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영선 비래영광교회 담임목사 |
조선의 14대 임금 선조가 임진왜란 피난길에 '묵'이라는 물고기를 참 맛있게 먹었습니다. 임금이 이 맛있는 생선의 이름이 무엇이냐고 물었습니다.
그래서 '묵'이라고 알려 주었습니다. 그러자 왕은 이 맛있는 생선이 '묵'이라는 투박한 이름과 어울리지 않는다며 이름을 '은어'라는 아름다운 이름으로 바꾸었습니다.
전쟁이 끝나고 궁에서 예전에 맛있게 먹은 생선을 다시 먹었을 때 맛이 예전과는 다르게 맛없었습니다.
그래서 선조 왕이 "에이, 도로(다시) 묵이라 불러라"라고 한 것입니다. 이때부터 '묵'은 '도루묵'이라는 이름으로 불렸다고 합니다.
왜 맛있던 도루묵이 맛이 없어졌을까요? 전쟁 중에는 고생 중이었고 다른 맛있는 음식도 없었기에 맛이 있었던 것입니다. 그런데 왕궁에는 다른 산해진미의 맛있는 음식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예전에 맛있던 도루묵이 맛이 없어진 것입니다.
사람은 이와 같이 상황에 따라 변하고 또 잘 잊어버리는 성향을 지녔습니다. 감사의 마음도 그렇습니다. 어려운 일이 해결되는 당시에는 은혜이며 감사라고 생각했던 일들도 그 일이 해결되고 상황이 좋아지면 잊어버립니다.
나를 도와주셨던 하나님의 은혜도 잊고 사람의 은혜도 잊습니다. 하나님의 도움으로 어려움을 이길 수 있었던 것이 아니라 그냥 그렇게 운이 좋았던 것 같고 또 내가 잘해서 어려움을 이겨낸 것이라고 생각하며 감사를 잊어버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원수는 물에 새기고 은혜는 돌에 새기라는 말이 있습니다. 이 말을 바꿉니다.
"원수는 하나님께 맡기고 은혜와 감사는 일상에 새기자!"
성경 시편 136편은 감사를 중요하게 생각하며 하나님께 감사하라고 명령하고 있습니다.
시편 136편에서 많은 감사할 이유가 나오지만 가장 중요한 것 하나는 하나님의 존재에 대한 감사입니다. 하나님 성정에 대한 감사입니다.
당시 이스라엘 주변 국가들은 많은 신을 섬겼습니다. 지금 우리의 상황도 그렇습니다. 우리 주변에는 수많은 신을 섬깁니다. 심지어는 "신이 어디에 있어?"라면서 신들을 거부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결과적으로는 다른 것을 의지하지 않고 자신만을 믿고 사는 자'신'도 있습니다.
시편 136편 2절에서는 우리에게 감사할 것은 우리가 믿는 하나님이 신 중에서 신이기 때문이라고 2절에서 말씀하십니다. 이것은 문학적으로 최상급을 가리키는 표현으로 오직 하나님만이 유일하신 신이라는 표현입니다.
세상에 많은 신들로 여겨지는 것들이 많지만 그것들은 아무것도 아니고 오직 하나님만이 세상을 다스리시는 신들이라는 말씀입니다.
그리고 이 하나님이 우리를 사랑하고 인자를 베푸시며 우리를 돌보아 주시니 감사하라고 말씀합니다.
아무리 신이라고 해도 나랑 상관없으면 감사의 이유가 없을 것입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우리를 인자하게 대해 주십니다. 도와주시고 이끌어 주십니다.
우리가 하나님께 감사해야 하는 이유는 하나님만이 참된 신이시고 그 하나님이 우리를 인자하게 대하시기에 우리는 감사해야 합니다.
지난 세월을 돌아보면 감사할 일이 참 많습니다. 하나님이 우리를 인자하게 대해 주셔서 많은 어려움을 이기게 하셨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감사한 마음을 가졌습니다. 그런데 그 감사한 일이 시간이 지나면 퇴색됩니다. 우리의 기억에서 멀어집니다.
마치 맛있던 도루묵이 맛이 없어진 것처럼 과거의 감사를 잊어버리고 변하는 것이 우리 사람들입니다.
하나님뿐만 아닙니다. 사람에게 품었던 감사도 잃어버립니다. 쉽게 변하는 것이 사람이고 감사를 잃어버리는 것이 사람의 성정이라지만 그것을 당연히 여겨서는 안 됩니다. 감사를 기억해야 하나님과의 관계를 바르게 할 수 있고 감사의 마음을 지니고 있어야 사람과의 관계가 좋아집니다.
개인의 능력을 최우선 하여 다른 사람과의 관계가 소홀해진 이 시대에 우리를 도와주고 우리가 우리 될 수 있도록 만들어 주신 하나님과 우리 주변의 고마운 분들에게 감사의 표현을 할 수 있는 아름다운 일들이 일어나길 축복합니다. /심영선 비래영광교회 담임목사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