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순욱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책임연구원 |
EU에서 열리는 글로벌 AI 행사 참석은 이번이 처음이다. 생성형 AI 시대에 EU의 AI 분위기와 열기는 어떨지 설레는 마음으로 비행기에 올랐다. 만약 누군가 이번 WAICF가 필자에게는 어떤 의미냐고 묻는다면 '얀 르쿤 교수'와 '유럽연합 AI법'(EU AI Act)에 대해서 좀 더 알고 생각해 보게 된 것이라고 대답할 것이다.
뉴욕 주립대 교수 겸 메타 수석 과학자인 얀 르쿤 교수에 대해서는 토론토대 제프리 힌튼 교수와 몬트리올대 요슈아 벤지오 교수와 함께 딥러닝의 아버지라 불리고 2019년 컴퓨터과학의 노벨상인 '튜링상'을 공동 수상했다는 정도로 알고 있었다. 이번 WAIFC에서 첫째 날 오전 얀 르쿤 교수의 '목표지향적 AI'(Objective-Driven AI)라는 제목의 키노트 강연을 들었다. 그리고 오후에는 얀 르쿤 교수가 패널 중의 한 명으로 나오는 '우리는 AI 연구 속도를 늦추어야 하는가?'라는 제목의 토론 세션에도 참석했다.
얀 르쿤 교수는 범용인공지능(AGI) 출현은 시기상조이며, AI가 진화하는 속도가 너무 빨라서 규제하지 않으면 어느 날 갑자기 슈퍼 AGI가 출현해서 인류를 멸망할 것이라는 시나리오는 망상이라고 주장하면서 현재 EU에서 추진 중인 AI법에 반대하는 입장을 표명했다. 자칫 AI 기술 혁신에 제동이 걸려서 인류 문화가 한 단계 더 진화하는 좋은 기회를 놓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2023년 5월 구글을 퇴사한 후 뉴욕타임지와의 인터뷰에서 AI 발전 속도가 "무섭다"(scary)고 말하면서 규제의 필요성을 암시한 제프리 힌튼 교수와 상반되는 결이어서 잠시 충격을 받았다. 두 거장 중에 어느 쪽에 서야 할 것인가? 이번 WAICF가 필자에게 남긴 숙제다.
이번 WAICF를 통해서 세계 최초의 AI 규제법인 EU AI법에 대한 EU의 열기를 느낄 수 있었다. EU AI법 관련해선 예전에 신문 기사를 통해 얼핏 본 적이 있는 정도였다. 필자가 참석했던 많은 세션에서 EU AI법이 언급돼서 놀랐다. 첫날 오전에 참석한 AI 오픈소스 세션에서 EU AI법이 훈련데이터 공개 의무 등 오픈소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논의됐다. 둘째 날 프랑스 브루노 르 메르 경제재무장관 겸 디지털 장관 키노트 연설에서도 EU AI 주권과 AI법에 대해서 언급됐다.
EU AI법 초안이 EU 집행위원회에 의해서 2021년 4월에 발의됐으며, 여러 우여곡절 속에 수정안이 2023년 12월에 EU 집행위원회, EU 의회, 27개 EU 회원국 대표 간에 잠정적인 합의가 이루어졌다. 조만간 최종 합의안이 승인되면 2년의 유예 기간을 거쳐 2026년 초에 공식 시행될 예정이다. 두 달 전 세계 최초 AI법에 대한 전격적인 합의 도출의 열기가 이번 WAICF까지도 전달된 듯하다.
EU AI법을 둘러싸고 "적절한 규제가 혁신을 촉진한다"는 주장과 "규제는 혁신을 파괴한다"는 주장이 여전히 대립하고 있다. AI 규제법은 양날의 칼이다. 칼은 적에게 치명적일 수 있지만 잘못 휘두르면 오히려 다칠 수 있다.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 규제 법안인 이번 EU AI법에 대해서 특히 가장 영향을 받게 되는 미국 빅테크 기업과 미국 및 한국 등 세계 각국의 대응이 어떨지 그 귀추가 주목된다.
황순욱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책임연구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