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환 한국영상대 교수, 전 세종경찰서장 |
국무조정실이 최근 일반 국민 2000명을 상대로 갑질의 심각성 인식 수준과 피해 경험 유·무 등을 조사한바 응답자 4명 중 1명이 '갑질을 경험하였다'고 하며, 응답자의 79.4%가 '우리 사회의 갑질이 심각하다고 생각한다'라는 답을 했습니다. 또 56.4%가 '과거에는 갑질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던 것들을 최근에는 갑질'이라고 답해 갑질에 대한 국민 의식이 크게 바뀌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지자체 간부가 1박 2일 워크숍에서 심야에 직원에게 라면을 끓여 오도록 하고, 팀원에게 수년간 담배 심부름을 시키고, 국장이 근무 중인 직원들 동원하여 자기 아들 가게 개업식을 도와주게 하거나 이삿짐을 날라주게 하는 등 공공분야에서 갑질 사례를 심심찮게 목격합니다. '어디서 6급 따위가 눈을 동그랗게 뜨고?', '팀장보다 먼저 퇴근하는 데가 어디 있냐?'라던가 팀 회식 시 여직원에게 상사의 옆에 앉아 술을 따르도록 하는 등 민간 사기업 분야에서의 갑질 사례도 연일 보도되고 있어 눈살을 찌푸리게 하고 있습니다.
갑질은 조선 시대에도 성행했다는 기록을 볼 수 있습니다.
이른바 '면신례'라 하여 과거를 통과한 신입 관료는 육체적 정신적으로 혹독한 신고식을 통과해야 하는데 이때 신입은 기존 상급자들에게 술과 고기 등 거한 음식을 대접하면서 벌을 받게 되는데 붓으로 얼굴에 낙서하기, 오물 만진 손을 씻은 물을 마시게 하거나 진흙탕에서 구르기 등 기상천외한 방법으로 괴롭혔으며 이 과정에서 주는 술을 거절하지 못하고 받아먹다가 사망하기도 하였다 합니다. 장원을 아홉 번이나 했다는 구도장원공 율곡 이이는 '면신례'를 경험하면서 "신참의 옷을 찢고 진흙 속을 구르게 하여 자존심을 잃게 하고 염치를 버리게 한 뒤에 관리가 되면 이 무슨 꼴이냐"라며 한탄했다고 하며 공직자의 표상이자 청렴의 대명사인 다산 정약용도 절름발이 걸음으로 게를 줍는 시늉을 하고 수리부엉이 울음을 흉내 내는 일 등 선배들이 시키는 우스꽝스러운 행동을 하지 않아 미움을 샀다는 일화가 알려지고 있습니다.
직장에서 갑질을 하는 사람들의 언행을 살펴보면 승진에 목이 메거나 코 앞인 사람, 이기적이고 욕심이 많고 똑똑한 척하는 사람, 나서기 좋아하고 상사의 신임이 크다고 착각하는 사람, 자신의 실수를 인정하지 않는 사람 등이 갑질을 할 수 있는 개연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이들은 공통적으로 이런 말을 합니다. "재, 내가 데리고 있는 직원인데…. 그 친구 내가 데리고 있었는데…" 부하직원, 후배 직원은 나랑 같이 근무하는 소중한 동료이자 파트너이지 데리고 있는 대상은 절대로 아닙니다.
이런 말투를 쓰는 상사가 정년퇴직 후 데리고 있을 대상은 주인을 잘 따르는 반려견밖에 없다는 사실을 알아야 할 것입니다. 안영의 마부가 마치 자신이 안영인 양 거들먹거리는 안자지어(晏子之御)보다는 큰 나무와 작은 나무가 서로 믿고 의지하며 존중하고 배려하는 등라계갑(藤蘿繫甲)의 자세야말로 2024 갑진년, 갑질 없는 한해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김정환 한국영상대 경찰범죄심리과 교수, 전 세종경찰서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