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대전충남 암환자 생존률 74% 증가추세… 고령층 암발생 주의를

  • 사회/교육
  • 건강/의료

[건강] 대전충남 암환자 생존률 74% 증가추세… 고령층 암발생 주의를

충남대병원 대전지역암센터 2021년 암통계
신규 암환자 7298명 전년대비 12% 증가해
위·대장·간암 발생률 감소.유방암 지속 증가

  • 승인 2024-02-04 14:36
  • 신문게재 2024-02-05 10면
  • 임병안 기자임병안 기자
2024011701001379500053201
충남대병원 대전지역암센터가 2021년 암통계를 발표하고 5년 상대생존율 등을 공표했다. 사진은 충남대병원 내 대전지역암센터 모습.
대전과 충남·세종에서 65세 이상 고령층에서 신규 암 발생이 급격히 증가해 주의가 요구되고, 갑상선을 제외하고 2021년 폐암이 가장 많이 발생했는데 순위에서 2단계나 수직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여성에게 주로 발생하는 유방암은 인구 10만 명당 2011년 39.7명에서 2021년 56.8명으로 증가 추세가 꺾이지 않고 있다.

▲남자는 폐암, 여자는 유방암

4일 충남대병원 대전지역암센터에 따르면, 가장 최근 통계인 2021년 우리 지역에서 가장 많이 발생한 암은 갑상선암이었으며, 이어서 폐암, 대장암, 위암, 유방암, 전립선암의 순이었다. 신규 발생한 암환자는 7298명으로 이중 남성 3778명이고 여성은 3520명이었다. 신규 암환자는 10년 전인 2011년 6115명에 비해 1183명 증가한 것이고, 2020년 6517명에 비해 781명(12%) 늘어났다. 코로나19 유행으로 2019년 대비 2020년 암발생이 감소했으나 2021년 다시 일상을 회복하고 의료이용 증가와 암검진이 활성화되면서 다시 신규 발생 통계가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 2021년 인구 10만 명당 연령표준화발생률은 523.7명(남성 601.8명, 여성 478명)이었다. 이는 전국 평균 526.7명보다 다소 낮은 수준으로 2006년과 2011년 그리고 2016년까지 대전지역 암 발생률이 전국평균보다 줄곧 높다가 2021년 전국 수준 아래로 내려갔다. 남성의 경우 폐암, 위암, 대장암, 전립선암, 간암 순이었으며, 여성의 암 순위는 유방암, 갑상선암, 대장암, 위암, 폐암 순이었다. 연령군별 65세 구간에서의 암발생률은 10만 명당 1236.1명에 달해 고령층에서 암 발생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특성을 보였다. 5~59세까지는 여성의 암발생률이 더 높다가, 그 이후의 연령대부터는 남성 암발생률이 더 높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남성의 경우 49세까지는 대장암이, 50~64세까지는 위암이, 65~79세 이후에는 폐암이, 80~84세에는 전립선암이 가장 많이 발생했다. 여성의 경우 44세까지는 갑상선암이, 45~74세까지는 유방암이, 75세 이후에는 대장암이 가장 많이 발생했다. 전국통계를 보면, 우리나라 국민이 기대수명(83.6세)까지 생존할 경우 암에 걸릴 확률은 38.1%였으며, 남자(80.6세)는 5명 중 2명, 여자는 3명 중 1명에서 암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됐다.

2023032001001490500058521 (1)
충남대병원 대전지역암센터가 환자들이 오가는 통로이 암통계를 반영한 암 바로알기 안내문구를 게시하고 있다.
▲위·대장·간암은 감소·유방암 증가



남녀 전체에서 위암, 대장암, 간암의 발생률은 감소 추세를 보이며, 반대로 유방암의 발생률은 증가 추세를 보인다. 유방암은 인구 10만 명당 약 1.7명씩 연평균 증가율을 보였으며, 2020년 대비 5.7명 증가했다. 대장암과 간암은 2011년, 위암과 갑상선암은 2013년부터 감소 추세를 보이고, 폐암은 2016년까지 증가 추세를 보였다. 남성의 경우 간암 인구 10만 명당 발생률은 2011년 48명대비 2021년 37.9명으로 10.1명 감소했다. 위암의 경우 2010년부터 2020년까지 꾸준히 발생률이 감소했고, 대장암은 2010년부터 2018년까지 발생률이 크게 감소했으나 2019년에 증가하는 추세로 전환했다. 폐암과 전립선암은 2011년부터 2021년까지 증감을 반복하는 발생률을 보였다. 여성의 경우 암 발생률이 2013년부터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나 2017년부터 다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유방암의 발생률은 2011년 77.3명에서 2021년 111.6명으로 34.3명 증가했다. 갑상선암의 발생률은 2011년부터 2015년까지 크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이후 소폭 증감을 반복했다. 위암은 꾸준히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대장암·폐암·자궁경부암은 증감을 반복하는 추세를 보였다.

▲생존율 폐암 11%↑ 대장암 2.9%↓

암환자 5년 상대생존율은 2021년 74%로 10년 사이 2.9%p 증가했다. 암환자 10명 중 7명은 5년 이상 생존하는 것으로 여성이 79.7%으로 남성 68.5%보다 높았다. 이는 생존율이 높은 갑상선암, 유방암이 여성에서 더 많이 발생하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암종별로는 남녀 전체에서 갑상선암 99.7%, 전립선암 96%, 유방암 96% 높은 생존률을 보였고, 폐암 41.2%, 간암 38.9%, 담낭 및 기타 담도암 32.1%, 췌장암 17.2%은 상대적으로 낮은 생존율을 보였다. 폐암은 10년 전(2007~2011년) 대비 생존율이 11.7%p 상승했고, 간암에서도 같은 기간 10.5%p, 췌장암도 9.8%p 상승했다. 다만, 남성의 경우 대장암은 10년 전 대비 5년 상대생존율이 오히려 2.9%p 감소했고, 여자의 경우 담당 및 기타 담도암에서 1.7%p 감소했으며, 자궁경부암(-0.2%p)과 갑상선암(-0.7%p)에서는 정체되고 있다.

▲지역암센터 통합지지·호스피스 서비스

대전지역암센터는 보건복지부가 지정한 국가지정 암센터로서 진단과 진료, 암 발생률과 사망률을 낮추는 관리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암검진 사업과 암생존자 지지사업, 암연구사업 등을 수행하고 있으며, 암생존자통합지지사업과 호스피스완화의료도 국가지정 암센터에서 제공하는 암의료 서비스 중 하나다. 영양과 식생활, 피로관리·심리지지 및 사회복귀 등을 제공하며 필요 시 암 심층상담과 림프부종관리, 수면위생교육, 그림책만들기 등에 참여할 수 있다. 말기 질환을 가진 환자와 가족을 위해 가정형 및 입원형 그리고 자문형호스피스를 운영 중이다. 충남대병원 권역호스피스센터는 2017년 전국 1호로 지정받아 충청권 호스피스전문기관에 대한 교육훈련 사업을 수행 중이다. 2020년부터는 소아청소년완화의료 시범사업을 시작해 91명의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을 갖은 소아청소년 환아와 가족에게 완화의료를 제공하고 있다. 남은 가족이 새로운 희망과 의미, 가치 발견을 통해 성장할 수 있도록 사별가족 프로그램 및 호스피스 후원회 활동을 통한 사회 복귀를 지원하고 있다.
임병안 기자 victorylb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다문화] 7월 러시아 무더위 시작
  2. "韓 정치 승자독식 깨야"…지방분권 강화도 양극화 해법
  3. [대전다문화] 결혼이민자의 자립을 돕는 K-뷰티, 고강철 대표를 만나다
  4. [대전다문화] 대전 라틴 커뮤니티, 창의와 축제를 통해 문화를 나누다
  5. [대전다문화] 밀키트 엄마에서 요리하는 엄마로
  1. 대청호보전운동본부, 10일 대청호 민관협력 위한 첫 포럼 개최
  2. '한글도시' 위상 떨쳐… 세종시 작가 13명 '한글문화특별기획전’ 선정
  3. [대전다문화] 결혼문화의 변화: 전통과 현대 사이
  4. 법원, 음주사고 후 측정 거부 충남도의원 항소 기각
  5. [대전다문화] 야구로 이어진 마음, 나고야에서 대전까지

헤드라인 뉴스


김경수 지방시대위원장 취임...`세종시=행정수도` 제속도 낼까

김경수 지방시대위원장 취임...'세종시=행정수도' 제속도 낼까

김경수 지방시대위원회 위원장이 10일 공식 취임하면서, '세종시=행정수도'와 '5극 3특'의 균형성장 실현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현실의 벽은 여전히 높아 쉽지 않은 과제라는 건 분명하다. 위원회가 장관급의 대통령 직속 기구이나 예산 집행권을 갖지 못한 한계가 분명하고, 수도권의 초집중·과밀 속도가 여전히 빠르기 때문이다. 2004년부터 세종시와 12개 지방 혁신도시가 차례로 건설되고, 수도권 공공기관 중심의 분산 배치가 이뤄졌음에도 '인서울'의 큰 흐름은 꺾이지 않고 있다. ▲2019년 수도권 인구가 대한민국의 절반 상회..

‘윤석열’ 내란특검에 재구속… 법원 “증거인멸 염려” 영장 발부
‘윤석열’ 내란특검에 재구속… 법원 “증거인멸 염려” 영장 발부

윤석열 전 대통령이 재구속됐다. 내란 우두머리 혐의로 처음 구속됐다가 3월 8일 법원의 구속 취소 결정으로 석방된 지 124일 만이다. 서울중앙지법 남세진 영장전담 부장판사는 10일 오전 2시 7분경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와 특수공무집행방해 등의 혐의로 내란 특검팀이 청구한 윤 전 대통령에 대한 구속영장을 발부했다. 발부 사유는 “증거 인멸 염려 때문”이라고 밝혔다. 앞서 조은석 특검검사팀은 경찰·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체포영장 집행 저지 혐의(특수공무집행 방해), 비화폰 통화기록 삭제 지시 혐의(경호처법상 직권남용교사), 12..

세종 공동캠퍼스 `충남대 의대` 9월 문 연다
세종 공동캠퍼스 '충남대 의대' 9월 문 연다

세종시 집현동 공동캠퍼스에 입주하는 충남대 의과대학이 오는 9월 문을 연다. 의정 갈등 여파로 한차례 개교 연기 끝 희소식으로, 앞으로 충남대 의대 입학생들은 의예과 1~2학년 과정을 세종공동캠퍼스에서 보내게 된다. 한석수 세종 공동캠퍼스 이사장은 9일 취임 1주년 기자간담회 자리에서 "임대형 캠퍼스의 절반 가까이를 차지하고 있는 충남대 의대가 의정 갈등으로 입주를 못하다 보니 편의시설 미비 등 운영 어려움이 있었지만 이제 자리를 갖춰가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세종공동캠퍼스 운영법인(이하 공캠법인)에 따르면 2024년 개교 이후..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꿈돌이와 전통주가 만났다’…꿈돌이 막걸리 출시 ‘꿈돌이와 전통주가 만났다’…꿈돌이 막걸리 출시

  • 대전 쪽방촌 찾은 김민석 국무총리 대전 쪽방촌 찾은 김민석 국무총리

  • ‘시원하게 장 보세요’ ‘시원하게 장 보세요’

  • 지상 ‘한산’ 지하 ‘북적’…폭염에 극과 극 지상 ‘한산’ 지하 ‘북적’…폭염에 극과 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