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
생각해보면 좀 이상한 일이다. 탄소나 산소를 살아 있다고 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탄소와 수소, 산소와 질소 정도 결합하면 아미노산이 된다. 단백질을 만드는 기본적인 구조이긴 하지만 아미노산을 살아있다 하는 사람은 역시 없을 것이다. 그런데, 이 아미노산이 수도 없이 많이 결합되어 있는 근육은 수축도 하고 이완도 하며 자극에 따라 움직이기 시작한다. 그럼 근육은 살아 있는 것인가? 뇌도 마찬가지다. 탄소, 수소, 산소, 질소와 몇 가지 원자들이 결합하여 뉴런을 만들고, 이들 뉴런들이 수도 없이 많이 결합하면 뇌가 만들어진다. 그럼 어느 순간 전기가 흐르고 정보가 처리되고 기억이 만들어진다. 이제는 살아 있는 것인가? 그럼 어디서부터 살아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인가? 의식(意識)은 언제부터 만들어지는 것일까? 그러다 죽으면 이들 원자들은 흩어져 다시 별도 만들고 해와 달도 만들고 또 다른 사람도 만든다. 태어나고 죽고, 나타나고 없어지고, 바다에서 산이 솟아나고 천지가 개벽하는 변화가 생기지만 원자 입장에서는 그저 여기 붙었다가 저기 붙었다가를 138억 년 전 빅뱅에서부터 지금까지 반복할 뿐이다. 삶과 죽음이란 것은 원래 없던 것인데 원자들이 서로 엉겨 붙어 점점 커지다 보면 어느 순간 심장이 뛰고 기억을 하고 사랑도 하고 삶이 생긴다.
얼마 전, 오픈AI는 인공지능 플랫폼, '소라(Sora)'를 공개해 세상을 놀라게 하고 있다. 컴퓨터에 간단한 문장을 입력하는 것만으로 멋진 동영상을 만들어주는 인공지능 프로그램이다. 몇 마디 말을 입력하면 1분 정도의 동영상을 만들어주는데 그 영상의 질이 놀라울 정도이다. 사람의 말을 완벽히 이해하고 너무나도 자연스러운 영상을 만들어준다. 이 결과물을 보면 앞으로 벌어진 새로운 세상이 어떤 모양일지 기대가 되면서도 두려운 마음이 드는 것도 사실이다. 이세돌과 바둑을 두던 알파고로 인해 세상에 알려진 인공지능은 지금은 기사도 쓰고, 시나 소설도 쓰고, 그림도 그리고. 음악도 만들고, 멋진 동영상도 만들게 되었다. 간단한 그림을 보여주거나 몇 문장의 말을 하면 컴퓨터 프로그램도 짜준다. 우리는 이것들을 인공 '지능'이라 부른다. 단순한 사칙연산 등 계산을 하던 계산기가 아니라 우리가 '뇌'를 써서 하던 '창작'이란 것들을 실리콘이라는 원자가 모여 어떤 구조로 수도 없이 엉겨 붙어 크기가 커지니 전류가 흐르고 말을 알아듣고 '창작'을 하고 있는 것이다. 이것들은 살아 있는 것인가? (인공)뇌를 만들었으니 로봇이라는 (인공)몸체에 이 (인공)뇌를 장착하면 이제 살아 있는 것인가?
사람의 뇌를 이루는 신경세포인 뉴런 하나하나는 그냥 전기신호가 들어오면 다음 뉴런으로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기능을 할 뿐이다. 그 자체에 기억을 하는 기능은 없다. 이 뉴런들이 시냅스라고 불리는 접합지점들을 통해 수도 없이 연결되다 보면 그 전에 없던 기억이라는 능력이 생긴다. 예측할 수 없이 갑자기 생긴 능력, 창발(創發, emergence)이다. 인공지능도 마찬가지다. 최근 인공지능의 능력은 이전에 가능하지 않았던 것들이 갑자기 가능해지기 시작하였다. 계산할 수 있는 능력(매개변수의 수나 학습연산량 등)을 가진 장치들을 더 많이 연결하니 갑자기 불가능하던 것들이 가능해진 것이다. 창발이다. 어떻게 이런 것이 가능해졌는지 아직 아무도 모른다. 다만 다양한 추측만 가능할뿐. 마치 우리의 뇌에서 뉴런이 시냅스로 크게 연결되었을 때 어떻게 기억과 연산이 가능하게 되었는지 모르고 다만 다양한 학설로 추측만 가능하듯이.
인공지능을 장착한 로봇들이 우리와 함께 세상을 살아가면 어떤 현상들이 생길지 궁금하다. 인공지능을 장착한 로봇 1만 대가(1만 명이라 불러야 하나?) 우리와 같이 세상에서 살아간다고 가정하자. 우리는 한 사람이 하루에 하루분의 사건들을 경험하게 된다. 집에 돌아가 가족들과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누면서 다른 사람들이 겪었던 경험들을 간접 경험하게 된다. 그리고 그 간접경험들은 정확하지도 않을뿐더러 약간의 왜곡도 있다. 망각 또한 있다. 하지만 로봇들은 하루를 마친 후 저마다 1만 일의 사건들을 정확하게 경험하게 된다. 저마다 전송해온 전기신호는 오차도 없고 왜곡도 없기 때문이다. 한 사람이 약 27년 동안 겪게 될 경험을 이 로봇은 하루만에 경험하는 것이다. 한 사람이 평생 겪어야 할 경험을 이 로봇은 단 3일이면 경험할 수 있다. 이런 로봇들이 보는 세상의 속도는 어떤 것일까? 이미 세상의 모든 도서관의 책과 과거와 현재의 모든 기사들과 세상 사람들이 SNS에 쓴 그들의 경험과 기억과 감정을 모두 읽어 외우고 '연결'할 수 있는 이들 로봇은 또 어떤 능력을 '창발'해 낼까? 또 이들이 내리는 판단은 어떤 것들일까?
앞으로 닥칠 AI의 발전 속도에 의해 인류는 많은 놀라움과 당혹스러움을 겪게 될 것이다. 직업을 잃거나 새로운 직업에 익숙해지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며 많이 이들이 도태될 것이다. 또한 저작권 문제와 윤리 문제에 최선의 답을 찾아야 할 것이다. 이 과정에서 이들이 내리는 판단과 인간들의 전통적 자본주의와 사회윤리와의 충돌을 조화시켜내야 할 것이다. 수많은 문제들을 준비되지 않은 채 맞닥뜨려야 할 것이다. 하지만 자본주의 경제체제를 유지하고 있는 우리는 자본의 확장을 멈출 수가 없기 때문에 AI의 개발은 결코 멈추거나 늦추어지지 않을 것이다. 우리는 어차피 AI와 함께 남은 삶을 살아가야 한다. 따라서 우리는 우리가 과학과 기술을 완벽히 이해한다는 착각에 빠져 모든 것을 통제할 수 있다는 오만에 빠지는 일을 경계해야 할 것이다. 또한 인간의 삶이 AI 기술에 던져지는 방향 말고, 창발하는 AI 기술이 우리의 삶의 방향으로 접근해오도록 조화와 균형을 맞추어 발전할 수 있도록 하는 현명한 방법을 찾아야 할 것이다. 김성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