낯가림은 친숙하고 친숙하지 않음을 가려서 대한다는 말일 게다. 아이가 사물 인식이 시작되면 친숙하지 않은 사람에 대해, 대게 피하거나 울음을 운다. 인지능력 발달에 따른 지극히 정상적인 성장 과정이리라. 자라면서 점점 그 정도가 약해진다. 생각해보니, 성인이 되어도 반응 상태가 달라질 뿐 완전히 사라지지는 않는 것 같다.
다 그러지는 안겠지만, 필자의 경우는 낯선 사람에게 쉽사리 다가서지 못한다. 반대로 부담스러워 하지 않고 쉽게 친숙해지거나 적극적으로 사귀길 좋아하는 사람이 있다. 사교성 또는 사회성이 좋다고 한다. 사교성이라 함은 다름 사람이나 사물, 환경과 상호 작용하는 능력이다. 자연스러운 경우도 있겠지만, 능동적 창의력을 필요로 하기도 한다. 나아가 친화력, 교감 능력이 된다. 일종의 자연친화 지능이다. 공존과 상생을 위한 능력과 노력이 긍정적으로 사회에 나타난다. 때문에 사람을 사회적 동물이라 하지 않겠는가?
사회생활에 꼭 필요한 능력일 게다. 당연히, 양지가 있으면 그늘이 있다. 공생이나 유기적 관계 유지에 도움이 되면 얼마나 좋으랴. 제아무리 좋은 능력도 악의적으로 사용하면 악마로 돌변한다. 집단화하여 얼마든지 공동선을 파괴할 수 있다. 너무도 잘 알지 않은가? 여럿이 하나를 바보로 만들기는 너무도 쉽다. 집단화하여 다른 집단을 와해시키는 것도 다르지 않다. 집단과 집단이 상생을 위한 공기가 되어야지, 서로 죽이기 위한 살생 도구가 되어서야 되겠는가? 살려고 만든 힘이 공멸의 도구가 되어서야 될 일인가? 개인 능력도 동일하다. 나눠주기 위한 것이 되어야지 챙기기 위한 것이 되면, 악의 도구가 되고 만다.
정당이라고 다를 리 없다. 공동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한 것이 될 때 상생하게 된다. 상대의 이상을 짓밟으려 하면 공멸할 것이 자명하다. 정치마당이 자신의 꿈을 펼치기 위한 공생의 장이 되어야 서로 산다. 서로 죽이기 위한 전쟁터가 되면 공멸의 장이 되고 만다. 파괴적 정쟁은 전쟁과 다르지 않아, 파멸, 적어도 서로에게 상처만 남기게 된다. 싸워서 이기고자 하는 쪽보다 서로 보듬어 꿈을 실현하고자 하는 쪽에 투표해야 하는 이유다. 그것이 오른 선택 아니랴.
문제의식이 없으면 변화와 발전이 없다. 의식은 사물에 대한 인식과 느끼고 생각하는 것이다. 불가에서는 고통으로 여겨 비우려 하기도 한다. 필부가 생각하기엔 최소한 또는 원초적 욕망을 제외한 것일게다. 비우겠다는 생각, 노력, 이런 것조차 의식이 아니고 무엇이랴. 지그문트 프로이트가 말한 무의식과는 다른 것이다. 그가 말한 것은 별다른 의지 없이 행동으로 나타나는 것, 잠재의식이다. 의식이 아니라 의지에 가깝다. 의식이 없으면 죽은 것과 다를 바 없다. 죽음 또한 두려워할 필요가 없기에 비울 수도 있겠다 싶기는 하다. 속인이 말하는 의식은 살아있음을 의미한다.
의식의 폭을 넓히는 것이 문제의식이다. 의식의 폭을 넓히지 않는 것 또한 죽음으로 생각한다. 곧 문제의식이 없는 것은 잠든 의식, 죽은 의식이 된다. 문제의식은 변화의 바탕이요 동력이다. 그 방향이 화두가 된다. 긍정적 문제의식, 선의로 작용하길 기대한다. 선거에서 드러나는 마타도어, 거짓은 부정적 문제의식이다. 조직을 붕괴시키는 단초가 된다. 상대 조직뿐이 아니다, 자신의 조직도 붕괴 되는 것이다. 우리에게 의식이 있다면 긍정적 변화를 도모해야 되지 않으랴?
긍정적 문제의식으로 바른 사회성에 투표하고 싶다.
양동길/시인, 수필가
양동길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