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승훈 한국기계연구원 기계정책센터장 |
18세기 중반 제조업의 본격화를 알렸던 산업혁명도 1760년부터 1820년까지 60년에 걸쳐서 본 궤도에 올랐다. 수송혁명이 있었던 1880년대를 살펴보아도 본격화까지 수십 년이 걸렸다. 1880년대 후반 칼 벤츠가 최고속도 20㎞/h 정도인 최초의 자동차를 개발한 이후 약 30년 후인 1911년, 포드(Ford)사는 최고속도 70㎞/h급의 대량생산 체제를 갖춘 자동차 공장을 구축했다. 이후 100여 년이 흘러 현재는 400㎞/h를 넘어섰으며, 내연기관에서 배터리 기반의 자동차도 확산되고 있다. 혁명의 시기에는 안정화와 본격화까지 수십 년이 걸린다.
최근 새로운 혁명으로 불리고 있는 디지털 전환은 기존의 기술과 디지털화를 융합해 새로운 서비스, 프로세스 등을 만들어 낼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인공지능(AI)을 결합한 자동화의 증가, 빅데이터와 분석의 활용을 통한 새로운 산업군 형성이 예측된다. 이러한 대전환에 맞춰 기존 제조 기술과 디지털 전환을 연결해 줄 수 있는 경로 기술이 필요한 동시에 기술변화에 대한 적응력과 초격차 기술 차를 유지할 수 있는 다방면적인 협력도 준비해야 한다.
2016년 세계경제포럼(WEF)에서 '4차 산업혁명의 이해'라는 주제로 4차 산업혁명, 디지털 전환 시대를 알린 후 10년도 채 지나지 않았다. 위 설명에 덧붙여 구체적인 사례를 보면 선도국 일부 지역에서는 자율주행차, 무인 로봇 택시가 상용화됐고 LG전자도 스마트팩토리를 주력 산업의 하나로 내세우며, 2030년까지 매출 100조 원 기업으로 도약하겠다는 비전을 발표했다. 최근 몇 년 사이 Chat GPT, Claude 3 등 인공지능 언어모델이 다시 진화하기 시작했고 이는 기계, 로봇, 사람 간의 강력한 인터페이스로 응용 기술이 여러 산업 분야에 확산되고 있다. 구글의 헬퍼 로봇, 테슬라 옵티머스 등 로봇 산업의 미래를 상상할 수 있는 다양한 로봇들도 선보이고 있다. 아직은 Pilot 규모의 다양한 디지털 신산업, 신기술들이 선보이는 수준이지만, 지금도 최고 속도 20㎞/h 단계다. 다시 10년 정도 지나면 최고속도 70㎞/h 단계가 될 것이고, 반세기 정도 지나면 200㎞/h, 400㎞/h 수준의 디지털 전환 시대가 궤도에 오를 것이다.
이렇듯 시대의 대전환 초입에 서 있는 작금의 시대에 내수시장도 작은 우리나라가 디지털 전환 주도권을 잡을 수 있는 거의 유일한 방법은 협력이다. 치열한 경쟁에서 성장해 온 한계를 넘어 이종 기업, 동종 기업과 지속 협력해야만 살아남는다. 예를 들어, 특정 품목 관련 주요 데이터를 축적해도 다양한 기업들이 느슨한 규격을 만들어서 축적하도록 함께 기획하고, 고민한다면 수년의 기간이 단축될 수 있다. 다양한 산업 분야의 세부 플랫폼은 협력 없이는 실기한다. 이러한 산업 플랫폼 협력에 기업 간의 이해관계가 없는 국가 연구기관들이 조성자, 촉진자 역할을 적극 수행해야 한다. 부문별 공공재로서의 디지털 전환 기술 관련 플랫폼을 기업들과 함께 고민하고 다양하게 활용할 아이디어는 지금 찾아도 아직은 늦지 않았다. 과거 독일 암베르크 공장처럼 세계적인 Best Practice를 우리나라도 5년 내에 1개라도 구축해 전 세계에서 벤치마킹이 쇄도한다면 성공이다.
현재는 최고속도 20㎞/h인 자동차가 달리고 있을 뿐이다. 아무리 디지털, AI 결합을 외쳐도 부족함이 없다. 지금의 디지털 전환기는 미래 신산업, 신기술 주도권 확보의 전쟁터이다. 식상함이 생존에 대한 인식으로 바뀌어 그 식상함을 넘어설 때, 우리나라는 디지털 전환 부문의 초격차 기술을 확보하고 있을 것이라 믿는다. 오승훈 한국기계연구원 기계정책센터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