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바이오. |
당초 수도권에 유리했던 평가 기준에 대해 대전 등 비수도권 지자체로부터 개선 촉구 여론이 거세지자 정부가 전격적으로 이를 수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대전시 안팎에선 정부가 공모과정에서 균형발전 의지를 분명히 밝힌 만큼 실제 심사에서도 이 같은 기조가 유지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25일 중도일보 취재 결과, 사업 주체인 산업통상자원부는 전날 서울에서 2차 현장설명회를 개최, "국가균형발전 항목을 선정 기준에서 엄정히 고려하겠다"라며 "해당 항목을 주요 평가항목으로 볼 것"이라고 밝혔다.
산자부는 선정 평가 기준에 국가균형발전을 넣긴 했으나, 여러 지자체의 요구에도 해당 항목에 대한 설명을 미뤄왔다. 이를 두고 국가공모사업에서 지역 가점과 배려가 필요하다는 비수도권의 요구가 이번에도 묵살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터져 나왔다.
또 이번 사업이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재정 격차를 전혀 고려하지 않는 등 지방시대를 역행한다는 중도일보 보도 등 비수도권의 반발이 잇따르자 정부가 전격 태세를 바꾼 것이다.
다만, 지역 가점 비중이 이번 사업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칠지는 아직 미지수다. 현재 비수도권 지자체에서는 세부적인 항목과 기준에 대한 평가 배점을 공개해 달라 요청한 상태다.
이 외에도 형평성 논란이 끊이지 않았던 특화단지에 필요한 기술 기준도 확대됐다.
앞서 지난해 6월 정부는 이번 특화단지 공모 사업과 관련해 국가첨단전략기술 바이오 분야에 2개 기술을 추가했다.
정부는 추가한 2가지 기술력을 갖춘 지자체를 이번 특화단지로 선정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바이오 의약품 개발·제조에 적용되는 '동물세포 배양·정제 기술(1만ℓ 이상)과 고품질 오노가이드 재생치료제 개발·제조에 적용되는 ‘오가노이드 분화 및 배양 기술’이다.
정부가 발표한 기술력을 충족하는 지자체는 전국에 단 두 곳으로 인천 송도와 충북 오송이 유일하다. 이 두 곳 모두 이미 막대한 민간 투자가 가능하고 전폭적인 정부의 지원을 받고 있던 터라 이들과의 경쟁은 사실상 불가능한 셈이다.
결국 기술 분야를 확대해달라는 타 지자체들의 목소리가 커지자 산자부는 '동물세포, 오가노이드 기술과 함께 이를 기반으로 의약품, 치료제를 연구·개발·생산 판매하거나 소부장 산업력'을 갖춘 곳으로 확대했다.
확대된 기준도 대전시에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할지 관심이다. 현재 대전은 바이오 의약품 연구·개발 등에서 뚜렷한 활약을 보이고, 올해 상반기 머크사 투자 유치가 완료될 시 소부장 기술을 충족할 수 있기 때문이다.
대전시 관계자는 "대전은 정부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초격차 기술을 가지고 있다. 이미 작년 대전 바이오 기업들의 기술 수출만 봐도 알 수 있다"라며 "오로지 기술로만 경쟁한다면 어느 정도 희망은 품지만, 변화 요소들이 많아 전략을 더 집중해서 짤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김지윤 기자 wldbs120611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