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바이오. |
자칫 들러리 전락 위기로 몰린 비수도권에선 불공정한 평가 우려를 쏟아내며 개선을 촉구하고 있는데 정부가 경기 남부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에 이어 또다시 '수도권 몰아주기'에 나서는 것 아닌지 우려가 크다.
21일 중도일보 취재 결과, 대전시 등 바이오특화단지 유치를 희망하는 비수도권 지자체에서 주관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에 평가 기준을 확대해달라고 요청한 것으로 확인됐다.
산자부는 특화단지 지정에 필요한 바이오 분야를 '동물세포 배양·정제 기술'과 '오가노이드 분화 및 배양 기술' 2개로 나눴다.
현재 문제가 되는 항목은 동물세포 배양·정제 기술이다. 산자부는 동물세포배양 분야 평가 기준을 배지를 1만ℓ 규모 이상 생산하는 지자체로 규정했는데, 해당 규모 이상의 능력을 갖춘 곳은 인천 송도가 유일하다.
송도의 경우 2022년 국내 첫 바이오 의약품 생산용 세포배양 배지 공장을 세운 뒤 국내에서 가장 많은 양의 배지를 생산하고 있다. 또, 인천 대표 앵커기업인 롯데바이오로직스는 올해 12만ℓ 생산 규모의 동물 세포 배양 시설인 송도 바이오플랜트 1공장을 착공할 계획이다.
산자부가 수도권을 겨냥하고 공모를 진행한 게 아니냐는 지적이 끊이지 않는 이유다.
문제는 이뿐만이 아니다. 정부는 여전히 특화단지 선정의 가장 중요한 요소로 대규모 민간 투자 가능 여부를 보고 있다는 것이다.
앞서 지난해 대전시는 반도체 특화단지 지정에서 탈락했는데, 일각에서는 패인을 대기업, 앵커기업 등의 부재로 꼽았다. 이러한 해석은 광주 등 다른 지역에서도 거론됐다.
이후 비수도권에서는 수도권과 산업 등 인프라 차이가 현격한 가운데 이 같은 기준을 국가 공모 사업 평가에 계속 반영하는 것은 불공정하다며 개선을 요구했지만, 정부의 기조는 변함이 없다.
특히 평가 기준에 '국가균형발전' 항목이 포함은 돼 있으나 보여주기식이라는 비판이 거세다. 정부는 지난 10일 공모 희망 지자체를 대상으로 1차 설명회를 열어 지정요건을 설명했으나 지역 가점 도입 등 해당 항목에 대해 어떠한 설명도 하지 않았다는 것이 비수도권 지자체의 전언이다.
결국, 비수도권 지자체들은 정부에 바이오 특화단지 항목을 확대해 달라고 요청한 상태다. 또, 공정한 경쟁을 위해서라도 평가 배점을 공개해달라는 요구도 커지고 있다.
이에 산자부는 오는 24일 평가 기준에 '바이오 의약품 분야'를 추가하겠다는 내용을 전달했지만, 비수도권 지자체의 우려는 완전히 가시지 않고 있다.
대전시 관계자는 "다른 지역에서도 기준 분야를 확대해달라고 요청한 것으로 안다"라며 "수도권에 비해 비수도권이 민간 투자 등에서 떨어지는 게 사실이다. 그럼에도 대전의 강점을 부각하기 위한 전략을 최대한 짤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중도일보는 바이오특화단지 평가 기준에 대한 산자부 입장을 듣기 위해 수차례 전화통화를 시도했지만 연결되지 않았다. 김지윤 기자 wldbs120611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