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궁선혜 대전보건대 교수 |
이러한 나의 소식을 알게 된 지인들의 걱정과 위로는 끊임없이 이어졌고 이구동성으로 하는 이야기는 "나이 들어서 그래요. 이제는 조심할 나이예요," 한마디로 정리하자면 '노화'가 진행되었으니 이로 인한 안전사고가 일어나지 않도록 조심했었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특히 갱년기 여성이 조심해야 할 증상으로 골다공증이 있으며 이로 인하여 뼈가 골절되기 쉽고 또한 일단 골절이 되면 회복도 젊은 사람들처럼 빨리 되기는 어렵다는 것이다.
소위 젊어는 봤어도 늙기는 이제 시작인데, 과연 나의 늙어짐은 그리고 갱년기는 어떻게 진행될까? 여성의 갱년기는 질병 또는 노화에 의해 난소기능이 감소하면서 폐경과 관련된 신체적·심리적 변화를 겪는 시기를 말한다고 한다(보건복지부 국립재활원 장애인 건강 및 재활 정보포털). 대개 40대 중후반부에서 시작되어서 점진적으로 진행된다고 하며,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의 분비 감소로 갱년기 여성은 신체적 변화와 함께 마음의 변화를 함께 겪게 된다고 한다. 우스겟 소리이지만 사춘기 자녀와 갱년기 엄마 사이에서 갈등 상황이 발생할 경우 갱년기 엄마가 이긴다는 말이 있을 정도이다. 이런 말에서 유추할 수 있는 것은 그 어마무시하다는 사춘기도 이겨버리는 갱년기는 사춘기보다 더 어마무시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일생 중에 이렇게 어마무시한 상황을 경험하게 되는 갱년기 여성들은 갱년기를 어떻게 이해하고 대처하고 있는가? 생애주기별 신체적·정신적 건강을 유지하는 차원에서 갱년기는 사전 모니터링이 되고 있는가? 예컨대 암을 예방하기 위하여 생애주기적 건강관리 차원으로 국가에서는 전 국민을 대상으로 암예방 검진을 실시하고 있다. 그렇다면 생애주기적 건강관리 측면으로 갱년기를 겪을 여성들을 위한 예방적 대비도 국가적 차원으로 계획되고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해본다. 특히 제안하고 싶은 것은 갱년기를 잘 이해하고 대비할 수 있는 '갱년기 준비 교육'이 있었으면 한다는 것이다. 청소년기에 받아야 할 필수교육으로 '성교육'이 있다면 갱년기를 앞둔 여성을 위한 필수교육으로 '갱년기 준비 교육'도 실행되었으면 한다. 갱년기 증상 완화를 위한 호르몬제 복용과 같은 후속 처방이 아닌 선제적 조치 차원으로 말이다. 예를 들어, 보건소나 주민센터에서 '갱년기 준비 교육'을 위한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도 있고 '갱년기 여성의 건강주의보 매뉴얼'과 같은 자료를 마련하여 갱년기를 안전하게 보내기 위해 일상적인 생활에서 주의해야 할 점들을 자세하게 안내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양희은 가수가 낸 에세이 '그럴 수 있어' 에 갱년기 여성을 위한 새벽 가게 및 까페가 있었으면 하는 내용이 있다. 새벽에 잠이 깨어 일찍 기상한 갱년기 여성을 위한 새로운 비지니스 아이템이 필요하지 않겠나? 라고 하는 그녀의 제안에 나도 모르게 웃음을 짓게 된다.
2024년 새해에는 건강한 갱년기 세리모니가 가득한 한해가 될 수 있기를 소망해 본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