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채석 카이스트 공과대학 융복합연구센터 지능융합연구팀 팀장 |
공공서비스 또한 실외에서 실내로 관심이 높아가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2020년 11월 도로명주소법 정부개정법률안을 통해 입체주소 개념을 공개했다. 기존의 사람이나 법인의 거주지나 소재지를 표현하는 주소에서, 실내에 존재하는 사물이나 장소의 위치를 표현하기 위한 수단으로 그 개념을 확대하여 적용하고 있다. 단계적으로 구축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머지않아 실내에서 실외처럼 도로명주소를 통해 내 위치를 공유할 수 있게 된다.
비슷한 흐름으로 자동차 내비게이션, 지도 검색 서비스 등과 같은 위치기반 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 또한 실내로 그 범위를 넓혀나가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로 네이버 지도의 경우 전국의 주요 다중집합이용시설(기차역, 지하철 역사, 백화점 등)에 대해 실내지도를 제작해 실내를 간편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기반을 바탕으로 실내에도 내비게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노력들이 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는 2021년도부터 입체주소 기반 실내내비게이션 기술을 개발, 전국확산을 위해 실증을 지속하고 있다. 2022년도는 대전시 유성구 '대전신세계 아트앤사이언스'를 통해 실내내비게이션 실증을 수행했으며, 해당 성과를 바탕으로 2023년도는 대전역에서부터 중앙로지하상가에 이르는 대단위 실증을 진행하고 있다. 해당 규모는 16만㎡로 전국 최대 규모의 실증범위를 가진다.
실외 내비게이션은 GPS를 바탕으로 길 안내를 제공할 수 있지만, 실내의 경우 내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기술이 별도로 필요하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기관의 노력이 있었지만, 유지보수 및 지속 성장의 벽을 넘지 못했다. 한국과학기술원은 별도의 장비 설치는 일체 고려하지 않고, 실내에서 수집할 수 있는 무선신호 정보를 바탕으로 AI기법을 활용한 장소학습(Place Learning) 기술을 통해 이 문제를 극복했다. 서비스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실내 이동경로를 바탕으로 부정확한 위치정보를 정확한 위치로 변환하기 위한 보정기술을 탑재했다. 사실 이러한 기술은 실외에서 흔히 쓰는 기술이다. 그 이유는 GPS도 3m~수십m로 위치추정 오차가 큰데, 자동차 네비게이션에서 도로를 벗어나지 않는 이유는 위치 정보를 도로의 공간정보와 보정하기 때문이다. 실내도 같은 원리로 해결이 가능하다.
초고층 및 지하연계복합건축물이 늘어나면서, 실내를 대상으로 한 공공이나 민간 위치 서비스가 늘어 날것으로 전망된다. 공공에서는 소방안전과 연계하여, 119 호출 시 도착시간을 가늠할 수 있게 되며, 소방관은 구조자까지 최단경로로 구출할 수 있게 된다. 민간에서는 실내에 위치한 상점이나 안내를 보다 효과적으로 적극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SNS나 소셜미디어에 지금보다 촘촘하게 위치를 표현할 수 있게 된다.
수년간 많은 사업자가 실내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했지만, 기술 성숙의 어려움으로 그 꽃을 피우지 못했다. 실외로 GPS 위성을 쏘아 올리는 노력은 국가에서 진행했듯이, 새로운 시장과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실내도 민관 협동으로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한국과학기술원은 선제적인 모델로, 그 첫발을 대전(대전 길알림이)을 통해서 이루고 전국으로 확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후 실증 모델을 오픈할 계획이며, 이러한 노력은 실내 위치기반 서비스 산업 육성을 위한 디딤돌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이채석 카이스트 공과대학 융복합연구센터 지능융합연구팀 팀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