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시작 전에 권순도 감독(45세)의 간단한 인사 말씀이 있었고, 영화 상영 후에는 권 감독, 건국우남회 강천석 회장, 대전부방대 장경복 위원장, 건국우남회 이길중 교육국장의 인사말씀이 있었으며, 관람객들의 소감 및 질의응답도 이루어졌다.
권 감독은 인사말 가운데 "이 대통령에 대한 오해가 바로잡히는 데에 힘이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기적의 시작' 줄거리를 요약해 보면, 주로 이승만 대통령의 어린 시절부터의 일대기를 다룬 내용인데 이승만의 독립운동, 건국, 6·25 한국전쟁을 승리로 이끈 과정, 대한민국 산업화의 기반을 다지는 과정 등에 초점을 맞췄으며, 이승만 대통령이 대한민국을 위해 어떤 기여를 했는지 알기 쉽게 설명했다.
많은 이들이 친일파, 독재자로 알고 있는 이승만에 대해 정말 그러한지 객관적으로 검증을 하는 과정도 거쳤으며, 작품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지난 20여 년 동안 권 감독이 취재해 모은 기록들을 모두 풀어놓다시피 했다.
이승만 대통령의 양아들 이인수 박사 내외와 이승만과 직접 긴밀하게 큰일을 해냈던 백선엽 장군, 북한 노동당 비서를 지냈던 황장엽 선생, 여러 예비역 장성들, 각 분야 전문가들의 인터뷰 기록으로 작품의 객관성을 높였다.
특히 권 감독은 백선엽 장군의 희귀 기록을 많이 가지고 있다하는데. 백 장군은 생전 여러 매체를 통해 인터뷰를 하였으며, 고령의 나이로 본인이 싸웠던 전투현장을 권 감독과 직접 답사해 설명하여 큰 감동을 주었다.
권 감독은 특별한 기회를 얻어 백 장군의 전·후방 전투현장을 모두 함께 다니며 밀착취재를 하며, 백 장군에게 이승만 대통령에 대한 질문도 많이 해서 그 시대를 살았던 명장의 입을 통해 건국 대통령에 대한 생생한 증언을 들을 수 있었다고 했다.
백 장군 외에도 그 당시를 살았던 이들이 알기 쉽게 이승만 대통령과 당시 그가 처했던 상황을 설명하는 모습에서 관객들에게 상당한 몰입감을 선사했으며, 작품의 재연 장면을 위해 대 배우 임동진이 참여한 것도 눈여겨 볼 부분이다.
영화 '기적의 시작' 포스터 |
권 감독은 호주 그리피스대에서 영화를 전공하고 북한 인권 문제를 다룬 단편 '선처'(2011), 독도의용수비대를 조명한 다큐멘터리 '독도의 영웅들'(2015), 탐라의 봄(2022), 소녀의 기도(2015) 등 10여 편을 제작했다. '기적의 시작'(2023)은 부친인 권주혁(71) 전(前) 이건산업 사장의 권유로 만들게 됐다는 것이다.
지난해 국회에서 시사회를 하고, 몇몇 영화관에서 개봉하였고, 이후 서울 강남구 소망교회 등 희망하는 단체를 중심으로 순회 상영을 이어오는 가운데 금년 2월 22일 전국으로 확장 개봉하게 되었다. 대전에서도 CGV와 메가박스에서 개봉하였기에, 이번에 건국우남회 강천석 회장, 대전부방대 장경복 위원장, 대전부방대 사무처장이며, 건국우남회 사무총장을 맡고 있는 권순자님과 건국우남회 이길중 교육국장이 아예 CGV대전 8관을 대관해서 오늘 단체관람을 하게 된 것이라 한다.
이 영화는 이 대통령의 출생에서 시작해 해방 이후 행적을 주로 보여준다. 연세대 이승만연구원 등이 보유한 사료와 학자·주변 인물의 증언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백선엽 장군과 이 대통령의 아들 이인수 박사의 인터뷰도 들어갔다. 백 장군은 다큐 '부산에서 판문점까지'(2010) 등을 제작하며 인연을 맺었다. 이인수 박사는 2023년 11월 별세하기 전 인터뷰를 했다고 했다. 극적인 효과를 살리기 위해 일부 재연(再演) 장면도 넣었으며, 한미 동맹을 강조하는 연설 모습, 이 대통령과 프란체스카 여사의 하와이 시절의 생활 모습을 담았다.
배우 임동진(80)씨가 이 대통령 역을 맡았다. 임씨는 배역 제안을 받고 "이 대통령과 닮지 않아 누가 될까 우려된다"며 거절하다 권 감독의 간곡한 청에 출연을 승락했다고 한다.
일화도 최대한 살렸다. 이 대통령 며느리 조혜자 여사가 들려주는 '지겨운 바나나' 술회가 대표적이다. 프란체스카 여사는 이 대통령과 함께 미주 지역에서 독립운동을 하던 가난한 시절, 그곳에서 가장 싸게 살 수 있던 바나나로 식사를 대신하는 경우가 잦았다고 한다. 하도 먹다 보니 물려서 나중에는 바나나가 싫어졌다는 내용이다.
권 감독은 "이 대통령은 보통 사람이라면 은퇴할 나이인 73세에 대통령이 돼서, 이 나라가 없어지느냐 마느냐라는 절체절명의 숙제를 푸신 분"이라며, "그분의 넘치는 나라 사랑과 열정을 최대한 쉽게 전달하고 싶었다"고 말했다.
오늘 필자를 초청해 영광의 기회를 주신 분들께 다시 한번 감사드리는 바이다.
김용복/평론가
김용복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