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단만필] ChatGPT, AI가 가져올 변화되는 교실

  • 오피니언
  • 교단만필

[교단만필] ChatGPT, AI가 가져올 변화되는 교실

논산 도산초등학교 이석 교사

  • 승인 2024-03-14 15:04
  • 신문게재 2024-03-15 18면
  • 이현제 기자이현제 기자
논산_도산초_이석
이석 교사
2022년 11월에 출시된 인공지능(AI) ChatGPT는 사람들의 생활모습을 새롭게 바꿨다. 영화 '아이언맨'에 나오는 자비스처럼 작동환경만 갖춰져 있다면 언제 어디서든 정보를 찾을 수 있고 도움을 받을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 특히, 필자처럼 영어를 잘 못하는 사람들에게는 네이버 파파고에 의존하던 것을 신속하게 번역을 해주는 ChatGPT가 그렇게도 고마울 수 없다. 또한, 기초적인 코딩지식만 가지고 있다면, ChatGPT를 통해 내가 할 수 없는 코딩 알고리즘까지 코딩 도구에 따라서 적절하게 프로그래밍 해주니 실로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ChatGPT의 교육과정 도입과 관련해서는 많은 논쟁이 있는 듯 하다. Forbes(2023년 4월 30일)의 자료에 따르면 호주에서는 방화벽을 사용해 학교에서 ChatGPT 웹사이트에 대한 접근을 금지했으며, 미국 앨라배마(Alabama), 뉴욕(New York) 및 기타 많은 미국 학교들도 ChatGPT에 대한 접근을 금지했다고 한다. 또한, 일부 국제적인 대학에서도 ChatGPT를 금지했다. 이는 아무래도 ChatGPT에 대한 의존성이 심해질수록 학생들이 발현해야 할 창의성 저하와 더불어 다양한 역량들이 제한될 수 있기 때문일 것이다.

실제로 필자가 국어와 미술 교과를 재구성해 적용한 '내가 만드는 재미있는 웹툰 만들기' 수업에서의 ChatGPT 장·단점은 다음과 같았다. 먼저, 수업 과정을 소개하자면 1. ChatGPT의 개념 및 활용방법 이해, 2. ChatGPT를 활용한 이야기 구성하기, 3. Ibis Paint를 통한 웹툰 꾸미기로 진행했다.

첫째, ChatGPT를 활용해 학생들은 궁금한 모든 것들을 해결하는 즐거움을 맛보았다. 학생들은 각자 만들고 싶은 이야기의 구성요소를 수집하기 위해 다양한 질문들을 쏟아냈고, 질문에 대한 답을 통해 막연하게만 생각했던 시나리오를 구체적으로 작성하기 시작했다. 이를 통해 이야기의 뼈대가 튼튼하게 세워질 수 있었다.



둘째, 글쓰기 시작 자체를 할 수 없을 것 같았던 친구들도 ChatGPT가 구성해주는 이야기의 시작점을 통해 글쓰기를 이어나갈 수 있어 글쓰기의 장벽을 허물 수 있었다.

셋째, Ibis Paint 어플을 통해 디지털 드로잉을 하는 과정 속에서 그리기를 어려워하는 친구들은 AI를 통해 그림을 만들고 화면에 복사 붙여넣기 하는 등 웹툰을 제작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가질 수 있었다.

넷째, 학생들은 차시가 반복될수록 ChatGPT에 의존하는 모습을 보였다. 조금만 어렵다고 느끼면 생각해보기보다는 바로 스마트 패드를 열어서 ChatGPT에게 물어보기 바빴다. 그래서 필자가 중간 중간 통제를 해야 했다.

다섯째, ChatGPT가 구성한 스토리는 예시자료가 돼야 하는데, 학생들은 그것을 그대로 적용하려고만 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래서 학생들에게 ChatGPT가 만든 시나리오를 활용하되 재구성하도록 지도했다.

'내가 만드는 재미있는 웹툰 만들기' 수업을 마치고 아이들에게 수업의 소감을 물어봤다. 대부분의 학생들이 "선생님 재미있어요.", "제가 작가가 된 것 같아요. 이런 수업 또 해주세요.", "미술이 싫었는데, 그리기 해 볼만 해요." 등의 반응들을 보였다. 하지만, 한 여학생의 얘기는 주의가 필요했다. "선생님! ChatGPT는 거짓말쟁이에요. 틀린 답을 이야기해요." 초등학교 3학년 친구에게도 ChatGPT가 완벽하게 느껴지지는 않은 듯 하다.

ChatGPT를 비롯한 AI는 교육현장에 반영될 것이다. 특히, 교육부가 발표한 인공지능(AI) 디지털 교과서는 자율성·창의성을 바탕으로 다양하고 질 높은 인공지능(AI) 디지털교과서를 개발해 '인공지능(AI) 기반 맞춤형 학습지원'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학습데이터 수집 및 관리, 기반(인프라) 구축한다고 한다. AI가 가져올 변화되는 교실을 과연 우리는 어떻게 준비하고 기다리고 있어야 할까? 고민이 되는 현실이다. /논산 도산초등학교 이석 교사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속보] 4·2재보선 충남도의원 당진 제2선거구 국힘 이해선 후보 당선
  2. '미니 지선' 4·2 재·보궐, 탄핵정국 충청 바닥민심 '가늠자'
  3. [속보] 4·2재보선 대전시의원 민주당 방진영 당선…득표율 47.17%
  4. 이번주 대전 벚꽃 본격 개화…벚꽃 명소는?
  5. 세종시 문화관광재단-홍익대 맞손...10대 관광코스 만든다
  1. [사설] 학교 '교실 CCTV 설치법' 신중해야
  2. 대전 중1 온라인 학업성취도 자율평가 재시험 "정상 종료"… 2주 전 오류 원인은 미궁
  3. [사설] 광역형 비자 운영, 더 나은 방안도 찾길
  4. 세종대왕 포토존, 세종시의 정체성을 담다
  5.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앞 ‘파면VS복귀’

헤드라인 뉴스


‘파면 vs 복귀’ 尹의 운명은… 헌재 4일 탄핵심판 선고 디데이

‘파면 vs 복귀’ 尹의 운명은… 헌재 4일 탄핵심판 선고 디데이

12·3 비상계엄 선포로 탄핵당한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 선고가 4일 오전 11시 내려진다. 앞서 탄핵 심판대에 오른 전직 대통령의 파면 여부를 가른 핵심은 법률을 위반하더라도 위반의 중대성, 즉 헌법 수호의 관점에서 중대한 위법행위 판단 여부였다. 다만 정부와 정치권 모두 ‘헌재 결정 수용’을 강조하고 있지만, 헌재가 어떤 판단을 내리더라도 정국 혼란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헌재, 철저한 보안 속 선고 준비=윤 대통령의 운명을 결정할 탄핵 심판 선고기일이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헌재는 4일 오전 11시 서..

[이슈] 청소년 비행 잡고 불법촬영 막아주는 대전자치경찰위 `과학치안`
[이슈] 청소년 비행 잡고 불법촬영 막아주는 대전자치경찰위 '과학치안'

"이곳에서 술을 마시면 안 됩니다", "담배 피우지 마세요" 인적이 드문 골목이나 공원에서 청소년들이 음주와 흡연을 하며 비행을 저지를 때 인공지능(AI)이 부모님을 대신해 "하지 말라"고 훈계한다면 어떨까. 실제로 대전 대덕구 중리동의 쌍청근린공원 일대에는 어른 대신 청소년들의 일탈과 비행을 막는 스마트 AI 폐쇄회로(CC)TV가 설치돼 있다. 영상카메라라는 '눈'을 통해 AI가 담배를 피우는 동작과 술병 형태, 음주하는 행위를 감지해 그만할 때까지 경고 음성을 내뱉는 것이다. 이는 전국에서 처음으로 대전자치경찰위원회가 과학기술업..

`결국 폐업`…1분기 충청권 건설업 폐업신고 17건
'결국 폐업'…1분기 충청권 건설업 폐업신고 17건

올해 1분기 폐업 신고를 한 종합건설업체가 160곳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20년 이후 같은 분기 대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충청권 건설업체 폐업 신고 건수는 17곳으로 집계됐다. 3일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KISCON)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3월까지 종합건설업체의 폐업 신고 건수(변경·정정·철회 포함)는 모두 160건으로 조사됐다. 이는 2024년 1분기(134건)보다 약 12% 늘어난 수준이다. 1분기 기준으로 비교하면, 2020년 이후 가장 큰 규모다. 최근 5년간 1분기 폐업 신고 건수는 ▲2024년 134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윤석열을 만장일치로 파면하라’ ‘윤석열을 만장일치로 파면하라’

  • 친구들과 즐거운 숲 체험 친구들과 즐거운 숲 체험

  • 한산한 투표소 한산한 투표소

  •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앞 ‘파면VS복귀’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앞 ‘파면VS복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