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홍철 국립한밭대 명예총장 |
마지막으로 대학 신입생들에게 행복의 참의미를 설명해 줬습니다. 그동안 여러 곳에서 행복에 대해 강의를 한 바 있지만 특히 대학 신입생들에게 행복에 대해 가지고 있는 고정관념을 바꿔주고 싶었습니다.
평소에도 행복학 강의에서 주장하지만, 행복은 '돈과 사회적 지위가 아니다'라는 점과, 행복은 '타인과 비교하거나 타인을 의식하는 것이 아니다'라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전통경제학에서는 소득 증가는 행복 증진과 비례한다고 주장해 왔지요. 그러나, 미국의 경제사학자 리처드 이스털린은 '이스털린의 역설'이라는 주장을 통해서, 일정 소득 이상 증가하면 돈과 행복은 상관관계가 없다고 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월 소득 4~500만 원 정도가 넘으면 소득과 행복이 상관관계가 없다는 것입니다. 쇼펜하우어도 비슷한 말을 하였지요. 그는 "돈은 바닷물과 같다. 마시면 마실수록 목이 마르다"고 말하면서 돈은 결국 자신의 그릇만큼만 가져야 행복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고 했습니다. 자신의 그릇보다 많은 돈을 가지면 쾌락을 좇게 되고 금방 재산을 탕진할 수밖에 없습니다. 이런 사람들은 부를 가진 후에도 시간을 계획적으로 쓰지 못하고 사치를 통해 남에게 과시하거나 낭비하고 맙니다. (쇼펜하우어, '쇼펜하우어의 인생 수업' 참조) 그뿐만 아니라 잘 사는 나라 국민이 못 사는 나라 국민보다 행복도가 높지 않은 것도 이와 관련이 있습니다.
행복과 권력도 상관관계가 성립하지 않습니다. 세계를 정복했던 나폴레옹은 "내가 진정으로 행복했던 날은 일주일도 되지 않는다"고 했고, 3중의 장애로 극심한 불편을 겪었던 헬렌 켈러는 "행복하지 않았던 날은 단 하루도 없었다"고 말하였지요. 환경적으로 극과 극에 있었지만 행복에 대한 만족도는 전혀 달랐습니다. 이렇게 돈과 권력, 또는 사회적 지위는 욕망을 억제하기 전까지는 끝이 없습니다.
그리고 타인과 비교하면 질투심이 생기며, 타인을 의식하는 삶은 자기 삶이 아니라고 했습니다. 예를 들어 부모들이 자식의 진학과 직업 선택을 할 때 타인을 의식하는 경향이 많이 있습니다. 많은 부모가 이른바 일류 대학 진학에 집착하여 아이들을 여러 학원으로 내몰며 혹사시킵니다. 이것은 자식들의 적성과 희망, 그리고 자식의 행복을 고려한다기보다는 부모 자신의 만족이나 타인을 의식하는 것이지요. "누구 아들은 어느 대학에 들어갔어", "누구 딸은 대기업에 들어갔대"라는 타인의 평가를 의식합니다. 이것은 자식의 행복을 우선으로 고려하는 것이 아니지요.
행복은 사소하고 단순한 것에서 찾아오며 외부에 있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마음속에 있습니다. 그래서 작은 행복을 자주 느껴야 하지요. 따라서 행복은 '즐거움의 강도가 아니라 빈도'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진짜 행복한 사람은 작은 것을 자주, 그리고 오래 느껴야 합니다. 소설 '그리스인 조르바'에서의 주인공 조르바는 행복을 이렇게 정의했습니다. "와인 한 잔, 빵 한 조각, 허름한 화덕, 그리고 멀리서 들려오는 바닷소리"라고요. 대학 신입생도 누구나 일상에서 '소확행(소소하지만 확실한 행복)'을 실천할 수 있습니다.
염홍철 국립한밭대 명예총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