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박인순 장곡초 교사 |
지난해 내가 만난 아이들은 모두 4명이다. 여학생 한 명에 남학생이 세 명인 아주 작은 소인수 학급이다. 나의 자녀가 다섯 명인 것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닌 일이라 생각하고 기대감에 가득 차 아이들을 만났다. 하지만 예상과 다르게 학급 운영은 쉽지 않았다.
우리 반에 자폐성 장애가 있는 남학생이 한 명 있고, 아이들이 적다 보니 자꾸만 엄마의 마음으로 하나하나 아이들의 모습을 관찰하며 보살피려고 노력하는 나의 모습을 발견했다.
특히 자폐를 가진 남학생은 자기만의 루틴이 있고, '버스'와 곤충에 몰입돼 자기만의 세상에서 다양한 호기심과 성취감을 느끼고 있는 아이였다. 수업 시간 약속 지키기와 교실 밖으로는 허락받고 나가기를 학기 초 약속으로 정하고 매일 동일한 방법으로 일관성 있는 훈육과 학습을 적용했다. 하지만 나의 의도와는 다르게 아이는 너무나도 힘들게 새 학년에 적응하고 있었다. 때로는 난폭한 행동으로 거부하는 마음을 표현하기도 하고, 울음을 그치지 않거나 조용한 공간으로 숨어버리는 행동으로 자기만의 세상을 펼치고자 했다. 순간 나의 교육철학이 맞는 것인지 흔들리기도 했고, 주변의 다른 선생님들께 조금 천천히 가야 하지 않느냐는 걱정 어린 충고도 들었다. 하지만 흔들리거나 포기하지 않았다.
장애이해 수업시간 중에 '다름'을 대하는 아이들의 이야기에 나는 깜짝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선생님, 000는 자기만의 세상이 있대요. 그래서 그 세상에서 000가 있을 때는 우리들이 기다려 줘야 해요." 너무나도 어린 아이들이 지난 1년 동안 같은 반으로 지내면서 그 친구를 이해하고 많이 배려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을 알게 됐다.
순간 나는 아이들에게 "그래, 맞아, 하지만 이제는 2학년이 되었으니 자신만의 세상에서 나와 더불어 사는 세상을 살아가는 방법을 배워야 할 때가 되었단다. 선생님은 000가 우리 반 친구들뿐만 아니라 나중에 어른이 되었을 때 다른 사람들과 함께 사는 세상에서 소외되지 않고 행복하게 살았으면 좋겠어. 그래서 지금 우리들이 함께 000를 위해 그때 필요한 약속과 실천 행동들을 배우고 있는 거야" 라고 말했다.
그제야 나는 아이들의 성장 과정이 너울 가지처럼 함께 어울려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것들을 채워갈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중요한 교육철학 중 하나의 부분이었다는 것을 알아차렸다. 그리고 그런 나의 의도를 너무나도 잘 알아주고 있는 나머지 세 명의 아이들이 너무나도 대견스럽고 감사하기도 했다.
적어도 나의 학급 아이들에게는 공동체 안에서 소외되지 않고 함께 어울려 지낼 수 있는 행복한 공간이 학교와 교실이었으면 한다. 올바른 감정을 표현하고 친밀함으로 연결된 사랑의 공동체가 우리 학급공동체의 모습이길 바란다. 그러기 위해서는 교사인 내가 아이들에게 친밀하고 안전한 사람으로, 언제든 어려움을 털어놓고 함께 이야기할 수 있는 소통의 샘터가 돼야 한다.
하나하나 아이들의 작은 소리도 귀 기울여 듣고 그들의 삶에 한 줄기 빛이 될 수 있는 선생님으로, 그 안에서 햇살을 머금고 예쁜 꽃망울을 터트릴 너울가지 네 개 꽃잎의 평화롭고 행복한 학교생활이 소통과 공감, 존중의 마음 터에서 예쁘게 피어날 수 있도록 칭찬과 사랑을 아끼지 않아야겠다. 그리고 이런 아이들이 가정과 사회에서 사회의 구성원으로 올바른 공동체를 꾸릴 수 있도록 방과 후 머무는 아동센터와 연계한 꾸준한 지도도 계속 이어갈 것이다.
인간관계·신뢰·격려 및 가치 인정은 잠재력 전개를 가능하게 하는 학습문화의 중심 요소이다. 관계에서 문제가 되는 갈등은 칡과 등나무 넝쿨이 서로 얽혀 쉽게 풀리지 않는 형태 때문에 이해관계가 해결되기 어려운 상황이 되어버린다. 하지만 나의 아이들에게 서로 얽혀있는 칡과 등나무 넝쿨이 서로의 고유성을 존중하고 다른 꽃잎들을 인정하고 소통하는 관계 속에서 어우러져 뻗어가는 행복 가지이길 바란다.
그 가지가 어떻게 뻗어 나아가는가는 공동체 안에 함께하고 있는 반 아이들과 나의 몫이다. /박인순 장곡초등학교 교사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