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화준 원장(민들레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 |
예상하다시피 저개발국가의 공공보건의료 시설들은 대부분 낙후한 상태였고, 때로는 제대로 기능을 할까 의문을 가지기도 했다. 하지만 그렇다고 배울 것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었다. 파라과이 보건소에 가면 늘 벽에 붙어 있는 인상적인 그림이 있다. 보건소의 사정에 따라 칠판에 그려진 경우도 있고, 하얀 백지 위에 그려진 경우도 있었다. 도구나 매체는 달라도 내용은 동일하다. 보건소 관할구역의 지도이다.
컴퓨터 그래픽으로 깔끔하게 출력된 것도 아니고 손수 손으로 직접 그린 지도로, 해당 동네의 가구들과 거리가 개략적으로 그려져 있다. 그리고 특정 가구에는 체크 표시가 되어 있는데 다름이 아니라 고혈압, 당뇨, 장애, 임산부 등이 있다는 것을 알려주는 것이다. 한마디로 동네에서 그들이 돌봐야 할 대상자들을 나름이 방식으로 시각화 한 것이다. 솔직히 신선하고 인상적이었다.
이제 시공을 초월하여 우리나라로 돌아와 보자. 필자가 일하는 의원의 경우에는 지역의 노인과 장애인들을 대상으로 방문진료를 실시하고 있다. 굳이 이런 말을 꺼내는 이유는 그나마 지역에 대해서 다른 일반적인 1차 의료기관(동네의원)보다는 지역을 좀 더 파악하고 있다는 이야기다. 그렇지만 대상자가 아닌 가구에 대한 정보는 없다.
의원이 위치하고 있는 동네의 주민과 환자들이 어디에서, 어떤 환경으로 살아가는지, 그들이 어떤 신체적 고통이 있는지, 어떤 질환을 가지고 있는지 모른다. 비단 이것은 필자가 일하고 있는 의원만의 문제는 아니다. 방문진료를 하지 않는 대부분의 동네 의원은 그 지역에서 10년을, 20년을 자리를 지켰더라도, 대략의 경험과 감으로는 추측할 수는 있어도, 환자들이 진료실 문을 열고 들어오지 않는 이상 알 방법이 없다. 결국 환자들이 불편함을 가지고 스스로 찾아와야 원인을 파악하고 치료를 시작한다. 즉, 그 지역에 자리잡고 있지만 그 동네를 잘 모른다는 것이다.
질병의 양상이 많이 바뀌었다. 이전에는 급성기 질환이 중심이었다. 질병이 생기면 그것을 치료하거나 관리하는 것이 의료의 주요한 역할이었다. 하지만 인구구조가 바뀌면서 변하기 시작했다. 최근 통계청이 발표한 <2023 고령자 통계>에 따르면, 2023년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전체 인구의 18.4%에 해당하고, 2025년이면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전망이라고 한다. 즉, 이제는 의료라는 것이 단순히 치료나 관리 단계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다. 노년 계층이 건강한 삶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치료 뿐만 아니라 밀착하여 개입하고, 돌보는 것이 의료의 주요한 목적이 되었다. 노화 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가 필요하고, 질병의 개수를 줄여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이 중요한 일이 되었다.
이런 상황에서 이전처럼 진료실에서 환자를 기다리는 의료가 제대로 된 역할을 할 수 있을까? 진료실을 벗어나 해당 지역 골목으로 들어가 누가 어떻게 사는지에 대한 기본적인 질문을 시작해야 하지 않을까? 그래야 누가 아픈지, 무엇이 불편한지, 어떤 것을 필요로 하는지 파악하고 대처할 수 있을 것이다. 이제는 병원 진료실이 아니라 지역사회 전체가 하나의 커다란 의료공간이 되었다.
보건의료 종사자들이 과감하게 진료실 문을 벗어나 동네의 골목으로 갈 필요가 있다. 그리고 우리도 파라과이 보건소처럼 지도를 그려야 할 것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