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향기 대전 창조미술협회 회장 |
연말에는 보통 시댁에 가서 어른들과 새해를 같이 맞이한다. 혼자 계시는 시어머님은 옛날 이야기를 끝없이 회상하시는데 몇십 가지의 레퍼토리가 있다. 그중의 하나가 신혼 초 고생하시던 이야기인데 시아버님이 아침에 출근할 때 시계가 없어서 달이 뜬 모습을 보고 대강 시간을 가늠하고 출근을 하셨다는 것이다. 믿어지지 않는 이야기이다. 시계가 없이 새벽에 출근 시간에 늦지 않도록 매일 달을 보고 가늠해서 제시간에 출근하는 일이 가능한 일이었을까? 요즈음과 같이 시간을 분초 단위로 관리되는 사회 분위기에서는 언뜻 이해가 가지 않는 일이다. 시간을 분초단위로 잘라서 앞뒤의 순서관계로 연결하여 이해하는 방식은 근대에 와서 더욱 강화되었다고 한다. 매년 연말이 되면 시간은 상관없이 지나가는데 인간이 이것을 토막 내어서 굳이 한해가 넘어가도록 만들었다는 생각을 또 하게 된다. 아마도 시부모님이 사시던 시대에 비해서 조선시대에는 시간을 토막내서 사는 방식이 훨씬 더 느슨했을 것이다. 하루가 해 뜨고 해지는 낮과 밤 정도로 구분되었거나 조금 더 세분되면 하루 세끼의 식사 시간의 토막 정도로 나뉘어 졌을지도 모른다. 중천에 해 뜨면 만나자고 하는 것과 12시 반에 만나자고 하는 것은 우리의 일상을 전혀 다른 세상으로 만들어 내는 일이다.
시간의 토막을 느슨하게 한 게 아니라 아예 그 매듭을 없애 버린 화가는 살바도르 달리이다. 그는 '기억의 지속'이라는 그림을 통하여 고향 마을의 바닷가를 배경으로 흐물흐물 녹아 내리는 시계들이 여기 저기 널려 있는 모습을 그렸다. 시계들이 흐물흐물 녹아서 빨래 널리듯 걸려 있는 모습은 묘하고도 충격적인 감정을 갖게 한다. 자로 잰듯한 세상을 매듭도 없고 구분도 없고 경계가 없는 세상으로 전복해 버리는 느낌을 갖게 하는 것이다. 딸깍 딸깍 움직이는 초침이 시간을 조각 조각 쪼개어 나가는 세상을 흐물흐물한 시간으로, 녹아서 늘어지는 시간으로 바꾸어 버린 것이다. 그리고 그 그림의 제목은 기억의 지속(the persistence of memory)이다. 흐물 흐물 녹아 내리는 까망베르 치즈로부터 영감을 얻었다는 이 그림은 다양한 해석들을 하지만 나는 시간을 분절하고 쪼개는 근대의 현상에 '원래 시간이란 이렇게 자르거나 나눌 수 없는 흐물 흐물한 것이야' 하고 이야기해주는 것 같다는 생각을 늘 한다. 바쁘게 움직이고 시간에 쫓기며 사는 세상에서 시간을 느슨하고 느긋한 밀가루 반죽과 같은 것으로 바꾸어 생각하면 전혀 다른 세상이 펼쳐지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아마도 달리가 이를 '기억의 지속'이라고 제목을 붙인 것은 우리의 기억이란 그렇게 토막난 것들을 이어 붙인 것이 아니라 그냥 전체로서 통으로 이해되는 그런 것이라고 이야기하는 듯하다.
느슨한 시간과 달리의 그림을 생각하며 올해는 그렇게 살아야지 다짐하다가 문득 카잔차키스의 '영혼의 자서전'에 나오는 시나이 사막에서의 단상을 써 놓은 문장들이 떠올랐다. "자신만만하게 굽이치는 낙타의 율동을 따르면 피와 더불어 영혼도 그렇게 된다. 서양의 명석하고 빈틈없는 이성에 의해 모욕적으로 토막토막 잘라진 기하학적 구분에서 시간이 스스로 해방된다. <사막의 배>가 흔들거리는 이곳에서라면 시간이 수학적이고 단단히 구분된 폐쇄로부터 풀려 나와 나누어지지 않는 액체이고 가벼우며 사상을 환상과 음악으로 바꿔 놓는 어지러운 도취가 되어 하나의 실체를 이룬다…." 카잔차키스는 액체처럼 흘러내리는 시간이 딱딱한 생각들을 환상과 음악으로 바꾸어 놓는다고 하였으니 그의 말대로 올해는 느슨하게 지내며 바쁜 일상이 그냥 바쁜 것이 아니라 환상과 음악으로 변화하는 경험을 하고 싶다.
/백향기 대전 창조미술협회 회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