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人칼럼] 용전(龍田)

  • 오피니언
  • 문화人 칼럼

[문화人칼럼] 용전(龍田)

백남우 대전향토문화연구회장

  • 승인 2024-01-03 10:52
  • 신문게재 2024-01-04 19면
  • 정바름 기자정바름 기자
clip20240103084808
백남우 회장
대전은 갑천, 유등천, 대전천과 같은 도심을 통과하는 수변에서 발달한 도시여서 그런지 유독 용(龍)자가 들어간 지명이 많다. 동구 용운동·용전동·비룡동·용계동, 중구 용두동, 서구 용문동·용촌동, 유성구 용계동·복룡동·도룡동·구룡동·용산동, 대덕구 용호동과 같이 13개의 법정동명과 동구 가양동의 흥룡, 사성동 모래재의 청룡골, 용운동의 용방이·용수골, 서구 산직동의 용태울, 유성구 성북동의 용바위 등과 같은 지명도 수북하다.

용은 동아시아의 설화에서 뱀과 같은 몸에 새의 다리, 사슴의 뿔, 물고기의 비늘로 된 상상의 동물로 순우리말로는 '미르'라고도 한다. 동양에서는 성스러운 존재이지만 서양에서의 드래곤은 파괴의 상징이기도 하다. 용이 되기 전의 이무기가 도를 닦아 여의주를 획득하면 용이 된다고 하고, 중국에서는 잉어가 오래 묵어 용문에 오르면 용이 된다는 등용문 이야기도 있다. 용과 돼지의 코가 같은 모양에서 용은 돼지와 함께 복(福)을 의미하기도 한다. 용은 왕을 상징하는 동물이기도 하다. 삼국통일을 이룬 신라의 문무왕은 지의법사에게 "나는 죽은 뒤 동해의 호국 청용이 되어 불법을 받들고 나라를 수호하고자 한다"고 했다. 또 용의 비늘이 81개로 역린(반대로 된 비늘)을 건드리면 용이 격노한다는 한비자(韓非子)의 〈세난(說難)〉에 나오는 말과 용구자설, 용두사미, 화룡점정, 용호상박 등 용과 관련된 용어 등도 많이 쓰인다.

2014년은 푸른색에 해당하는 갑(甲)과 용을 상징하는 진(辰)인 갑진년 청룡(靑龍)의 해이다. 청룡(靑龍)은 한자 문화권에서는 상상의 동물로, 파란색 또는 초록색을 띤 용을 의미한다. 같은 푸른 창(蒼)자를 써서 '창룡(蒼龍)'이라 부르기도 한다. 수원화성의 동문인 '창룡문'의 이름은 여기에서 유래한다. 용이 도를 깨우치면 비늘의 색이 파란색이나 초록색으로 변해서 청룡이 된다고 한다. 그래서 청룡은 사신(四神)들 중에서 가장 존엄하고 고귀한 존재이며 심해 용궁에 살며, 하급 용들의 수장이라고 한다. 풍수지리에서는 동쪽에 흐르는 물을 놓으면 청룡의 힘을 끌어내 길조가 된다고 한다. 청룡은 고구려 벽화 사신도에 나오는 동방의 수호신이기도 하다. 동쪽을 수호하며 오행 중 나무(木)와 봄을 관장하며 청색을 상징한다. 이러한 용(龍)은 비와 구름, 바람과 천둥 번개를 비롯한 날씨와 기후, 식물도 다스린다고 한다. 또 물을 다스려 바다를 다스리는 신을 용왕(龍王)이라고 칭하며, 바닷가 어민들은 용왕에 풍어제를 지내곤 한다.

대전 동구에는 용밭(용전, 龍田)마을이 있다. 용전동 전체 지역을 통칭하기도 하며, 용전동의 납작골 남쪽에 있던 마을을 가리키기도 한다. 납작골 남쪽의 용밭은 지금의 복합터미널 부근이다. 이곳에는 백 년에 한 번씩 용이 하늘로 오르며, 그럴 때마다 정승이 이곳에서 나온다는 전설이 있다. 이런 전설에 따라 승천을 기다리는 이무기가 땅속에서 노는 땅이라고 하여 용 용(龍)자와 밭 전(田)자를 따서 용전이라 하였다. 한편 이와는 달리 이 용전을 주역에 건(乾)의 두 번째 효(爻)에 해당하는 효사(爻辭)로 그것을 「현룡재전(見龍在田)에 이견대인(利見大人)」이라는 귀절에서 용전(龍田)을 따서 붙인 이름이라는 말도 있다. 현룡재전 이견대인은 '현룡이 밭(일터)에 있으니, 대인(大人)을 만남이 이롭다'는 뜻이다. 현룡(見龍)은 잠룡의 시절을 끝내고 물 밖으로 자신을 드러낸 용이다. 현룡재전 즉 '현룡이 밭(일터)에 있다'는 뜻은 뜻을 펼치려는 사람이 그 뜻을 펼칠 수 있는 때(기회)와 터전(일터)을 얻었다는 뜻이다. 그러나 뜻을 펼칠 수 있는 때(기회)나 일터를 얻었다고 해서 뜻을 이룰 수 있는 것은 아니다. 利見大人(이견대인) 즉 자기를 이끌어 줄 大人(지도자)을 잘 만나야 한다는 뜻이다. 갑진년 새해는 국민의 대표기관인 입법부를 이끌 지도자를 뽑는 총선이 있는 해이다. 청룡은 동쪽과 봄을 상징하며, 힘과 행운, 자유와 창의성, 공동체와 연결의 의미가 있다. 이러한 민의가 잘 반영되는 갑진년 새해가 되길 기원하며 용전(現龍在田 利見大人)의 의미를 다시 되새겨 본다.



/백남우 대전향토문화연구회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속보] 4·2재보선 충남도의원 당진 제2선거구 국힘 이해선 후보 당선
  2. '미니 지선' 4·2 재·보궐, 탄핵정국 충청 바닥민심 '가늠자'
  3. [속보] 4·2재보선 대전시의원 민주당 방진영 당선…득표율 47.17%
  4. 세종시 문화관광재단-홍익대 맞손...10대 관광코스 만든다
  5. [사설] 학교 '교실 CCTV 설치법' 신중해야
  1. 대전 중1 온라인 학업성취도 자율평가 재시험 "정상 종료"… 2주 전 오류 원인은 미궁
  2. [사설] 광역형 비자 운영, 더 나은 방안도 찾길
  3. 세종대왕 포토존, 세종시의 정체성을 담다
  4.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앞 ‘파면VS복귀’
  5. 도시숲 설계공모대전, 창의적 아이디어로 미래를 연다

헤드라인 뉴스


‘파면 vs 복귀’ 尹의 운명은… 헌재 4일 탄핵심판 선고 디데이

‘파면 vs 복귀’ 尹의 운명은… 헌재 4일 탄핵심판 선고 디데이

12·3 비상계엄 선포로 탄핵당한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 선고가 4일 오전 11시 내려진다. 앞서 탄핵 심판대에 오른 전직 대통령의 파면 여부를 가른 핵심은 법률을 위반하더라도 위반의 중대성, 즉 헌법 수호의 관점에서 중대한 위법행위 판단 여부였다. 다만 정부와 정치권 모두 ‘헌재 결정 수용’을 강조하고 있지만, 헌재가 어떤 판단을 내리더라도 정국 혼란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헌재, 철저한 보안 속 선고 준비=윤 대통령의 운명을 결정할 탄핵 심판 선고기일이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헌재는 4일 오전 11시 서..

[이슈] 청소년 비행 잡고 불법촬영 막아주는 대전자치경찰위 `과학치안`
[이슈] 청소년 비행 잡고 불법촬영 막아주는 대전자치경찰위 '과학치안'

"이곳에서 술을 마시면 안 됩니다", "담배 피우지 마세요" 인적이 드문 골목이나 공원에서 청소년들이 음주와 흡연을 하며 비행을 저지를 때 인공지능(AI)이 부모님을 대신해 "하지 말라"고 훈계한다면 어떨까. 실제로 대전 대덕구 중리동의 쌍청근린공원 일대에는 어른 대신 청소년들의 일탈과 비행을 막는 스마트 AI 폐쇄회로(CC)TV가 설치돼 있다. 영상카메라라는 '눈'을 통해 AI가 담배를 피우는 동작과 술병 형태, 음주하는 행위를 감지해 그만할 때까지 경고 음성을 내뱉는 것이다. 이는 전국에서 처음으로 대전자치경찰위원회가 과학기술업..

`결국 폐업`…1분기 충청권 건설업 폐업신고 17건
'결국 폐업'…1분기 충청권 건설업 폐업신고 17건

올해 1분기 폐업 신고를 한 종합건설업체가 160곳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20년 이후 같은 분기 대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충청권 건설업체 폐업 신고 건수는 17곳으로 집계됐다. 3일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KISCON)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3월까지 종합건설업체의 폐업 신고 건수(변경·정정·철회 포함)는 모두 160건으로 조사됐다. 이는 2024년 1분기(134건)보다 약 12% 늘어난 수준이다. 1분기 기준으로 비교하면, 2020년 이후 가장 큰 규모다. 최근 5년간 1분기 폐업 신고 건수는 ▲2024년 134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윤석열을 만장일치로 파면하라’ ‘윤석열을 만장일치로 파면하라’

  • 친구들과 즐거운 숲 체험 친구들과 즐거운 숲 체험

  • 한산한 투표소 한산한 투표소

  •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앞 ‘파면VS복귀’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앞 ‘파면VS복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