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제공 |
전 '혼밥'이 불편하거나 어색하지 않아요. 1인 가구여서 삼시세끼 혼밥하는 셈이죠. 점심도 도시락을 싸가니까요. 고요 속에서 혼자 밥을 먹는, 뇌의 휴식시간이죠. 지난 휴일 점심엔 동태찌개를 끓였는데 아주 맛있었어요. 얼큰하면서 시원하고. 추운 겨울에 이만한 음식이 없죠. 전 여행도 혼자 합니다. 영화도 혼자 보고요. 혼자로서 누리는 자유,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행복입니다. 이런 저를 주위에선 특이한 사람이라고 봅니다. 성격에 문제가 있는 '외톨이' 로 여기는 사람도 있을 거예요. 전 개의치 않아요. 타인의 시선이 중요하지 않으니까요. 물론 좋아하는 사람들과의 식사도 아주 좋아합니다.
이런 제가 요즘 울적합니다. 목감기가 심해 2주 정도 앓았거든요. 침도 삼키기 힘들 정도로 아프고 기침은 얼마나 나오는지요. 의사가 "아이고 목이 많이 부었네요"라며 무리하지 말고 푹 쉬라고 하더군요. 항생제와 여러 가지 약이 한 줌이었어요. 몸도 안좋고 약이 독해서 밥 먹는 게 고역이었어요. 거기다 며칠전 배탈로 된통 혼이 나 고생 중입니다. 입맛이 없으니 아무 의욕도 없습니다. 더럭 겁이 났습니다. 나중에 늙으면 여기저기 몸이 고장날테고 혼밥이 결코 즐겁지만은 않겠구나 생각하자 우울합니다.
'혼밥'이 트렌드가 된 세상입니다. 1인 가구가 40%를 넘었다는 통계도 나옵니다. 자발적인 혼밥도 있지만 어쩔 수 없는 환경으로 혼밥하는 사람도 많다고 합니다. 혼자사는 사람은 고령층과 청년층의 비중이 높다고 하네요. 그런데 1인가구의 경제 사정이 열악한 상태라고 합니다. 그러니 밥상은 오죽할까요. 이들에게 밥은 생존이지요. 경기불황과 극심한 취업난에 화장실에서 혼밥하는 청년들이 많다는 기사를 보고 충격을 받았습니다. 배설의 공간이 청년들의 심리적 도피처가 됐다니요. 이 청년기의 고립이 노년까지 이어지고 결국 고독사 하는 불행으로 삶을 마감하는 비율이 높답니다.
제가 전에도 거론했던 국민일보의 '빈자의 식탁'은 가난한 사람들의 궁핍한 밥상을 리얼하게 묘사했습니다. 가난한 사람들은 식비 지출을 최소화한답니다. 방세와 병원비 등을 제하고 나면 식비에 쓸 돈이 없어서죠. 이들에게 고기와 과일은 사치입니다. 하루 한 끼만 먹는 게 다반사라죠. 라면이나 국수를 신물나게 먹거나 즉석밥과 김치 하나가 한 끼 밥상입니다. 그 중 죽은 자의 마지막 음식은 가슴을 먹먹하게 합니다. 고독사한 청년의 자취방에서 발견된 햇반과 카레, 참치캔. 그의 일기엔 "가만히 안 움직이면 배는 별로 안 고픔…" 이라고 쓰여 있었습니다. 역시 고독사한 노인의 냉장고도 휑했습니다. 이들에게 따뜻한 밥 한 끼는 무얼 의미할까요. 민생, 민생 외치는 정치인의 구호는 공허합니다. 부자들은 더 많이 가지려는 욕심밖에 없습니다. 허나 가난한 사람들과 기꺼이 '연대의 밥상'을 함께 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이종건 같은 사람 말입니다. 혼밥하는 당신. 혹여 의지할 가족이 없거나 돈이 없으면 도움을 청하세요. 가난은 당신 잘못이 아닙니다. 사회 구조적인 문제니까요. <지방부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