가 내포하는 위험성에 대한 반성과 고민의 흔적이 없다. 의심의 여지 없이 확신에 찬 믿음과 의도는 투명하며 노골적이다.
'건국전쟁'은 부정성과 비동일성은 누락하고 긍정성과 동일성만 전경화한 채 영화의 목적과 의도를 직설적으로 노출한다. 그럼으로써 관객의 정치적 신념과 이념적 나르시시즘을 더욱 강화한다. 이 다큐멘터리의 의도는 관객들에게 거울처럼 반사되어 자동강박적으로 자기 확신을 강화해 준다. 이즈음 노무현, 문재인, 김대중, 이승만, 박정희 등 근현대사 실존 인물을 호명 한 다큐멘터리들이 넘쳐난다. 이들은 너나 할 것 없이 모두 프로파간다의 위험성을 내포하며, 극단적 진영논리를 환기한다. 가수 김흥국은 '건국전쟁'의 감동에 고무되어 박정희 전 대통령 내외의 삶을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 제작을 결심했다지만, 노출이 포르노그래피적으로 지속되면 상상이 파괴된다. 그 결과 역설적으로 아무것도 볼 게 없어진다.
김홍진 한남대 국어국문 창작학과 교수&문학평론가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