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기업 성장 마중물 '돈'을 확보하자

  • 정치/행정
  • 대전

[기획]기업 성장 마중물 '돈'을 확보하자

대전시, 투자금융과 기업금융중심은행 설립 주력
신기술력 갖춘 대전 지역 기업들에게 자양분

  • 승인 2024-03-19 17:13
  • 신문게재 2024-03-20 11면
  • 이상문 기자이상문 기자
638742_969950_1343
대전시는 지난해 12월 12일 DCC에서 기술보증기금과 '대전 창업벤처투자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사진제공은 대전시
기업이 성장하기 위해서는 적재적소에 투자가 중요하다. 서울이나 수도권에 기업이 몰리는 이유 중 하나도 '돈(투자)'이 몰려 있기 때문이다.

대전시는 지역경제 활성화의 마중물이 될 대전투자금융㈜(대전투자청) 설립에 나서고 있다. 대전투자금융㈜는 자본금 500억원, 3000억원 펀드 조성을 목표로 대전시 산하기관으로 올해 7월 설립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전국 최초 지자체가 직접 출자하는 방식이다. 대전시는 2022년 대전투자청 설립 추진 방안을 발표하고, 지난해 2월부터 '대전에 본사를 둔 기업금융 중심 은행'과 '대전투자금융㈜' 설립 방안 연구용역을 진행했다. 대전투자금융㈜ 설립이 행정안전부의 최종 승인만 남겨둔 상태로 조만간 승인을 받으면 조례제정, 법인설립, 신기사 등록 등 행정절차를 거쳐 7월 개소를 할 예정이다. 대전투자금융㈜은 금융위원회가 허가해주는 신기술금융사이자 벤처캐피털이다. 신기술금융사는 신기술을 개발하거나 이를 활용하는 사업자에게 투자·융자 등을 하는 금융회사를 말한다. 또한 벤처캐피털은 기술력과 장래성은 있으나, 경영기반이 약해 일반 금융기관으로부터 융자받기 어려운 벤처기업에 무담보 주식투자 형태로 투자하는 기업을 뜻한다. 이 같은 성격을 가진 대전투자금융㈜은 공공의 자금 투입 뿐만 아니라 민간 은행으로부터도 출자를 받아 유망한 기업을 선별해 효과적인 투자를 할 수 있다. 대전시는 기업금융중심은행 설립도 추진 중이다. 기업금융중심은행은 인터넷전문은행에 기반을 둔 기업금융특화 모델을 지향한다. 투자 관련 특화은행을 설립해 기존 은행과는 차별화된 기업금융 혁신모델을 실현하는 것이 목표로, 벤처기업에 대한 투자를 목적으로 설립한다. 시중은행과 같이 예금 업무도 병행하지만, 비중은 최소한으로 축소한다. 지역 핵심 전략산업군 집중 투자·육성을 위한 지역 산업은행 역할을 하게 된다. 정책자금을 기반으로 한 벤처·스타트업 투자 특화 전문은행이다. 시는 2022년 7월 설립 추진위원회를 출범하고 출자 참여 요청 등 은행 설립을 위한 준비 단계에 있다. 은행 설립을 위한 관련법이 지난해 10월 발의 됐지만, 현재는 국회 문턱을 넘지 못하고 있다. 앞으로 시는 출자자 구성과 관련법 개정, 금융당국 협의 등을 지속해 2027년 은행 영업을 개시한다는 계획이다.

대전시 관계자는 "스타트업이나 벤처기업 등 기술력을 갖춘 역량 있는 기업들이 성장하기 위해서는 '투자'시장 확보가 중요하다"면서 "민간(VC/AC 등)과 공공(대전투자금융㈜ 등)을 연계해 신설은행 중심으로 벤처 금융클러스터를 조성해 지역의 기업들이 성장할 수 있도록 돕겠다"고 말했다.
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아산시, '신정호정원' 본격 개방
  2. 이재명 "일단 용산 다음은 靑…" 발언에 충청반응 싸늘
  3. 소진공-카카오, 지역 상권 디지털전환 지원사업 업무협약
  4. '제3회 충남도지사배 3쿠션 토너먼트 전국대회' 천안서 성황리 개최
  5. 민주 대권주자 최대승부처 충청서 "세종시대" 합창…각론선 신경전
  1. 아산축협, '사랑의 아산맑은 축산물 나눔행사' 펼쳐
  2. 코닝정밀소재(주), 취약계층 중-고생에 장학금 기탁
  3. 아산시먹거리통합지원센터, "학교급식을 더 안전하게" , 위생점검 실시
  4. 이재명 "충청을 대한민국 성장의 중심으로…세종은 행정수도 완성"
  5. 아산시 인주면행복키움, "어르신 생신 축하드려요"

헤드라인 뉴스


빨라지는 6·3대선시계…정권 교체 vs 재창출 대충돌

빨라지는 6·3대선시계…정권 교체 vs 재창출 대충돌

21대 대통령을 선출하는 6·3 조기대선 시계가 점점 빨라지고 있다. 정권 재창출에 나선 국민의힘은 본격적인 경선 일정에 돌입하는 가운데 충청권 '배지'들도 당내 각 대선 주자들과의 이합집산이 활발해 지고 있다. 정권 탈환을 노리는 더불어민주당의 경우 대선 승리를 위해선 반드시 이겨야 하는 충청권 공략을 마친 뒤 영남을 거쳐 호남과 수도권 등으로 컨벤션 효과 극대화에 나서고 있다. 국민의힘의 경우 경선 일정이 본궤도에 오르면서 대선링이 뜨거워 지고 있다. 19~20일 진행된 첫 토론회에서 대선 경선 후보자들은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이재명 충청·영남 경선 2연승…대세론 굳혀
이재명 충청·영남 경선 2연승…대세론 굳혀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에서 이재명 후보가 충청권과 영남권 경선에서 잇따라 압승했다. 이 후보는 전통적 캐스팅보트로 최대승부처였던 충청에 이어 당의 험지인 영남에서 파죽의 2연승으로 순회경선 반환점을 지나면서 대세론을 탄탄히 했다는 평가다. 20일 울산전시컨벤션센터(UECO)에서열린 영남 경선에서 이재명 후보는 90.81%, 김동연 후보 3.26%, 김경수 후보 5.93% 각각 차지했다. 이재명 후보는 20일 영남 경선 합동연설회에서 "이번 대선은 단순한 정권 교체를 넘어 대한민국의 국운이 걸린 절체절명의 선택"이라며 "무너진 민생과..

대전 외식비 인상세 지속... 비빔밥·자장면 등 상승
대전 외식비 인상세 지속... 비빔밥·자장면 등 상승

대전 김치찌개 백반이 전국 최고가를 유지하는 가운데 비빔밥과 자장면 등의 가격이 인상세가 지속되며 지역민들의 외식비 부담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1만원 한 장으로 점심때 고를 수 있는 메뉴가 점차 줄어든다. 20일 한국소비자원 가격종합포털 참가격에 따르면 3월 대전 소비자가 가장 많이 찾는 8개 외식 대표 음식 메뉴 일부가 인상된 것으로 집계됐다. 우선 자장면은 3월 7200원으로 2월(7000원)보다 2.8%(200원)로 상승했고, 비빔밥도 이 기간 1만원에서 1만 100원으로 1% 올랐다. 집계된 금액은 지역 외식비 평균 가격으..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과학을 즐기자’…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 ‘인산인해’ ‘과학을 즐기자’…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 ‘인산인해’

  • 책 읽기 좋은 날 책 읽기 좋은 날

  • ‘가방은 내가 지켜줄께’ ‘가방은 내가 지켜줄께’

  • ‘느려도 괜찮아’, 어린이 거북이 마라톤대회 ‘느려도 괜찮아’, 어린이 거북이 마라톤대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