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홍철 국립한밭대 명예총장 |
지난 1월 15일부터 19일까지 스위스의 다보스에서는 '세계 경제 포럼'(일명 다보스 포럼)이 열렸지요. 각국의 정상급 지도자 60명을 포함 2800명의 재계·정계의 리더와 세계적인 석학들이 참여하여 '인류의 생존 해법'을 모색하였지요.
당연히 세계에서의 안보와 협력, 새로운 성장과 일자리, AI, 기후 위기 등이 핵심 주제로 부각되었고, 다보스 포럼은 이번 포럼을 총정리하면서 3가지 키워드가 논의되었다고 발표하였습니다. 즉 첫째는 인공지능(AI), 둘째는 전쟁, 셋째는 트럼프 시즌2에 대한 토론이 집중되었습니다. 그러나 뚜렷한 대안이나 결론의 도출이 없이 문제 제기에 끝나고 말았습니다.
먼저, AI가 일자리를 빼앗는 것은 물론이고, 사실을 확인하기 더 어려워지면서 허위 정보에 날개를 달아준다는 걱정이 있었습니다. 그뿐만 아니라 '악의적인 행위자'가 등장하여 사이버 공격이 더 쉽게 수행될 수 있다고도 했습니다. 그래서 '오픈 AI'의 CEO 샘 알트만이 제기한 대로 "인간처럼 일을 처리할 수 있는 AI의 등장에 대비하여 고민과 준비가 필요하다"라는 우려만 제기되었을 뿐입니다.
전쟁에 대해서도 뚜렷한 아이디어가 없었습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이 3년째 이어짐에도 불구하고 이스라엘 대통령과 이란 외무장관의 설전만 오고 갔지요.
트럼프 시즌2에 대비해야 한다는 의견들이 많이 나왔고 몇몇 나라에서는 이미 대응 전략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트럼프는 과거 대통령에 취임하자마자 파리기후협약에서 탈퇴하였고, '보호무역주의'와 '미국 우선주의'를 강조함으로써 국제적 협력을 등한시하였습니다. 그래서 외교 규범과 전통이 폐기되었다는 평가를 받았지요.
이번 포럼에 참석한 미국 칼라일그룹 데이비드 루벤스타인 회장은 지금 미국에서는 무역이라는 말이 거의 욕설이 되었다고 하면서 "누가 대통령이 되든 의회는 당분간 주요 무역 협정을 통과시키지 않을 것"이라고 말하였습니다. 미국에서는 무역이 일자리를 나라 밖으로 내보낸다는 인식이 유권자 사이에서 빠르게 확산하고 있습니다. 그뿐만 아니라 만일 트럼프 시즌2가 도래한다면 미·중 갈등이 심화되어 더욱 무역에는 역행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견해입니다.
사실상 각계 전문가는 '올해 세계가 직면한 가장 큰 위협'은 기후 위기라고 제기하면서 대응 목소리를 내었지만 공식적인 논의에는 한계를 보였습니다. 구테흐스 UN 사무총장은 "세계가 기후 위기에 맞서 함께 행동할 힘이 없는 것 같다"라고 개탄하면서 "기후 붕괴는 이미 시작되었는데 각국은 탄소 배출량을 늘리는 데만 열중하고 있다"고 지적하였지요.
기후 위기, 무역 퇴보, 그리고 안보 위협이 고조됨에도 구체적인 합의는 도출하지 못했습니다. 이번 다보스 포럼에서는 사회적 불평들과 양극화에 대한 논의는 수면 위에 떠오르지도 않았음은 아주 아픈 대목입니다. 이런 분위기에서도 한국의 김동관 한화 부회장과 정기선 현대 부회장은 '탈탄소' 비전을 제시하여 관심을 끌었는데, 국제사회에서 뭔가 후속 조치들이 이뤄져야 하겠습니다. 이번 다보스 포럼에는 한덕수 국무총리도 참여했습니다. 따라서 정부는 포럼에서 제기된 문제에 대한 대응 전략을 빨리 수립할 것을 기대합니다. 특히 트럼프 시즌2가 현실화된다면 안보, 무역 등 심각한 상황이 예상되기 때문에 심도있는 대응책이 필요합니다.
염홍철 국립한밭대 명예총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