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대전시 제공 |
16일 대전시 등에 따르면 정부는 전날 '민생을 살찌우는 반도체 산업'을 주제로 윤석열 대통령이 주재한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 토론회'에서 '세계 최대·최고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조성 방안'을 발표했다. 2047년까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민간 기업이 622조 원을 투입하는 경기도 남부 일대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구축에 정부가 패스트트랙 도입 등 총력 지원을 강화하는 게 핵심이다. 정부는 세계 최대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건설로 650조 원 생산 유발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고, 인프라·투자 환경 조성, 반도체 생태계 강화, 초격차 기술 및 인재 확보 등을 발 벗고 지원하기로 했다.
이날 방안은 지난해 3월 발표한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의 연장 선상이다. 당시 정부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각각 2042년까지 반도체 제조시설(팹) 5기, 4기를 짓는 데 300조 원, 120조 원을 투자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정부는 반도체 글로벌 경쟁력 강화 차원에서 반도체 기업 및 관련 기관이 밀집된 경기 남부 일대에 반도체 산업을 밀집시킨다는 계획이지만, 대전을 비롯한 반도체산업 육성에 공을 들이고 있는 지방에서는 불만의 목소리가 커질 수밖에 없다.
특히 대전은 '나노 반도체를 중심으로 한 국가산업단지' 조성에 나설 계획으로 정부의 수도권 반도체 산업 집중 계획이 불편할 수밖에 없다. 대전시는 160만평 규모의 나노 반도체 국가산업단지를 조성할 방침으로 올해 상반기 예비타당성조사를 준비 중이다. 2030년 조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기업 입장에서는 수도권의 반도체 클러스터라는 유혹을 벗어나기가 쉽지 않다. 대전으로서는 반도체 기업 모시기가 쉽지 않을 수 밖에 없다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또한, 대전시는 한국첨단반도체기술센터(ASTC) 유치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더욱이 지역 반도체 인재(인력) 유출도 예상된다. 질 좋은 반도체 관련 일자리가 수도권에 몰려있다면 인재들의 선택지는 뻔해 보인다.
'반도체 산업 지역 불균형'을 막기 위해 정부가 대책을 내놔야 한다는 지적이다. 지역 경제계 한 관계자는 "가뜩이나 수도권에 산업과 인력이 집중돼 있는데 반도체 산업에 국가 역량을 집중시킨다는 것은, 사실상 지방에서는 반도체 산업을 하지 말라는 의미"라면서 "지역의 반도체 산업이 활성화 될 수 있는 보완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대전시 관계자는 "정부의 수도권 반도체 산업 집중에 대한 계획과 방향 등을 예의주시해 보고 있다"면서도 "대전시는 반도체 설계 전문기업(팹리스), 인공지능반도체 등 차별성을 갖고 있고, 대덕특구의 R&D역량과 국방과학 등과 연계할 수 있는 강점도 있다"고 말했다.
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