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게티이미지뱅크) |
반려동물이 증가함에 따라 죽음을 맞이한 이들을 수용할 화장터 등 장묘 시설이 마련돼야 하는 시점이다.
11일 대전세종연구원에 따르면 현재 대전에 등록된 반려견은 9만 4725마리다.
반려동물을 양육하는 인구가 늘어나면서 대전 민선 8기에서도 반려동물과 관련한 정책을 개발하고 반영하기 위한 4개 공약을 제시하기도 했다.
이에 따라 대세연은 대전 반려동물 정책수립을 위해 반려동물 양육 경험자 500명을 포함해 총 1004명의 시민을 대상으로 여론 조사를 진행했다. 조사 결과 '동물 장묘시설을 대전시가 직접 설치하는 방안'에 응답자 65.1%가 답해 양육 경험 유무와 관계없이 찬성 의견이 높았다.
장묘시설 설치 시 이용 주체를 묻는 질문에는 '대전시가 직접 운영'을 해야 한다는 답변을 69%가 택했다. 장묘 시설 외에는 폐기물로 반려동물 사체를 처리해야만 하는 상황 때문에 이 같은 반응이 나오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관련법에 따라 동물 사체는 장묘시설을 이용하지 못할 땐 종량제 봉투로 배출하거나 동물병원에 의료폐기물로 소각 위탁처리 해야 한다. 주거지나 야산에 매장하거나 투기하는 건 불법 행위다.
가족으로 여기던 반려동물의 마지막 가는 길을 위해 대부분의 양육자는 장묘시설을 원하고 있으나 대전의 시설은 전무하다.
현재 대전에서 동물 사체를 화장하거나 봉안, 장례 하는 등 동물장묘업을 하는 업체는 단 한 곳도 없다.
결국, 대전권을 벗어나 세종이나 충남을 찾아야 하고 그마저도 이용객이 많아 오랜 기간 대기해야 하는 상황까지 빚어지고 있다. 또, 대전시는 지난해 인근 지역 동물 장묘 업체와 업무 협약을 맺었지만, 접근성이 떨어져 시설 이용에 제한이 생기는 현실이다.
이에 대전 '반려동물 정책공론화 협의체'는 복합 장묘문화공원 조성으로 애견특화 이미지를 구축하고 선진 장묘문화를 이끌어가야 한다고 봤다.
반려동물 장묘문화 인식 개선을 위해 일반인도 사용할 다양한 시설을 만들고 복합장묘문화공원을 기반으로 다양한 펫 산업 특화 지역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협의체는 "장묘시설 입주지역에 관련해 법적 근거뿐만 아니라 상세한 관리 운영 지침을 만들어 민원 발생을 최소화해야 한다"라며 "해당 시설과 주변 경관을 시민 친화적으로 꾸며 비반려인도 즐길 복합 문화 시설이 돼야 한다"고 제언했다.
김지윤 기자 wldbs120611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