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홍철 국립한밭대 명예총장 |
과거 대전시(市)에서는 그러한 노력을 했었지요. 관(官)주도 복지 공급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민관(民官)협력 복지 모델인 '복지만두레' 시책을 도입한 바 있지요. 복지만두레는 지역에 있는 각종 종교단체와 시민단체, 병·의원, 자원봉사자 등 잠재적 복지 공급자들이 지역의 소년소녀가장, 독거노인, 자립이 어려운 장애인, 극빈자 등을 지역단위에서 스스로 돌보고 정을 나누어 공동체 문화를 만들어 나가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사회적 약자를 돕는 것을 '관'에만 맡기지 않고 '민'이 공동으로 해결하는 지역사회 접근이지요.
복지만두레 시책을 시행하면서 가장 적극적인 활동을 한 기관은 라이온스, 로타리 등 봉사단체와 종교단체였습니다. 실제로 모든 종교가 공유하는 심오한 가치 중 하나는 가지지 못한 사람들을 돌보는 일이 아니겠습니까? 교회, 성당, 사찰에서 동(洞) 단위 지역과 결연을 맺어 어려운 분들에게 많은 도움과 위로를 주었습니다.
'사회적 자본'을 이론화시키고 사회적 격차 해소에 앞장선 로버트 퍼트넘 하버드대 교수도 종교가 가지고 있는 도덕적 책무를 부각시키면서, 성경 구절을 소개한 바 있습니다. (이하, 로버트 퍼트넘, '우리 아이들' 345-6 참조) 잠언 29장 7절은 "착한 사람은 가난한 사람들의 사정을 돌보지만 나쁜 사람들은 아랑곳하지 않는다"고 쓰고 있고, 마가복음 10장 21절과 25절에서 예수는 한 신앙심 깊은 부자에게 훈계하기를 "가난한 자를 위해 모든 것을 포기하라"고 하였습니다. 그 이유는 "부자가 하나님 나라에 들어가는 것보다는 낙타가 바늘귀로 빠져나가는 것이 더 쉬운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많은 성직자나 스님들은 어렵고 가난한 사람과 항상 함께했지요. 이와 관련하여 프란치스코 교황은 봉사의 가장 중요한 점은 우리가 이웃을 돌봐야 한다는 깊은 도덕적 의무라고 상기시켰습니다. 그러면서 어느 인터뷰에서 현재 종교에서 가난한 사람들에 대한 도덕적 의무를 망각한 것을 지적하였습니다. "우리는 가난한 이의 부르짖음에 공감하지 못하고, 다른 사람의 고통에 울어주지 못하고, 그들을 도울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게 되었습니다. 마치 이 모든 일이 우리의 책임이 아니라 누군가 다른 사람의 책임인 것처럼 말입니다. 우리가 가난한 사람을 소외시킬 때 우리는 그들에게 불의를 행하는 것입니다" 마치 한국 교회에 대해 일갈하는 것 같았습니다.
아주 일부이지만, 대형 교회의 부자 세습, 목회자의 성적 타락과 투명하지 못한 교회 재정은 무엇을 의미하나요? 교회가 모든 아이들이나 가난한 사람들에게 보다 많은 기회를 제공해야 하며 그러한 이상적인 삶의 모습은 선(善)을 행하는 것입니다. 선은 경제적으로나 사회적으로 가장 취약한 계층을 사랑하고 돌보는 일입니다. 만일 이것을 거역하면 신의 명령을 부정하는 것이 아닐까요?
그렇다면 모든 종교가 원하는 삶은 바로 선함을 행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가난한 사람들에 대한 연민과 역지사지하는 마음가짐, 그리고 그것을 실천하는 것이지요.
염홍철 국립한밭대 명예총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