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석구 충남대 교수 |
E=mc2(엠씨스퀘어)라는 아인슈타인의 '특수 상대성 이론식'은 질량(m)이 에너지(E)로 바뀔 수 있다라는 의미로 질량을 광속으로 가속(c2)하면 에너지로 바뀐다는 의미인데, 다른 의미로는 질량과 에너지는 똑같은 본질의 다른 형태라는 것이다. 이러한 질량과 에너지가 전환하는 예로써는 우리가 알고 있는 핵융합, 핵분열 과정에서 에너지가 출입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 때문에 핵발전은 적은 질량의 연료로도 광속으로 가속하면 많은 에너지를 방출할 수 있다는 원리가 성립하는 것이다. E=mc2라는 식은 과거에 집중력이 향상된다고 하는 수험생 집중력 향상 학습 보조기구로 판매된 적이 있을 정도로 우리에게는 익숙하다.
문득,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에 관한 식을 보면서 우리 인간에게도 이런 상대성이론의 식을 비유해보면 어떨까 하는 우스운 생각을 하게 되었다.
왜 어린 시절에는 그렇게 어른이 되고 싶어도 빨리 어른이 되지 않는다고 느끼고, 나이가 들면 가는 시간을 잡으려고 해도 쏜살같이 빠르게 흐른다고 느끼는 걸까? 라는 생각을 해본다. 어떻게 같은 시간인데 각각 다른 시간으로 느끼게 할 수 있을까? 왜 고통과 슬픔의 순간은 좀처럼 빨리 잊히지 않으면서 좋았던 시간은 상대적으로 짧은 순간으로 기억하게 되는지가 궁금해 본 적이 있지 않은가?.
그 원인을 E=mc2라는 식에서 찾아본다. E를 우리가 느끼는 체감하는 시간의 길이 또는 힘든 감정의 정도라고 한다면, m이라는 모든 사람이 느끼는 정량적인 시간에 비례하지만 c2라는 새로운 변수(c)의 제곱에 비례하는 것에 의해서 우리는 느끼는 그 시간의 길이와 고통의 감정 등의 시간이 바뀔 수 있는 것으로 생각한다. 다시 말하면, 어린아이나 노인이나 정량적인 시간(m)은 다르지 않지만, 새로운 변수(c)의 제곱(c2)에 의해서 우리는 어릴 때는 시간이 참 안 간다고 느끼고 나이가 들면 시간이 참 빠르다고 느끼는 것은 아닐까 생각한다. 마찬가지로 정량적인 시간은 같지만, 고통의 시간은 길고 기쁨의 시간은 금방 잊히는 것 또한 우리는 c2로 해석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그러면 도대체 c2는 무엇일까? 필자의 생각으로는 그것은 '우리 마음속에 있는 시간을 바라보는 생각'이 아닌가 생각한다. 같은 시간이라도 어른이 빨리 되고 싶은 아이에게 있어 c2는 '어른이 되고 싶은 욕심'이고, 가는 시간을 잡고 싶은 노인에게 있어 c2는 '지나온 인생의 시간을 잡고 싶은 욕심'이 아닌가 생각해본다.
이처럼 우리는 살면서 '시간'에 대해 같은 느낌으로 대하며 살고 있지 않다. 때로는 같은 시간이라도 길게 느끼고 때로는 짧은 순간으로 느끼기도 한다. 그 모두가 우리 마음속에 있는 마음가짐(c2)에 의해서 그 느끼는 바가 다르다고 생각한다. 시간(m)보다 중요한 마음가짐(c2)에 의해서 우리는 인간의 감정인 희로애락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어쩌면 지금, 무엇을 상실하고 낙심하는 사람들에게는 그것을 치유하는 방법을 스스로의 마음가짐으로 다스리고 있다고 생각한다.
다른 측면으로 보면, 고령화가 되어가고 있는 지금, 어쩔 수 없는 인구 감소 시대 상황에서 고령자의 경제인구 활용에 대해서도 새로운 변수인 c2를 찾아야 한다. 고령자 나이를 c2로 놓기보다는 고령자의 경력을 c2로 두고 정책을 세워 활용하고, 청년 정책에서도 청년의 나이 또는 경험을 c2로 놓기보다는 진취적이고 도전적인 젊음을 c2로 두어 정책을 수립한다면 보다 효율적인 접근이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아인슈타인 상대성이론의 의미는 학문적으로 매우 큰 인류의 발전을 주었고 이제 우리는 이 간단한 이론식 하나에서 새로운 지혜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E=mc2' 수식을 삶의 가치에 간단히 비유한다면 인생은 무엇인가에 비례하고 또 무엇인가는 제곱에 비례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인생에 있어 자기의 삶에 영향을 줄 c2가 무엇인지를 발굴해 내는 것이 이 시대를 사는 우리에게는 또 다른 지혜가 될 것이다. /강석구 충남대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