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지혜 대전산성초 교사 |
"근데 그거 들으셨어요? 여기 학교요. 1년에 1억원씩 쓰는 3년짜리 선도학교 됐다고 하던데." 2023년 2월, 새롭게 옮긴 학교로 업무를 쓰러 간 자리에서 맞은 편 새로 오신 선생님이 나지막히 말하는 소리가 들렸다.
'무슨 선도학교가 1년에 1억원을? 공간 혁신처럼 학교 내 시설을 새롭게 구축하는 사업인가?' 사실 학교에서 1억원을 쓰는 사업은 흔하지 않기에 의아해 하고 있던 찰나였다.
"부장님, 좀 맡아줄 수 있겠어요?" 미안한 기색이 역력한 교감 선생님의 얼굴을 보니 그 업무가 내게로 왔음을 직감할 수 있었다.
교육부 지정 '학생맞춤통합지원' 선도학교 운영. 앞서 교육복지 업무라며 전해들은 게 전부였던 나는 그때까지만해도 이 사업은 교육복지 업무 중 하나로만 알고 있었다.
'그래, 뭐. 나는 교육복지우선지원 학교에도 근무한 경력 있으니까 비슷하지 않겠어? 더구나 교육복지사님도 이 학교에 계신다니 괜찮겠지'라며 두려움 반, 기대 반으로 이 사업을 품에 안았다.
막상 뚜껑을 열어보니 학생맞춤통합지원은 단순한 교육복지의 측면에서 이뤄지는 사업이 아니었다. 학업 및 진로부터 심리 정서, 복지, 경제적 측면의 다양한 문제를 겪고 있는 학생들에게 개별 맞춤 지원을 통해 교육격차를 해소하는 국가정책사업. 그것이 내게 주어진 일이었다.
'어떻게 하면 복합적인 위기를 겪고 있는 학생을 발굴해 낼 수 있을까'가 사업 시작이었다. 우선 위기 학생들을 발굴하고, 지원 방향을 찾기위해 지원단을 구축했다. 위기 학생은 교사 관찰 및 면담, 기존 위기 학생 모니터링, 판별 도구 및 검사지 활용을 통한 발굴, 외부기관 연계 의뢰 등을 통해 시작했다. 그렇게 4월 첫 달에 위기학생 28명의 학생을 발굴해 12월까지 총 42명의 학생을 찾아냈다.
선정된 위기학생의 대부분은 심리, 정서의 문제를 겪고 있는 학생들이었다. 의외로 교육복지 대상인 학생들보다 경제적으로는 어려움이 없었지만 내재된 불안과 우울 또는 ADHD 등으로 학교 생활을 힘들어했고, 이로 인해 같은 반 학생과 담임교사도 함께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았다.
발굴된 학생들의 맞춤형 지원을 위해 학생, 학부모, 교사의 요구조사를 실시했다. 학생 사안의 면밀한 분석 및 지원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함이었다. 전문기관 연계 상담 실시 및 병원 치료, 학업 및 진로 프로그램, 교우 관계 개선을 위한 프로그램 등 학생들의 위기 사안 문제별로 맞춤형 지원을 시작했다.
"이 사업의 장점은 교육 복지 사각지대에 있는 학생들을 발굴할 수 있다는 것 같아요. 소득 수준에서 교육 복지 대상에서 제외됐던 학생들이 이렇게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되네요."
교육복지사님의 말씀에서 나는 이 사업을 끝까지 추진할 수 있는 원동력을 얻은 기분이었다. 자신이 겪고 있는 어려움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인지하지 못하고 지내온 아이들에게도, 학생들의 어려움을 어떻게 도와줘야 할지 막막했던 교사들에게도, 자녀의 어려움을 마주하기 어려웠던 학부모들에게도 맞춤형 지원을 통해 그들의 전인적 성장을 도모하는 사업이었기 때문이다.
'교육 불평등'에서 저자 오욱환은 '계단은 높이가 적합해야 한다. 계단의 단계가 너무 높으면 계단으로서의 기능은 상실되고 장벽으로 작용하게 된다. 장벽을 마주한 사람들은 오를 수 없어 절망하고, 그 위에서 내려다보는 사람들은 떨어질까 안절부절 못한다. 한국에서는 모두의 희망이었던 교육 계단이 장벽으로, 그리고 절벽으로 변질하고 있다'고 했다.
어쩌면 위기 학생들이 마주했을 장벽을 딛고 올라가는 디딤돌이 돼 주는 것. 위기 학생들의 손을 잡아 교육의 본질로서 학교가 그 역할을 다하게 이끌어주는 사업이 학생맞춤통합지원이 아닐까 한다. 사업이 정착기로 접어드는 2024년에도 학생들의 어려움을 가장 가까이에서 느끼고, 지원을 하는 일을 게을리하지 않을 것이라고 다짐해본다. /윤지혜 대전산성초 교사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