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지희 음악평론가 |
새해 벽두에 영화 '크레센도'를 보았다. 2022년 6월 미국 텍사스에서 열린 제16회 반 클라이번 무대 뒤 연주자들의 다양한 감정과 대회에 임하는 태도를 집중적으로 조명한 영상이다. 그리고 이 영화는 최종적으로 금메달을 향한 임윤찬의 모습에 초점을 맞췄다. 왜 영화 제목을 크레센도로 정했는지 감독의 생각이 궁금하지 않았다. 오히려 이 영화는 객석에 앉은 관객에게 각자의 크레센도를 생각게 했다. 크레센도가 무엇인가? 음악에서 크레센도는 점점 크게 질과 양의 확장을 의미한다. 더더욱 생각할 거리를 던졌다. 이 영화의 제목은 무엇을 의미했을까.
영화 '크레센도'를 통해 가장 인상적으로 다가온 사실은 국제적인 대회에 참가한 연주자들의 마음가짐이었다. 반 클라이버 대회에 참석해 최종 파이널 6명 안에 든 연주자들의 내면은 긴장과 행복이 동시에 내재돼 있었다. 연주자들은 텍사스 개인 가정집에 머물며 슈타인웨이 피아노로 연습했다. 클래식 음악을 사랑하는 호스트들이 제공한 집에서 기꺼이 대회를 즐기고 있었다. 아직 순위가 매겨지지 않았지만 파이널 연주를 할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는 데 감사와 기쁨이 있었다. 3등 안에 들지 않더라도 반 클라이번 대회에 참석하는 일이 얼마나 소중하고 값진 경험인지 그 자체를 누리고 있다는 사실이 새삼 감동이었다.
우리는 순위와 결과에 얼마나 집착하며 살고 있는가. 올림픽을 비롯한 국제 스포츠대회는 더 높이, 더 빠르게, 더 멀리 가는 게임이기에 어떤 상황이든 순위에 들면 메달을 딸 수 있다. 그러나 음악은 오히려 더 알맞게, 더 멋지게, 더 놀랍게 감동을 자아내는 예술이다. 더 빨리한다고 순위에 들어오지 않는다. 오히려 지나치게 빠르거나 과장된 음악은 감점 요인이다. 결국 금메달은 누가 더 완성도 높은 기술과 예술적 표현을 달성했는가에 달려있다. 다시 말해서 자기만의 개성과 특별한 해석이 더 큰 박수를 받는 무대라는 뜻이다. 실제 심사위원석에서도 잘 치는 사람보다 다시 듣고 싶은 사람을 뽑는다고 하지 않았는가.
영화 '크레센도'는 초반에 임윤찬보다 메달 가능성과 화제성을 지닌 연주자들의 인터뷰에 많은 분량이 할당됐다. 당시에도 전쟁 중인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출신 피아니스트, 그리고 열악한 환경에서 클래식 연주자로 우뚝 선 미국 출신 흑인 피아니스트는 음악 외적인 요소에서 단연 돋보였다. 그럼에도 임윤찬은 존경하는 예술가들을 생각하며 혼신의 힘을 다해 작품을 표현함으로써 관객뿐 아니라 함께 참여한 연주자들, 지휘자와 오케스트라 단원 모두에게 가슴 벅찬 기쁨을 선사했다. 예술가로서의 임윤찬의 태도는 우리 모두에게 크레센도로 인식됐다.
음악적으로도 임윤찬의 라흐마니노프는 개성있는 해석과 입체감 넘치는 당당한 연주였다. 그 영롱한 음색과 폭풍처럼 몰아치는 웅장한 타건이 만들어내는 다채로운 울림은 클래식 음악의 아름다움을 돌아보게 한다. 크레센도 개념은 실제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3번의 음악적 흐름에도 해당한다. 이 작품은 처음 시작하는 선율이 간결하지만, 그 주제가 점점 크레센도로 확장돼 나가면서 마지막 부분에서 절정을 이룬다.
한편 우승자 임윤찬의 압도적인 연주에 경도되서 간과하기 쉽지만, 이번 대회에는 주목할 세 명의 한국 출신 연주자들이 더 있었다. 피아니스트 김홍기, 박진형, 신창용의 음악과 인생도 점점 더 커지는 크레센도가 되길 고대한다. 영화 '크레센도'는 내적으로 우리의 삶과 생각이, 그리고 클래식 음악이 진정으로 크레센도가 되는 길을 연주자와 관객 모두에게 잔잔하지만 감동적으로 보여줬다. /오지희 음악평론가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