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규용 교수 |
1980년대 충남대학교와 카이스트 캠퍼스가 지역의 앵커기관으로 정착하면서 양 캠퍼스를 잇는 축이 형성되었다. 이 축을 중심으로 한빛아파트 입주민과 지역상인, 충남대학교와 카이스트의 학생이 함께하는 실제 생활중심권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특히 2021년 대한민국 제2호로 건립된 기술창업 스타트업 공간인 '대전팁스(TIPS)타운'이 본격적으로 운영되면서 지역 내 혁신기관의 역량·경험을 집결시키는 생태계의 기반이 강화되었다.
그간 언론을 통해서 혁신창업생태계로 거듭나는 어은동, 궁동이 소개되었고 창업지원정책과 지역의 혁신적 변화에 대한 기대와 관심이 집중되었다. 현재까지 여러 참여주체와 지원사업으로 공간자원과 인적자원의 형성이 상당히 조성되었다.
대학가 주변의 문화와 풍속이 달라진 것은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상업적 유흥과 먹거리로 젊은 에너지를 발산하는 소비적 공간에서 소소하더라도 창의적 즐김거리와 아이디어가 생산되는 공간으로 바뀌어 가고 있다. 어궁동은 조그마한 텃밭에 생명체가 모여들고 생태계가 확장되는 면모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동네의 인접한 건물을 기능적으로 연결하고, 건물간의 공간과 건물 안팍으로 연계하여 자연스럽게 사람들이 마주칠 수 있도록 마을공간을 확장하여 활용한다.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주민소유의 부동산 가치를 지역관리회사와 공유하고 공간운영의 공동오너십으로 지속가능한 협력관계를 맺기 때문이다.
인접 건물을 연계한 열린 공간이 조성되고 여기에 전시 및 스타일 체험, 외부 이벤트와 오프라인 임시매장(Pop-up Store), 개방형 쉼터, 내부 교류공간 등으로 다양한 라이프 스타일을 경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자연스럽게 개인의 참여와 가치가 제조와 생산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프로그램이 운영된다.
개인의 가능성을 소중하게 인정하고 실현할 수 있도록 작은 조직에서 혁신을 배우는 교육의 장(마을 캠퍼스, Open Campus), 실험의 장(Open Test Bed)이 그것이다. 마을에서는 사람이 모일 수 있는 공간의 제공과 현장 기반의 일(창업)이 만들어지도록 지원하는 프로그램이 운영된다.
마을의 캠퍼스 공간은 확보된 건물을 기능적으로 연결하여 창업주택, 협업공간, 판매공간, 오피스, 스튜디오, 실험실, 라운지 등 다양한 공간이 유기적으로 연결된 거리형 캠퍼스로 조성되어 간다. 여기에 인문과학융합, 커뮤니티디자인, 동네 컨텐츠, 사진영상, 다도, 메이커, 생태학 등 창의적 생산계열을 실험실, 캠퍼스, 연구실로 연계되고 지원된다. 어궁동은 누구나 접근과 참여가 쉽고 소외되지 않도록 포용적 협업의 문화가 자리잡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포용적 협업의 생태계는 지역가치창업가(Local Creator)의 사업적 활동을 통해 조성되고 있다. 앞으로 어궁동의 포용적 혁신발전이 인근 주변으로 확산되도록 지산학의 협업지원이 강화되어야 한다.
그간 우리 지역은 훌륭한 인적자원과 주요한 정부출연기관이 위치하고 있으나 지역사회와 약한 연결로 혁신이 일어나지 못하였다. 지역의 미흡한 정주환경과 한정된 지원 기회, 협업의 인적자원이 연결되지 않아 젊은 청년세대들이 지역의 삶에 확신을 갖지 못하는 것이 실정이었다. 아울러, 우리와 같은 기성세대와 기득권들은 젊은 청년세대들을 수월성 위주의 약육강식 교육과 치열한 경쟁, 기회 불균형의 틀에 몰아 놓고서도 청년세대의 사회성과 협업성의 결여, 세대 간 불통을 우려하는 자기모순을 안고 있다.
그러나 필자는 최근 어궁동에서 젊은 청년세대의 공존과 협업, 존중의 감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성세대로서 부끄러움의 몫은 나의 것이라 하더라도 경계를 허물고 지역적 가치를 창출하는 포용적 지역혁신의 미래와 품격있는 삶이 여기에 있다는 희망이 있어 감사하다.
/김규용 충남대 스마트시티건축공학과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