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홍진 교수 |
천만 관객 동원의 성취는 무슨 의미일까? 나의 관심은 무엇보다 그것을 소비 향유하는 대중들의 집단 무의식에 있다. 다른 건 차치하고 우리 사회에서 천만 이상의 대중이 한 영화를 보았다면, 그 영화를 구성하는 정체성이 곧 우리의 정체성이며, 무의식과 욕망을 구성하는 중요한 일부라는 것이다. 천만 클럽 영화는 한 시대의 욕망과 사회문화적 정서를 반영한다. 그리하여 대중적 성공을 이룬 영화는 영화와 사회, 영화와 대중 심리의 관계를 엿볼 수 있게 한다.
이런 맥락에서 한 시대나 사회의 정체성, 대중들의 무의식과 정서적 풍경을 살필 때 주목해야 할 작품은 골치 아픈 작가주의 영화가 아니라는 점이다. 그보다는 대중의 무의식을 반영하고 욕망에 영합하는 흥행작이 맞춤이다. 이런 문제의식은 세속적 일상인들의 삶을 역사의 무대에 소환한 아날학파의 입장을 상기시켜준다. 이들은 대중의 감정을 생생하게 파악하기를 원한다면 대단한 일류 사상가를 참조하기보다 이삼류 작가나 작품을 참조하는 게 훨씬 더 낫다고 충고한다.
통속은 세상과 통한다. 이삼류 통속 작가나 작품은 대개 평범함과 조잡성으로 인해 예술적 성취나 심미적 수준이 낮은 것으로 평가되곤 한다. 하지만 보다 중요한 사실은, 대신에 세속적 삶을 살아가는 일반 대중들의 현실적이며 공통된 감정에 매우 근접해 있다는 점이다. 이들 작품은 미적으로나 지적으로 고상한 체하지 않고 본능적으로, 관능적으로, 알몸의 감각으로 세상과 소통한다. 따라서 대중들의 솔직하고 생생한 현실적 정체성과 보편적 무의식과 결핍 억압된 욕망을 파악하는 데 유효한 지점을 제공해준다. 요컨대 흥행에 성공한 영화는 당대 대중들의 욕망과 무의식을 반영하며, 역사적 상처와 사회 심리적 징후를 내포한다. 가령 '변호인', '명량', '암살', '베테랑' 등은 대의명분을 앞세운 주인공이 자신을 희생하는 이야기다. 비슷한 시기에 천만 클럽에 입성한 이들 작품의 주인공은 한결같이 대의명분을 위해 자신을 희생한다. '서울의 봄' 역시 이를 연속한다. 그런데 이런 이야기에 대한 공통 감정과 매혹은 역설적으로 이 시대의 퇴행과 폐색을 담고 있다. 선악이 뚜렷이 대립하는 구도에서 사적 욕망을 초개처럼 여기고 공적 대의를 위해 투쟁하는 영웅 서사에서 우리는 공정과 상식, 정의와 민주, 법치와 공적 가치를 무참히 파괴하는 악한들에게 현실에서 표출해야 할 분노를 스크린을 통해 대리 투사 해소한다.
내가 만난 '서울의 봄' 관객들 반응은 대체로 분노의 감정을 느꼈다는 것이다. 영화의 서사는 권력욕에 사로잡힌 신군부 하나회 전두광 일당, 이에 저항 대립하는 군부 내의 충돌을 벗어나지 않는다. '봄'으로 상징되는 민주화를 바라는 주체인 시민들은 어디에도 없다. 행주대교를 단신으로 막아서고 겹겹의 바리케이트를 넘는 이태신의 확정된 실패의 저항과 광적이고 야비하기 그지없는 권력욕 사이의 충돌 비교만 있을 뿐이다. 새 세상에 대한 유토피아적 전망, 올바름에 대한 상식과 정의가 무참히 훼손되는 불의와 폭력 앞에 관객들은 분노한다. 이게 공통감이라 할 수 있겠지만, 이 분노는 퇴행 폐색된 작금의 현실을 어두컴컴한 극장에서 대리 배설하는 행위가 아닌지 모르겠다.
김홍진 한남대 국어국문 창작학과 교수&문학평론가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