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제공 |
최근 언론에 보도된 통계를 보니 직장인 중 퇴사할 계획이 있는 '퇴준생'이 2021년에는 37.5%였던 것이 지난해 연말 조사에서 81.4%로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퇴사 욕구가 가장 큰 연차는 3년 차(34.6%), '신입~1년 차'(22.9%), '2년 차'(18.3%)순으로 조사돼 직장생활에서의 '워라밸'을 중요시하는 MZ세대를 중심으로 '퇴준생'이 늘어난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들이 퇴사와 이직을 결심한 이유는 '이직해서 연봉을 높이기 위해'(25.6%)와 '회사의 미래가 보이지 않아서'(22.7%), '더 규모가 큰 기업으로 이직하고 싶어서'(13.3%), '회사 사람들이 싫어서'(11.6%)였다. 한편 결혼 여부에 따른 퇴직 사유는 조금 달랐다. 미혼자는 '연봉을 높이기 위해'(28.5%), 기혼자는 '회사의 미래가 보이지 않아서'(26.5%)를 가장 큰 이유로 꼽았다. 미혼자는 당장 눈에 보이는 '급여'를, 기혼자는 장기근속을 염두에 둔 '미래 전망'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이다.
물론 많은 이들이 '경제적 자유'를 갈망할 것이다. 날마다 반복되는 경제적 노동에서 자유로워지려면 '부자'가 되는 것만이 답일까? '경제적 자유'는 단순히 부자가 된다고 꼭 이룰 수 있는 것만은 아니다. 지난해 발표된 가계금융복지조사 통계를 보면 순자산 규모가 10억 원이면 우리나라 상위 10% 부자에 들어간다고 한다. 하지만 자산이 상위 10%인 사람들은 모두 자신이 부자라고 생각하지는 않을 것이다. 수십억짜리 집에 살면서 억대 연봉을 받지만, 빚이 있고 월급에 의존한 생활을 하고 있다면 그 사람을 부자라고 할 수 있을까? 진정한 부자는 자산이 많은 사람이라기보다 자산 정도와 상관없이 경제적 자유와 독립을 이룬 사람일 것이다. 따뜻한 내 집에 살면서 빚이 없고, 근로소득이 없지만 생계에 대한 걱정 없이 스스로 만족하는 삶을 사는 사람이 진짜 부자가 아닐까.
소설가가 되기 전까지 17번의 사표를 썼다는 김훈은 자신이 경험한 밥벌이의 괴로움을 담은 글을 쓴 적이 있다. 그는 2003년에 발간한 '밥벌이의 지겨움'이라는 책에 '친구들아, 밥벌이에는 아무 대책이 없다. 그러나 우리들의 목표는 끝끝내 밥벌이가 아니다. 이걸 잊지 말고 또다시 각자 핸드폰을 차고 거리로 나가서 꾸역꾸역 밥을 벌자. 무슨 도리가 있겠는가. 아무 도리 없다'고 속내를 털어놨다.
부모의 품을 벗어나는 순간부터 치열한 삶의 현장에서 울고 웃는 직장인들. 이들 중 자신의 일을 즐기면서 하는 사람은 흔치 않을 것이다. 4번이나 회사를 그만뒀지만 결국 5번째 회사에 다니고 있다는 조훈희 작가는 '밥벌이의 이로움'이라는 책에서 '어차피 다닐 회사라면 웃으면서 다녀볼까'라고 제안했다. 책의 부제도 '일어나자, 출근하자, 웃으면서'다. 작가는 '몇 곳의 회사를 다녀보니 어디든 비슷하고 결국 남아있는 사람이 승자더라. 힘들어도 끝까지 버텨야 출발선에서 다시 시작하는 고통을 피할 수 있더라. 사람과 일이 주는 무게를 조금 덜어내고 그 덜어낸 틈 사이로 회사가 채워주지 않는 행복을 찾는다면 지금의 밥벌이가 의외로 해볼 만하다는 것이 이 책을 낸 이유'라고 썼다.
나 또한 대학 졸업 후 취업해 밥벌이에 뛰어든 20대부터 오십이 된 지금까지 2번의 이직을 거쳐 현재의 회사에 정착했다. 아직 '돈 많은 백수'의 꿈은 미완의 꿈으로 남아 있지만, 긴 여정을 돌이켜보면 힘들고 괴로운 순간도 있었고 즐겁고 감사하고 행복한 일도 많았다. 같은 일을 하더라도 하기 싫은 데도 밥벌이를 위해 어쩔 수 없이 하는 사람과 좋아서 신이 나서 하는 사람의 마음가짐과 성과는 다를 수밖에 없다. 매일 아침 출근길에 오르는 모든 직장인이 '경제적 자유'를 이루는 그날까지 '행복한 밥벌이'를 이어가길 바래본다.
현옥란 뉴스디지털부 부장
현옥란 뉴스디지털부 부장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