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흥수 경제부 차장 |
하지만 우리들의 아시안컵은 일찌감치 끝났었다. 황금세대로 불리는 스쿼드로 64년 만에 우승을 꿈꿨던 대한민국은 4강전에서 요르단에 완패를 당했다. '월드클래스' 손흥민을 비롯해 황희찬, 김민재, 이강인 등 유럽 빅리그에서 활약하는 역대 최고 전력이라는 평가를 받았던 터라, 국민들의 실망감은 더욱 컸다.
무엇보다 경기력이 형편없었다. '졸전' 그 자체였다. 공격은 무딘 칼날 같았고, 중원은 무능했으며, 수비는 허술하기 짝이 없었다. 경기시작 10분 만에 "오늘은 졌다"는 생각이 들 정도였다. 클린스만호가 소위 '선수 빨'로 승리해 온 것이라 믿었던 터라 오히려 잘됐다 싶었다.
사실, 클린스만 감독의 말처럼 아시안컵 4강이라는 성적은 역대 대회를 통틀어봐도 무난한 수준이다. 그럼에도 감독을 경질하라는 국민동의청원까지 등장하는 등 국민 여론이 들끓고 있다. 단지, 대한민국(FIFA 랭킹 23위)보다 한 수 아래로 평가되는 요르단(FIFA 랭킹 87위)에게 패배했기 때문일까?
그 이유는 클린스만 감독의 축구 철학에 대한 의문과 평소 업무 태도를 들 수 있을 것 같다.
클린스만호는 조별리그에서부터 여러 가지 전술적인 문제점을 노출했지만, 선수 개개인 기량에만 의존한 방식은 바뀌지 않았다. 조 2위로 힘겹게 올라간 대표팀은 사우디아라비아와의 16강전, 호주와의 8강전에서 연이어 연장 혈투를 벌이며 힘겹게 목표를 향해 나아갔다. 피날레는 요르단과의 4강전이었다. 연거푸 연장전을 치른 선수들은 체력에 한계를 드러냈고, 단 한 개의 유효슈팅도 없이 완벽하게 무너졌다.
무엇보다 클린스만 감독의 축구는 뚜렷한 전술이 없었다. 후방에서의 빌드업과 중원에서의 탈압박, 전방에서의 다양하고 세부적인 부분 전술로 상대진영을 무너뜨리는 현대축구 흐름과는 거리가 멀었다. 특히 스타급 선수 몇 몇의 개인 능력에만 의존했고, 팀 조직력은 찾아보기 어려웠다. '뻥 축구', '해줘 축구'라는 비난을 듣기에 충분했다. 수차례 신들린 선방을 보여준 골키퍼 조현우가 없었더라면 아마도 더 많이 실점했을 것이다. 결국, 선수들의 자율성을 중요시한 클린스만 감독의 축구 철학은 방임이었고,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었다.
이와 함께 클린스만 감독의 평소 업무 태도도 문제점으로 지목된다. 대회 이전부터 재택근무로 선수들을 원격 지휘를 하는가 하면, 툭하면 해외로 나가는 등 성실하지 못한 모습을 보였고, 대회가 끝난 뒤에는 "여론이 좋지 않은 이유를 모르겠다, 대표팀이 옳은 방향으로 성장하고 있다"는 등 국민 정서와 동떨어진 반응을 보이며 귀국 이틀 만에 미국으로 떠났다. 대회 내내 우리나라 대표팀이 실점 또는 패배했을 때 보인 의미를 알 수 없는 미소도 국민감정을 자극하기에 충분했다.
기자에게 위르겐 클린스만 감독은 1990년대 선수 시절 독일의 스트라이커로 맹활약한 '빅 네임드'로 각인돼 있다. 그랬던 그가 우리나라 대표팀의 지휘봉을 잡는다는 소식을 듣고 반가워했던 기억이 난다. 하지만 뚜껑을 열어보니 아무것도 없었다.
클린스만 감독의 자질에 대한 의구심은 사실 이전부터 있었던 모양이다. 2000년대 독일 대표팀 주장이었던 필립 람(Philipp Lahm)은 자서전에서 "감독은 전술적인 지시는 거의 없었고, 경기 전에 우리가 어떻게 경기를 할 것인지 알아서 모여야 했다"고 밝힌 바 있다.
모든 선택에는 언제나 대가가 따른다. 감독을 경질할 경우 위약금이 60억~70억원에 달한다고 하지만, 필요하다면 '레드카드'도 꺼내야 한다. 아시안컵 대회 내내 아무것도 증명하지 못한 그에게 2026년 열릴 월드컵까지 대표팀 지휘봉을 맡길 수는 없지 않을까?
김흥수 경제부 차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