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발전특구를 제대로 이해하려면 기회발전·도심융합·문화특구와 함께 지방시대를 이끌 4대 특구인 점에 주목해야 한다. '지역'과 '교육'에 나란히 방점이 찍혀 있다. 풀어서 쓰면 지역 교육의 내실화를 통한 지방소멸 위기 대응이다. 각 주체가 교육 환경 개선에 대한 인식을 깊이 공유할 때 실효성이 따른다. 재정적 지원의 의미로 축소하지 않아야 한다. 교육이 지방소멸을 막는 진짜 '백년대계'가 되는 일이다. 교육의 중장기 발전계획에서도 균형발전을 배제하지 않아야 하는 이유다.
올해부터 시범 운영할 교육발전특구의 큰 줄기는 지역에 자율권을 부여하는 것이다. 바이오고, K팝고 등 지역이 원하는 학교도 설립할 수 있다. 그보다 규제를 풀고 지원을 늘리는 핵심은 인재가 수도권에 유출되지 않고 지역에 정착하는 선순환 생태계 조성이다. 학교 서열화를 부추겨 특구 아닌 다른 지역의 교육환경을 악화해서도 안 된다. 시범지역 유치 과정부터 지역사회와의 교감 속에 지방 공교육 강화의 준비 과정처럼 진행되면 바람직하다.
충남도청 간담회에서도 시사했듯이 지자체와 교육청, 대학, 지역 기업의 유기적 연계 없이 성공을 담보할 수 없다. 지역인재 양성 시스템 구축은 기본이고 육성된 인재가 지역발전에 이바지하는 선순환이 그다음이다. 결국 교육혁신과 지역인재 양성, 정주여건 개선까지 아우르는 사업이라고 봐야 타당하다. 지자체는 지역산업과 연계한 일자리 지원 등 활력을 넣을 준비를 다해야 할 것이다. 지역 역량은 2월 9일까지 진행되는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 1차 신청에서부터 잘 발휘하기 바란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