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충남 스마트축산복합단지 연구용역 최종보고회에서 김태흠 도지사가 발언하는 모습. (사진=충남도 제공) |
지역경제발전과 탄소저감효과에선 기대감도 많지만, 해결해야 할 과제 또한 많아 우려 목소리도 적진 않다.
6일 열린 충남 간척지 활용 스마트축산복합단지 조성 연구용역 최종보고회에선 학계 등 전문가를 비롯해 관련 기관과 현업 종사자까지 참여한 토론이 진행됐다.
가장 우려스러운 점은 정부가 스마트축산농가 조성을 지원한 2017년 이후 전국에서 성공한 사례가 없다는 점이다.
2019년엔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충남과 강원도 고성, 강릉, 평창, 경북 울진, 경남 합천, 전남 고흥까지 7개 지자체가 축산단지 조성지로 선정됐지만, 강릉과 평창, 울진, 합천은 중도 포기했다. 고성의 경우 환경영향평가 문턱에서 번번이 막히며 3년 이상 지체되고 있다. 한우 축산시설인 고흥은 주민설명회 등을 통해 의지를 보이지만, 지난해 8월 이후 환경영향평가와 환경부 승인만을 기다리고 있는 상황이다. 이로 인한 불용 예산만 200여억 원이 넘는 것으로 알려졌다.
앞선 사례에서 보듯이 스마트축산단지가 제대로 추진되지 못한 이유는 인근 주민들의 반대와 환경민원이 지속해서 나왔기 때문이다.
여기에 현업 종사자들이 축산단지에 입주하기 위해선 폐업 등을 통해 참여해야 한다는 부담도 있어 수요 자체가 부족할 수밖에 없다는 부분도 있다.
충남도는 이런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주변 지역까지 개발하는 모형을 만들고 정주여건 개선 등 산업단지 입점과 같은 효과까지 내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이날 토론에 참여한 한경대학교 윤영만 교수도 "축산단지만이 아닌 지역 전체를 개발하고 주민 동의를 위해서라도 지역개발의 모형을 만드는 등 농업인 자체에 대한 고려가 있어야 한다"며 "농업용 전기 등 예민할 수 있으므로 관련 법률 조항도 추진 전 철저하게 따져보며 준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도는 이날 보고회에서 나온 의견들을 종합해 최종연구용역보고서를 발표하고, 용역 내용을 토대로 4월 중 스마트축산복합단지추진TF를 구성한다는 계획이다.
이후 농식품부로부터 간척지 활용사업구역 변경 지정 협의를 신청하고, 본격적인 양돈 사업자를 대상으로 입주 의향 수요조사를 시작한다.
축산단지 건축 사업체를 지정하고 실시계획을 수립하면, 2025년 상반기 중 착공에 들어가게 된다.
김태흠 도지사는 "더는 현재의 농축산업구조로는 미래에 대응할 수 없다. 구조와 시스템을 바꾼다는 생각으로 가보지 않은 길인 스마트축산단지를 추진해야 한다"며 "각종 시설에 대기업도 입주시키고 축협을 통한 도축장 조성, 스마트팜은 앵커기업에게 혜택을 주는 등 국가 전체의 농업 방향을 함께 만들어 가야 한다"고 말했다.
내포=이현제 기자 guswp3@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