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선생의 시네레터] 수구초심 혹은 세월의 이면

  • 오피니언
  • 김선생의 시네레터

[김선생의 시네레터] 수구초심 혹은 세월의 이면

소풍

  • 승인 2024-02-15 17:04
  • 신문게재 2024-02-16 9면
  • 김지윤 기자김지윤 기자
KakaoTalk_20240214_183000662
주인공 할머니들이 커다란 달력 뒤편에 시를 씁니다. 그리움의 정서가 가득합니다. 달력으로 상징되는 시간과 세월을 이길 사람은 없습니다. 그러나 마음과 상관없이 흐르는 그 물리적 시간 이면에 사람 사이의 깊고 정겨운 이야기와 회한이 새겨집니다. 영화는 바로 팔십 줄에 이른 노년의 삶과 정서를 다룹니다.

영화는 노인의 늙고 병든 몸을 고스란히 보여줍니다. 그런데 마음은 그렇지 않습니다. 그러니 이 작품의 주된 서사처럼 보이는 세대 간의 갈등보다 더 본질적이고 강렬한 것은 노년의 몸과 마음의 모순적 상황에서 비롯됩니다. 하지만 이 모순은 쉽게 드러나지 않습니다. 자식들은 아직 젊고 그들의 삶이 중요하여 부모의 아픔을 헤아리고 품을 여유가 없습니다. 하여 영화는 주인공들을 고향으로 이끕니다. 거기 옛 추억의 시간과 장소들이 있습니다. 그리고 친구가 있습니다.

달력 뒷면의 시도 바로 고향에 돌아와서의 일입니다. 도시에서 병에 부대끼고, 자식들과 갈등할 때 주인공들은 현실 속 차가운 언어를 구사합니다. 고향에 돌아와 비록 몸은 여전히 고통스럽고 상황은 나아지지 않는다 해도 따뜻하고 정겨운 꿈과 그리움이 시어로 씌어집니다.

그들의 고향은 땅이 끝나 바다로 이어지는 곳입니다. 머지않아 삶을 끝내고 이승을 떠나야 하는 그들의 처지와 딱 맞아떨어집니다. 마지막 장면 그들은 소풍 길을 나섭니다. 영화가 끝내 보여주지 않지만, 그들의 소풍은 천상병의 시 '귀천' 한 대목처럼 하늘로 돌아가는 길이 됩니다. 그 마지막 언덕 바람이 세차고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5번 2악장이 화면 위로 흐릅니다. '황제'라는 제목처럼 1악장, 3악장은 힘차고 웅장한데 2악장의 선율은 더없이 부드럽고 정한이 넘쳐납니다. 평범한 일생이지만 다른 이의 손에 의해서가 아니라 스스로 삶의 마지막을 선택하려는 그들의 존엄을 기리고 위무하는 것으로 이해됩니다.



나문희, 김영옥, 박근형 배우의 연기는 어디까지가 연기이고 실제인지 구별하기 어려울 만큼 아름답고 절실하며 진심이 가득합니다. 게다가 평생을 배우로 산 이들의 관록과 앙상블이 높은 경지를 보게 합니다. 삶의 궁극에 이르러 도달하는 죽음 앞에서 우리는 역설적으로 생의 진 면목을 목도 합니다. 깊은 이해와 공감으로 세월의 상흔을 어루만지는 노년의 우정은 모든 세대에게 깊은 울림을 줍니다. 오래도록 기억될 좋은 영화입니다.

김대중(영화평론가/영화학박사)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둔산 리빌딩’…대전 둔산 1·2지구, 재건축 움직임 본격 시동
  2. 대전 치매환자 등록률 46% 전국광역시 '최저'…돌봄부담 여전히 가족에게
  3. '산불 복구비 108억, 회복은 최소 20년'…대전·홍성 2년째 복구작업
  4. 아이 받아줄 사람 없어 '자율 귀가'… 맞벌이 학부모 딜레마
  5. 금강환경청, 자연 복원 현장서 생태체험 참여자 모집
  1. "방심하면 다쳐" 봄철부터 산악사고 증가… 대전서 5년간 구조건수만 829건
  2. [썰] 군기 잡는 박정현 민주당 대전시당위원장?
  3. [기고]대한민국 지방 혁신 '대전충남특별시'
  4. 기후정책 질의에 1명만 답…대전 4·2 보궐선거 후보 2명은 '무심'
  5. 보은지역 보도연맹 희생자 유족에 국가배상 판결 나와

헤드라인 뉴스


돌아오는 충청권 의대생들… 모집인원 동결 이번주 판가름

돌아오는 충청권 의대생들… 모집인원 동결 이번주 판가름

의과대학 학생들이 집단휴학을 철회하고 학교에 복학을 신청하면서 의학교육이 1년 만에 기지개를 켜고 있다. 교육부는 학생들이 실제 수업에 참여하는지 살펴보고 복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고 밝혀 이번 주 의대정원을 증원 전으로 돌리느냐 중요한 시간이 될 전망이다. 정부가 정한 의대생 복귀 시한인 31일 전국 대다수 의대가 등록을 마감한 가운데 대전과 충남·북의 의대에서도 대체로 학생들이 복귀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충남대 의대는 3월 30일 복학 신청 접수를 마감했으나 몇 명의 학생들이 복학했는지 아직 공표하지 않고 있다. 당초 2월 2..

케이크 가격 4만원대?... 생일 초 불기도 부담되네
케이크 가격 4만원대?... 생일 초 불기도 부담되네

소비자 물가가 고공행진하고 있다. 식품·외식업계 가격 인상이 계속되면서 케이크 가격도 4만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월 31일 해당 업계에 따르면, 투썸플레이스는 최근 커피와 음료, 케이크 가격을 올렸다. 케이크 가격은 2000원 올리고 조각 케이크는 400원 인상했다. 이에 따라 스트로베리 초콜릿 생크림(스초생)은 3만 7000원에서 3만 9000원이 됐다. 스초생 2단 제품은 4만 8000원이다. 딸기 생크림은 3만 6000원이고 클래식 가토 쇼콜라 가격은 4만원이다. 조각 케이크는 생딸기 우유 생크림은 9500원으로 1..

대전시, 자전거고속道 구축 필요성 고개…단절구간 많아 교통분담 제자리
대전시, 자전거고속道 구축 필요성 고개…단절구간 많아 교통분담 제자리

탄소 중립을 위한 대표적 교통수단인 자전거 이용을 높이기 위해 대전시가 '자전거 고속도로망' 구축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10년간 자전거 도로는 크게 증가했지만, 단절 구간이 많아 교통 분담률이 크게 늘지 않았는데 이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31일 대전세종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대전시 자전거 고속도로 도입을 위한 기본구상 연구' 보고서를 보면 대전의 자전거도로 총연장은 2023년 기준 937㎞로 2010년 586.9㎞ 보다 60% 가까이 증가했다. 하지만, 자전거 분담률은 1.85%(2021년 기준)로 여전..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3색의 봄 3색의 봄

  • ‘안 오르는 게 없네’…라면, 우유, 맥주 4월부터 인상 ‘안 오르는 게 없네’…라면, 우유, 맥주 4월부터 인상

  • 꽃샘추위 이겨낸 야구 열기…한화생명 볼파크 세 번째 매진 꽃샘추위 이겨낸 야구 열기…한화생명 볼파크 세 번째 매진

  • ‘어떤 나무를 심을까?’ ‘어떤 나무를 심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