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종학 충남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
그래서 매년 이맘때쯤이 대학은 가장 활기차고, 그곳에서 근무하는 교수들도 덩달아 기쁘고 환한 모습을 띠게 된다. 그러나 그 이면에 들어가면 마냥 즐겁고 기쁜 것만은 아니다. 오히려 솔직히 표현하면 기쁨 뒤의 아쉬움이라고 할까, 뭔가 부족한 느낌이 드는 것도 사실이다. 왜 그럴까?
우리는 모든 것이 돈으로 환산되고, 그렇지 못한 것은 무의미하거나 무가치한 것으로 취급되는 사회에 살고 있다. 그리고 이는 물질만능주의라는 그럴듯한 미명하에 지극히 당연한 세상살이 이치로 인식되고 있다. 그 결과 언제부터인지 직업 선택의 순간에도, 학문을 배우려고 오는 대학의 전공을 정할 때도, 심지어는 사랑의 결정체인 결혼에서조차도 수입의 다과가 가장 중요한 결정인자로 자리 잡았다.
그래서인지 속된 말로 돈벌이가 된다는, 그래서 학생들 사이에 인기가 좋다는 학과에 학생들이 몰리고, 그렇지 못한 학과는 폐과의 운명을 벗어나기 어렵게 돼가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사회적 수요 변화를 반영하여 정부와 대학에서는 전공 없이 입학하는 소위 무전공학과 제도의 도입을 고민하는 실정이다.
이러한 세태는 필자가 근무하는 로스쿨에서도 예외가 아니다. 해가 갈수록 법조인이 되기 위한 로스쿨 입학 경쟁률이 치솟고 있을 뿐만 아니라 많은 공무원과 직장인, 주부들이 학원에서, 독서실에서 로스쿨에 들어오기 위한 준비에 몰두하고 있다. 주경야독의 사자성어가 실제 현실에서 일어나고 있는 것이다.
어디 로스쿨뿐일까. 지금은 조금 수그러들었다고 볼 수도 있지만 교사가 되기 위한 교대나 사범대학의 입학경쟁률은 여전히 높고 직업적 인기도 사뭇 낮지 않다. 그리고 최근 입학정원 증대를 둘러싸고 사회문제로까지 공론화된 의대도 또 어떤가? 의대 입학에 유리한 지방으로의 전학이나 대학생의 휴학이나 자퇴, 직장인들의 대학 입시 재도전 움직임도 일부 일고 있다. 이들 모습은 나름 이해되기도 하고 또 바람직한 면이 분명히 있지만, 왠지 속이 시원하지 않고 거북하기도 한 것이 사실이다. 왜일까?
가치가 무시되고 있기 때문이다. 인간이 인간다운 이유 중의 하나가 인간은 단순히 생존하기 위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은 물론 공동체에 바람직하다고 여기는 가치를 추구하는 존재이기에 그렇다. 즉 인간은 가치추구형 존재다. 그렇기에 인간의 삶 속에서 가치를 제한다면, 만물의 영장이자 고귀한 존재인 인간은 그저 단순한 생존형 동물로 전락하고 마는 것이다. 즉 이윤추구도, 황금만능도 중요하지만, 이들을 뛰어넘는 자아실현과 공동체의 공동선을 추구하는 가치 추구가 더해질 때 비로소 인간이 인간답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독일의 법학자이자 사회학자로 우리에게도 잘 알려진 막스 베버가 현대사회에서 이윤추구라는 목적합리적 행위가 갈수록 더욱 중요시되고, 그 결과 가치합리적 행위 없이 목적합리적 행위만으로 합리성이 굴러가는 것을 극도로 경계한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고 볼 수 있다.
교사가 되고, 의료인이 되고, 법조인이 된다는 것은 본인에게도 소중한 일이기도 하고 사회적으로도 필요한 일이기도 하다. 그러나 이들 직업이 단순히 돈이 되기에 좋은 직업이라고만 인식되고, 이들 직업이 갖는 가치를 몰각한다면, 이는 문제도 보통 문제가 아니다.
왜 법조인, 의료인, 교사가 되려고 하는가? 이 물음에 답해야만 한다. 단순 직업의 안정성과 돈만이 아닌, 이들 직업을 통해 어떠한 가치를 실현하고, 공동체에 무슨 도움을 주려 한다는 답이 준비돼야 하고, 이들 답이 준비된 가치추구형 인간이 이들 직업군의 많은 수를 차지해야 한다. 수학 문제 하나 더, 영어 단어 하나 더, 리트 문제 하나 더 맞췄다고 사회가 진정 필요로 하는 교사, 의료인, 법조인이 되는 것은 아니다. 직업에는 소명의식이 담겨야 한다는 말이다. /손종학 충남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