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민족은 수백 년 전부터 신무기를 개발해 조국을 지켜냈다. 사진은 조선시대 다연장 로켓 신기전 출처:게티이미지 |
대한민국의 효자 수출 품목으로 주목받고 있는 K 방산의 저력에는 수천 년 전부터 이어져 내려오는 무기제조 기술이 있었다. 최근 인기리에 방영 중인 대하 드라마 '고려 거란전쟁'에는 수십만의 거란 대군에 맞서 싸우는 고려 병사들의 다양한 무기가 등장한다. 993년(성종 12년)부터 1019년(현종 10년)에 이르기까지 26년 동안 이어진 여요 전쟁에서 고려는 압도적인 병력을 가진 거란군에 대응하고자 치밀한 전술과 무기로 맞서 싸웠다.
2차 여요 전쟁에서 가장 치열한 전투였던 통주 전투에서 고려군은 막강한 거란 기병에 대응하고자 '검차'를 전면에 배치했다. 방패 형태의 마차에 검을 꽂은 형상으로 조선 정조 때 발간됐던 군사 연구서 풍천유향[風泉遺響]에 그 기록이 남아 있다. 고려사에는 통주전투를 지휘했던 고려 장군 강조가 "검차를 진에 배치하여 거란병이 들어오면 검차로 이를 동시에 공격하게 하니 꺾여 쓰러지지 않음이 없었다"라는 기록이 있다. 발해를 멸망시키고 강대국 송나라의 보병들도 두려워했던 거란의 기병들을 단숨에 제압했던 검차는 이후 이어진 전투에서도 고려 군사들의 든든한 방어 무기로 활약했다.
한반도를 지켜낸 대표적인 무기는 역시 '활'이다. 중국 역사서에는 한반도에 활을 중요시하는 민족이라는 뜻으로 '동이족'이라 불렸다는 기록이 있다. 서양의 양궁, 몽골의 활도 뛰어난 위력을 발휘했지만, 우리나라의 각궁(角弓)은 물소의 뿔, 대나무 등 다양한 재료와 기술을 조합해 최강의 위력을 발휘했다. 각궁 외에도 활의 크기와 재질에 따라 다양한 활이 있었다. 뽕나무와 광대싸리로 만든 목궁, 박달나무로 만든 단궁, 대나무로 만든 죽궁, 철재로 만든 철태궁이 있었다.
조선 시대 무관을 선발했던 무과시험에서는 서서 활을 쏘는 보사(步射)와 말을 타고 활을 쏘는 기사(騎射)를 반드시 통과해야 했다. 달리는 말 위에서 화살로 표적을 정확히 맞히는 고난도의 기술인데 민족의 영웅 이순신 장군도 바로 이 과목에서 낙마하며 무과시험에 낙방했다. 말을 탄 기병(騎兵)은 기동력 확보를 위해 각궁보다 작은 편전(片箭)을 다뤘다. 각궁보다 작아 '애깃살'이라고 불렸는데 '통아'라는 발사대를 달아 사거리와 정확도를 높였다. 문헌에는 500m를 날아가고도 목표물에 적중할 정도로 가성비가 뛰어났는데 오늘날의 현대식 소총에 버금가는 위력이다.
고려말에 한반도에 전해진 화약은 고려 우왕 때 최무선(崔茂宣)이 화약 제조법을 습득하고 이를 화포 제작기술로 승화시킨 것이 시작이었다. 최무선은 화통도감(火筒都監)이라는 관을 설치해 화약제조 기술과 화포기술을 발전시켰다. 조선이 개국한 이후에도 화포는 장인들에 의해 꾸준히 연구됐다. 세종은 왕자 시절부터 화약 무기 개발에 많은 관심을 가졌는데 보위에 오르자 군기감의 대장간을 궁궐 옆에 짓게 할 정도로 화약 무기에 열정을 보였다. 세종 재임 기간 개발된 화약 무기만 총포류 10개, 폭탄류 8종, 로켓 화기 5종 등 23종에 달한다. 임진왜란 당시 3대 대첩으로 기록된 한산도대첩, 진주대첩, 행주대첩은 조선의 화약 무기에 있어 일본보다 우위를 점하고 있었기에 가능했다.
우리 조상들의 무기에 관한 연구와 노력은 현대로 이어지고 있다. 괴물 미사일 '현무' 다연장로켓 '천무' 지상전의 왕자 'K2 흑표' 명품 자주포 'K9 자주포'로 전해지는 무기 개발 기술은 작은 나라를 지키고자 했던 선열들의 호국정신 계승의 산물이라 할 수 있다.
금상진 뉴스디지털부 부장
금상진 뉴스디지털부 부장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