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전 한남대 명예교수.연출가 |
이 소설에서 카페 사장 홍 마담과 문제적 고객 예언자 나우현과의 긴장 관계가 긴장 축을 이루고 있다. 서울 중산층 지역 평범한 카페를 인수한 요즘 말로 '걸크러쉬'인 이 새 카페 사장은 제법 먹물들에 해당하는 지역 단골들과 종업원들에게 일정한 밤 시간부터 가면을 씌워서 분위기를 돋우는 영업 방침을 정한다. 그 덕에 장사는 성업을 이룬다. 단골 고객들과 종업원들은 '가면 씌우기'에 처음에는 어색해하지만, 곧 적응해서 모두 뻔뻔스럽게 낭자한 유흥판으로 함몰되어간다. 가면 쓰기에 삐딱했던 한 지식인(예언자 나우현)은 이런 행태에 소극적으로 거부를 행하다가 나중에는 이런 가면 씌우기에 살인 유발의 가능성을 홍 마담과 고객들에게 경고한다. 경고에도 불구하고 고객의 가면 욕구는 사라지지 않고 홍 마담의 폭력이 자행되자, 나우현은 스스로를 예언의 실현을 위해 살인의 제물로 내어 놓아 죽음을 맞이한다.
홍 마담은 장사 속으로 가면 씌우기를 시작했지만, 가면의 메카니즘으로 점점 그 상황의 지배자로 군림하려는 욕망을 키우기 시작하여 폭력성을 덧입히고 지배를 위한 주구(走狗)(우덕주)를 내세운다. 그리고 이 주구에게 새디스틱한 폭력을 가함으로 카페 안에 공포감을 불어 넣는다. 그리고 홍 마담 스스로가 그 메커니즘에 말려들게 된 것이었다.
이청준이 아마도 70년대의 폭력적인 유신체제의 메카니즘을 우의(寓意)로 형상화 한 것이 이 작품이었으리라 생각한다. 카페 안에서의 살인은 결국 이 카페의 폐쇄로 이질 수밖에 없지만, 작가는 이야기를 지성인의 피살로 마무리한다. 결,국 그의 죽음은 다가올 현실에 대한 예언을 한 것이었다. 아니나 다를까 결국 박정희 대통령은 1979년 그의 수하(김재규 중정부장)의 총에 생을 마감했다. 소설 속 예언은 현실 속에서 실현되었던 셈이었다.
소설은 가면이 "인간 본능 발산의 통로이고, 가면놀이는 마음속 추악한 본능을 떳떳이 드러내는 놀이"라 규정한다. 가면의 속성이 꼭 그렇게 부정적인 것만은 아니다. 체제로부터의 해방감, 규정으로부터의 일탈감 등이 불러 일으키는 효과는 분명한 순기능이다. 유럽 중세때 종교적 억압에 휩싸인 대중들에게 숨통을 터주었던 사육제 소위 하비 콕스가 말하는 '바보제'는 한 예였다. 그러나 그것은 이례적, 순간적이여야 할 뿐 일상화나 습관화되어서는 안 되는 속성이다.
이 소설을 각색해서 무대에 올린 연극 <씨레네>에 대한 젊은 세대의 관극 반응은 매우 독특하게 나타났다. 그들은 그 가면 작용에서 SNS의 익명성을 읽어내고 있었다. 얼굴을 드러내지 않는 폭력, 희롱, 거짓, 야유, 모멸, 멸시의 짧은 글이 곧 얼굴 감춘 마스크를 쓴 괴물 작용으로 보았던 것이다. 최근에 벌어진 선량한 품성의 한 유명 배우의 억울한 죽음은 보이지 않은 가면들 장난의 파국 양상이었다.
이청준의 소설 속 홍 마담처럼 요즈음 우리 사회는 누군가가 가면 쓰기를 강권하고 그래서 가면을 쓴 자들이 가면 놀이를 하고 있다는 생각이 언뜻언뜻 들기도 한다. 양심의 가책이나 부끄러움이 없이 거짓말을 일삼는 그리고 터무니없이 채찍을 흔들어대는 그들의 행태가 가면을 쓴 듯 너무 뻔뻔스럽기 때문이다. 연극 속의 홍 마담처럼 가면을 씌우려는 자는 누구일까? 또 기꺼이 가면을 쓰는 자들은 누구인가? 우리는 그 가면의 이면을 읽어내어 그것을 찢어낼 수 있을까? /송전 한남대 명예교수.연출가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