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홍철 국립한밭대 명예총장 |
그러나 이러한 주류 이론에 반해 톨스토이는 그의 작품 '전쟁과 평화'에서 이른바 '창조적 소수'나 '위대한 인물론'을 부정하였습니다. 위대한 인물들은 시대 흐름을 이용할 뿐이지 그 흐름을 만들지는 못한다는 것이었습니다. 독일의 비스마르크도 톨스토이와 같은 역사관을 가져 "정치인은 대세를 만들지 못한다. 만들어진 대세를 이용할 뿐이다"고 말했으며, 로버트 캐네디도 "역사의 흐름을 바꿀 만한 위대한 사람은 거의 없다. 그렇지만 누구나 주변에서 일어나는 사소한 일들을 바꿀 수는 있다. 인간의 역사는 사소한 일들을 바꾸는 수없이 많은 용기와 믿음에 의해 이루어져 간다"고 했습니다. (염홍철, '천천히, 천천히 걷는다' 40쪽 참조)
이렇게 각기 다른 역사관은 서로 보완적일 수도 있겠으나 현대 사회의 다양성과 정보화의 진전으로 위대한 인물 주도의 역사관은 더욱 퇴색하고 있습니다. 오히려 역사는 일상 속의 작고 단순한 변화들이 모여 이루어지는 것이지요. 대표적인 사례가 베를린 장벽의 붕괴입니다.
베를린 장벽이 무너지기 6개월 전에 동방정책을 통해 독일 통일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고 알려진 빌리 브란트 전 독일 수상이 서울을 방문했습니다. 저도 당시 그 자리에 있었지만, 빌리 브란트는 초청 강연에서 독일 통일을 전혀 예측하지 못했습니다. 제 기억이 맞다면 독일 통일은 앞으로 5년 또는 10년이 걸릴지도 모르고, 아니면 영원히 이루어지지 않을 수도 있다고 얘기했습니다.
당시 증언들을 종합하면 초소 경비원들이 시민들의 자유로운 통행을 도왔고 수많은 시민들이 실천한 아주 작은 행동이 여기저기서 수시로 모이고 모여 정치인들로 하여금 베를린 장벽을 붕괴시키는 결단을 내릴 수밖에 없도록 만들었다는 것이지요. 그렇다면 베를린 장벽의 붕괴는 정치 협상의 결과가 아니라 주민들이 무너뜨렸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본다면 작고 아주 사소한 사건 중 하나가 나중에는 커다란 결과를 가져온다는 카오스 이론이나 나비 한 마리가 멀리 어느 나라에서 파닥거린 날갯짓이 다른 나라에 폭풍우를 몰고 올 수 있다는 나비 효과도 같은 맥락일 것입니다. (염홍철, '천천히, 천천히 걷는다' 41쪽 참조)
많은 사람들은 사회 곳곳에서 불합리한 점을 발견하면 먼저 정부 또는 국회가 정책화를 통해 시정하기를 희망합니다. 물론 당연한 절차지요. 그러나 이러한 희망 이전에 일단 자신이 담당할 수 있는 일을 실천하는 것이 더 빠르고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잘못된 것을 규제하고 처벌하거나 시정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악덕 기업의 부당 행위를 발견했을 때 그것을 인지한 개개인이 '불매운동' 등 더 빨리 변화를 유도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정부는 뒤늦게라도 그런 제도를 만들 것입니다. 저도 공직을 수행하면서 세상의 의미 있는 변화는 항상 일반 대중에게서 시작되고, 그것이 혁신의 원천이라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어느 환경 운동가가 얘기했듯이 보다 나은 세상을 만든다는 희망은 소파에 앉아서 당첨되기만을 꿈꾸며 손에 꽉 쥐고 있는 복권이 아닙니다. 희망은 문을 깨부수는 도끼입니다. 따라서 희망은 행동을 필요로 합니다.
염홍철 국립한밭대 명예총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