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역 일원 정비사업 현황. 제공은 대전시 |
사업 추진과정에서 민간사업자 물색과 공공기관 이전 등은 풀어야 할 과제로 보인다.
6일 대전시에 따르면 대전은 서구와 유성 일대 신도심의 성장으로 동구, 중구 등 기존 원도심과 불균형을 형성하고 있다. 기존 도심은 지역 자산은 풍부하지만, 건축물과 기반시설은 노후되고 산업 기반 시설이 부족해 인구 감소 현상을 겪고 있다. 실제로 대전시 동구의 경우 2014년 24만9000여명에서 2024년에는 21만7000명으로 인구가 감소했다. 대전시 인구의 15% 수준에 불과하다. 지역 총생산도 2021년 기준 대전시의 7.9%다.
이에 대전시는 역세권 개발을 통해 대전시 균형발전에 노력하고 있다. 현재 복합 2구역 재개발 사업을 비롯해 대전역 미래형 환승센터 건립, 소제구역 주거환경개선사업, 삼성4 촉진구역, 대전 동구 공공주택지구 조성사업, 중앙1 촉진구역, 신안1 촉진구역, 소제 중앙문화공원, 신안2 역사공원 등 총 9개의 정비 사업이 대전역 일원에서 진행되고 있다. 이를 통해 9000여세대의 공동주택을 건설하고 상업시설, 문화시설 등을 조성하고 있다. 대부분 사업은 2030년 전에 마무리 될 계획이다. 여기에 대전시는 이날 발표한 '메가 충청 스퀘어'조성사업을 비롯해, 대전역 지하 입체 복합 개발(대전 미래전략 2048 그랜드 플랜)을 추진한다. 또한 지난해 도심융합특구법이 국회를 통과하면서 대전시는 대전역에서부터 옛 충남도청사까지에 산업·주거·문화 등 고밀 복합 혁신공간을 마련하는 대전 도심융합특구를 조성 중이다.
'메가 충청 스퀘어'조성 여부가 역세권 개발에 폭발력을 줄 수 있을지 주목된다. '메가 충청 스퀘어'는 대전역 동광장 옛 철도보급창고가 있던 부지에 컨벤션, 호텔, 환승시설, 업무시설 등이 집적된 지하 7층 지상 49층 규모의 트윈타워를 조성하는 사업이다. 관건은 사업비 마련이다. 민관협력형 도시재생리츠사업으로 추진해 실행력을 높였지만, 1조 900억원의 자금이 필요한 대형 사업이다. 민간사업자가 공사비에 해당하는 4000여억원을 투자해야한다. 부동산 경기가 어려운 상황에서 민간사업자가 나서기가 쉽지 않을 수 있다.
대전시 관계자는 "현재 HUG가 민관협력형 도시재생리츠사업에 대해 긍정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면서 "앞으로 HUG와 협의를 통해 민간사업자를 공모하는 등 추가 절차를 진행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제2차 공공기관 이전'도 중요하다. '메가 충청 스퀘어' 상당부분을 공공기관 입주를 계획하고 있다. 대전역세권은 연축지구와 함께 2020년에 대전 혁신도시로 지정돼 있다. 지정 이후 4년간 공공기관 이전은 없었다. 시는 정부대전청사에 입주해 있는 특허·산림·관세 등 청 단위 기관의 산하기관이나 한국철도공사 자회사, 과학기술 관련 분야 공공기관 유치에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 정부가 이전 계획을 미루고 있고, 지자체 간 경쟁이 치열해 성과를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