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수 전 대전외국어고등학교 교사 |
이는 가정과 사회라는 울타리를 벗어나 혼자만의 세계에 갇히는 생활추세를 말해준다. 그리고 결국은 게임, 마약 중독, 우울증, 자살로 이어지는 사회악으로 이어진다는 사실이 문제다.
필자는 여기에서 조선 중기 대표적인 경세사상가 초려 이유태(李惟泰) 선생의 개혁론을 생각하며 이를 새로운 의식전환의 계기로 삼고자 한다. 초려 선생은 정암 조광조, 율곡 이이를 이어 정치, 사회개혁을 주창하며 순근아칙 화이불류(醇謹雅飭 和而不流)의 생활을 몸소 실천한 대유학자다. 수기치인(修己治人)을 소홀히 하고, 경전을 입으로만 말하며 세상사를 아는 체하는 교육의 폐단을 지적하고 수신(修身), 정심(正心)공부에는 마음이 없고, 치국평천하(治國平天下)를 감언이설로 현혹하는 정치를 신랄하게 비판하고, 상행하교(上行下敎)의 교훈을 벗어난 관료의 무실(無實)을 크게 질타하고 안타까워했다.
모든 동물은 이기적이다. 그러나 사람은 이기적이면서도 이타적인 존재로 시간의 개념을 알면서 만물을 지배할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다. 나와 너의 관계를 정립하고 나를 벗어나 더불어 사는 사회인으로 거듭나야 한다. 작은 부분에 집착해 고집하지 말고 전체를 보려는 큰 안목을 가지고, 목전의 이익에만 정신을 팔지 말며, 과거를 돌아보고 현재를 성찰하고 미래를 준비할 줄 알아야 비로소 만물의 영장이라 할 수 있지 않을까?
사람에게는 정체성이 중요하다. 자기 정체성이 그렇고 국가의 정체성이 그렇다. 위기에 빠져드는 현실에서 의식의 대전환을 위한 방법을 초려 선생의 글에서 찾아본다.
먼저, 나를 제대로 아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 나는 누구고, 내가 해야 할 도리와 의무는 무엇인지 바른 목표를 세우고(立志), 사물의 이치를 생각하며 경험을 쌓아 스스로를 깨우치자(窮理). 자신을 이겨가며(克己) 자신을 다지고(養氣) 매사에 성실히 임하는 습관을 기르자. 나를 알고 생각하는 사람이 되어야 근본이 없는 사람, 개념이 없는 사람, 미래가 없는 사람이 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상행하효(上行下效)를 실천해야 한다는 점이다. 공자는 '말로 가르치면 대들고 몸으로 가르치면 따른다'고 했다. 가정에서나 사회에서나 국가에서도 실천해야 할 최고의 덕목이다. 나를 돌아보지 않고 남 탓으로 떠넘기는 잘못을 위에서부터 버려서 따르게 하자. 또한, 올바른 관계를 맺는 교육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사실이다. 가족과의 관계, 친구와의 관계 그리고 사회와 국가와 나와의 관계를 바르게 해야 한다. 나만을 중심에 둔 이기심은 관계의 단절을 초래하고 결국 나도 파멸할 수 있다.
어린 왕자는 말했다. 친구는 돈으로 살 수 있는 것이 아니라고…. 오랫동안 이어져 온 '대학에 가기 위한 교육'에서 벗어나 신라의 화랑도 같이 배워야 한다. 그러면 극단적 이기주의에서 비롯되는 가정의 파괴와 관계의 단절로 인한 사회악이 사라지고 개인의 고립을 벗어나 더불어 함께하는 유능한 사회인으로 성장할 것이다는 판단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