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종진 여가공간연구소 소장 |
지역 이벤트, 즉, 지역축제의 증가 및 성장은 역사적으로 지방자치제 실시 전후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 시기부터 지방자치단체장은 지역을 홍보하고 지역의 특산품을 판매하기 위해 지역 고유의 경쟁력 육성, 지역 이미지 홍보, 관광객 유치 차원에서 다양한 지역축제를 개최했다.
지역축제는 지역을 홍보하고 지역의 방문과 관광객을 유치하기 위한 가장 보편적인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지역축제가 자주 활용되고 있는 것은 투자비용 대비 효과가 크고, 지역의 특성을 반영하기 쉽고 지역의 이미지 발굴 및 창조하기에도 용이하기 때문이다.
코로나 시기 주춤했던 지역축제 방문은 2022년 말부터 본격적으로 방문객이 증가하는 추세이지만, 지역별 저마다 개최되고 있는 지역 이벤트는 다른 지역과의 차별성이 부족하고 개최 형식은 대부분 축제 형식을 취하고 있고, 주제 중복, 동일 개최방식, 주제 카피(copy) 등의 현상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탈피하기 위해 몇몇 지방자치단체는 새로운 주제를 찾기보다는 형식을 변경하여 지역 이벤트를 리뉴얼(renewal)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는데, 대표적인 대안으로 지방박람회(local exposition)를 선택하고 있다.
특히 지역축제는 개최비용 등의 한계로 인해 규모가 작거나, 개최 기간이 짧고, 지역의 대표성을 충실히 반영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를 보여 왔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여 예산을 집중시켜 철저한 개최준비와 지역의 대표성 및 이미지를 형성하기 위해 보다 효과적인 지역 이벤트로 지방박람회가 주목받고 있다.
지방박람회는 지역에서 개최되는 이벤트로서 지역축제에 비해 준비 기간이 길고 체계적인 사전 준비가 가능하며, 개최 기간도 길어 보다 많은 방문객을 유입시킬 수 있다. 이에 지역축제에서 진화되는 형태로 자리 잡아가고 있으며, 지방박람회의 개최는 지역축제의 성장과 발전을 자축하는 형태로도 인식 및 활용되고 있다.
충청권에도, 금산의 인삼, 논산의 딸기, 계룡 군문화, 오송 바이오 등 축제를 넘어 규모를 확대하여 효과와 성과를 확장하기 위해 지방박람회로의 개최 시도가 계속돼 왔다.
그러나 지방박람회는 단순히 축제에 비해 기간을 늘리고, 예산을 늘리는 것 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대부분 축제 대행사의 의존도에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지역축제의 특성과 분명 다르기 때문이다. 박람회가 추구하는 가치와 준비는 보다 넓은 개념에서 준비돼야 한다.
첫째, 환경단서이다. 환경단서란 물리적 환경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주변의 사회·문화적인 환경 및 자연적, 인위적 구조물 등이 내포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제공받는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경험 및 환경 등에 대한 속성이라 할 수 있다, 이는 박람회에 방문해 즐기는 동안의 제공되는 모든 서비스에 대한 부분이다. 이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준비가 중요하다.
둘째, 장소성이다. 장소성은 물리적인 환경과 이미지, 상징적인 느낌 등을 포괄하는 것으로 박람회의 주제와 장소가 이질성이 없고 연계된 이미지를 나타내야 한다. 그래서 박람회는 어떤 장소에서 개최하느냐가 매우 중요하고, 매회 동일한 장소에서 박람회의 주제와 연관될 수 있는 장소를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셋째, 지속가능성이다. 박람회를 축제의 연장선 속에서 일회성 또는 축제 이후 이벤트의 확대를 위해 의례 진행하는 이벤트로 운영하거나 개최해서는 안 된다. 경제적, 사회문화적, 환경적, 교육적 등의 지속가능성이 확보되는지에 대해 충분한 검토가 필요하다. 일회성 이벤트라 하더라도 지속가능성 즉, 향후 추가적인 개최의 필요성이 확보되는지를 확인해야 한다.
넷째, 지역 이미지이다. 지방박람회를 개최하는 지역이 과연 주제와 연계성이 있고, 방문객이 인식하는 데에 이질성이 없는가이다. 비교적 이 부분은 축제를 통해 다년간 이미지 확보 이후 개최되기 때문에 대부분 확보돼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 없이 처음부터 지방박람회로 개최 시 지역 이미지 연상과 연계 전략에 한계를 가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지방박람회는 지역축제와 달리 지방자치단체와 행사를 대행하는 이벤트 업체의 중요성보다는 산업적인 부분이 강조되고 중요하다. 따라서 전시회, 교역전, 홍보, 산업 등 참여기업 등의 참여율과 규모 등 산업부문의 비중을 적절히 확장하는 노력이 성공의 열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박종진 여가공간연구소 소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