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정숙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지능무선액세스연구실 기술총괄 |
전 세계적인 급속한 도시화는 UAM의 등장을 가속화했다. UN 경제사회국에 따르면 2050년 세계 도시화율은 68.4%에 이르고 우리나라 도시화율은 86.2%에 달할 것으로 전망한다. 급속한 도시화는 심각한 교통 혼잡과 탄소 배출을 유발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로확충, 대중교통확대, 자율주행 등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비용 대비 효과는 미미하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개인교통수단 이용 증가로 오히려 교통혼잡과 탄소배출은 더욱 심화됐다.
이에 따라 과포화된 도심의 지상·지하 공간 2차원 교통 패러다임의 한계를 극복해야 한다. 3차원 상공에서 이동성을 활용하는 UAM 기술이 난제를 해결할 미래의 새로운 교통수단으로 부상하고 있다. UAM은 지상 300~600m 높이의 저고도 상공에서 운용되는 저소음, 친환경 동력 기반의 수직 이착륙 기체와 이를 지원하기 위한 교통관리체계 및 이착륙시설 등을 포함하는 3차원 항공교통체계를 의미한다.
미국의 투자은행 모건스탠리는 2040년까지 글로벌 UAM 시장이 1조 4749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한다. 또한 국내 시장도 동 시기, 109억 달러 규모 성장이 기대된다. 한편 2018년부터 본격 개발된 UAM 기체는 현재 500여 종 이상이 개발되고 있다. 이중 선도업체인 미국 조비 에비에이션, 독일 볼로콥터의 UAM 기체는 상용화 마지막 단계의 감항 인증 절차가 진행 중이다. 뿐만 아니라 미 연방항공청과 유럽 항공안전청을 중심으로 기체 수직 이착륙 시설인 버티포트 구축과 안전운용을 위한 인증기준 규정 등이 신속히 마련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20년 6월, 제2차 혁신성장회의에서 K-UAM 정책 로드맵이 제시됐다. 선도국 대비 2~3년 늦은 셈이다. 그러나 우리는 이동통신 선진국으로서 안전운항을 위한 통신 인프라 및 기술 우위성을 확보하고 있다. 더불어 국가 주도 실증 프로그램인 K-UAM 그랜드 챌린지를 통해 매우 빠른 속도로 UAM 선도국을 추격하고 있다.
특히 K-UAM 그랜드 챌린지는 올해 말까지 고흥 개활지에서 통합 운용성 시험을 수행할 예정이다. 또한 내년 상반기까지 서울, 경기 도심 일원에서 통합 운영성 검증을 진행해 2025년 국내 UAM 상용화의 동력이 되고 있다.
그렇다면 우리 지역 대전의 UAM 실현을 위한 상황은 어떤가? 지난해 10월 메가시티 기반 조성을 위해 대전을 포함한 충청권 4개 시도는 SK텔레콤 주도의 K-UAM 드림팀 컨소시엄과 '충청권 초광역 UAM 업무협약'을 맺었다. 필자는 이와 연계한 실행방안의 하나로 청주공항과 대덕연구개발 특구를 이동하는 UAM 공항 셔틀을 제안한다. 세계적으로 UAM의 초기사업은 도시 외곽 공항과 도심 간 빠른 이동성 제공을 목표로 한다.
우버 엘리베이트(Uber Elevate)에 따르면, UAM은 차량 대비 5분의 1 수준으로 이동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과학도시의 위상에 걸맞게 대전에는 대덕 연구개발특구를 중심으로 다양한 국제행사를 치를 수 있는 인프라가 있다. 청주 공항과 연계한 UAM 공항 셔틀의 운영은 편리하고 신속한 이동수단을 제공할 것이다. 이로써 대전을 포함한 충청 메가시티를 국제행사의 중심지로 발전시킬 수 있다.
또한, 지난해 3월 대전역은 국토부 '미래형 환승센터 시범사업'의 UAM 환승역으로 선정됐다. 철도, 버스, UAM, 자율주행차, 전기·수소차, 개인형 이동수단 등 다양한 미래 모빌리티 수단을 통합 운영하는 환승센터 구축의 발판을 마련한 것이다. 대전이 미래 모빌리티의 선도 도시로 도약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고 있다. 호기롭게 비상해 하늘 길을 드넓게 누비는 청룡과 같이 과학도시 대전이 UAM을 필두로 신 모빌리티의 청룡으로 비상하기를 기대한다. 배정숙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지능무선액세스연구실 기술총괄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