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전 한남대 명예교수.연출가 |
왜 그럴까? 음악의 힘은 원초적이다. 그리스 신화 속 오르페우스는 노래로 사람들의 혼을 빼앗았을 뿐 아니라, 사나운 맹수들을 온순케하고, 우거진 나무숲이 노래를 듣기 위해 한쪽으로 쏠리게 하였으며, 바위들이 눈물을 흘리게 하였다. 그는 뱀에 물려 죽은 애인 에우리디케를 살리려 죽음의 스틱스강을 지키는 뱃사공 카론을 리라 연주로 잠재우고 도강(渡江)하여 죽음의 신 하데스를 만나 설득한다. 설득 논리는 애인이 없으면 자신이 노래를 부를 수 없고 그러면 온 세상이 즐거움을 잃고 말 것이기 때문에 애인의 환생이 절대 필요하다는 것이었다. 설득에 성공하여 애인을 데리고 삶의 세계로 앞서 거의 왔지만 되돌아보지 말라는 지침 위반으로 애인의 환생은 무위가 되고 만다. 그 후 그는 늘 슬픔을 노래하는 바람에 행복과 흥, 위안의 노래를 들으려 그를 쫓는 여성 광팬 무리인 메나드 무리들의 분노에 온몸이 찢겨 죽고 만다.
이 신화는 죽음을 넘어설 수 있는 노래의 막강한 힘에 대한 고대인들의 믿음을 보여준다. 음악은 어둠과 고통의 시대를 치유하기도 한다. 슈베르트의 「음악에 부쳐」(1817)라는 가곡이 있다. 프랑스 대혁명 시대에 예술인들이 느끼는 시대고(時代苦)는 만만치 않았을 것이다. 봉건체제의 붕괴와 더불어 살벌한 시장에 내팽개쳐진 예술인들 삶도 막막했을 것이다. 시대의 혼란 중에 태어난 슈베르트는 척박한 시대에 가난한 삶을 살다 31살의 어린 나이에 세상을 떴다. 당시 비엔나에서 함께 활동하던 프란츠 쇼버라는 시인이 쓴 가사를 음악에 담았다. "오, 너 고귀한 예술이여, / 험한 삶의 위험들이 나를 옭매던 때 / 오래 동안 사랑의 온기를 내게 불어 넣었고/ 더 좋은 세상으로 날 이끌어주었지 / 너의 하프에서는 자주 성스러운 화음이 숨결로 흘러나왔고/ 내게 더 좋은 시절을 열어 보였지 / 고귀한 예술이여, 고맙고 고맙구나!"
벨기에 영화 감독 꼬르비오는 그의 음악영화 「성악의 대가」에서 요하임이라는 바리톤 가수를 등장시킨다. 그는 어느 날 콘서트가 끝나자 느닷없는 은퇴 선언을 한다. 자신 생명이 곧 끝날 것을 감지했기 때문이다. 여론이 들끓은 것은 물론이다. 그 후 그는 친구 조카딸과 대성 기미가 느껴진 시장 좀도둑을 제자로 삼아 강한 훈련 시켜 상당한 수준에 이르게 한다. 그즈음 젊은 시절 요아힘과 노래 경연을 벌이다 성대 손상을 입어 더 이상 노래를 못 부르게 되었던 재력가 라이벌이 그를 제자와 함께 경연에 초청한다. 요하임은 그 경연이 라이벌이 파놓은 복수의 함정이라는 것을 짐작하면서도 제자들의 앞날을 위해 위험을 감수한다. 제자들에 대한 믿음과 함께. 스승은 경연의 결과를 이미 확신 채 이 집에 돌아와 피아노로 「음악에 부쳐」를 부르며 덮쳐오는 죽음을 맞이한다. 음악이 인간에게 주는 의미가 노래 속에 잔잔히 스며든다.
특정한 시대에 힘을 발휘하는 노래들이 있어왔다. 1980년대 반(反)전두환 군사독재 저항가 「임을 위한 행진곡」, 1970년대 박정희 유신체제의 금지곡 「아침이슬」이 그런 노래일 것이다. 이 노래와 서민의 애환을 담은 뮤지컬 「지하철 1호선」을 선물해주었던 노래 고수 김민기 선생이 병고를 겪고 있다는 소식에 마음이 아린다. / 송 전 한남대 명예교수, 연출가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