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대전문화재단 정책 세미나 개최 모습 |
대전문화재단이 설립 15주년을 앞두고 '대전문화재단의 역할 재정립과 미래경영 탐색'이라는 주제로 27일 연 정책세미나에서다. 세미나 발제는 김진각 성신여대 문화예술경영학과 교수와 한상헌 대전세종연구원 경제사회연구실장이 맡았다. 토론에는 고준환 성남문화재단 문화본부장, 김두진 대전시 문화정책팀장, 이성은 대전문화재단 기획경영본부장, 이상욱 한남대 회화과 교수가 참여했다.
세미나에서는 문화재단이 토대·기반(foundation) 마련에 집중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예술인과 시민 문화활동 지원 외에도 정책개발과 의제 도출, 지역 문화예술단체 사례 연구와 홍보마케팅 지원, 지역 문화예술 현황 데이터 수집·분석, 지역 현장 의견수렴과 합의의 장 마련 등을 강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현재는 민간보단 관 주도 사업이 많고 문화재단의 경우 공기관 대행과 시설 운영사업에 업무가 치중된 상황이다.
한상헌 실장은 "문화재단이 해야 할 역할은 직접 사업을 계속하는 것이 아니다"라며 "본질적 책무에 맞게 시범 사업을 발굴하고 정착된 사업은 민간에 이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이어 “그동안 문화공간 수탁에 대한 문제점이 지적돼왔는데 재단의 경우 운영 공간이 각기 산발적이고 목적과 당위성을 확보하는 것이 어려워 보인다"며 "별도의 문화공간 운영본부를 두는 것보단 문화공간 수탁 비율을 줄여야 한다"고 제언했다.
문화예술정책 환경변화와 예산 감소에 대한 능동적인 대처도 강조됐다. 국고보조금이 감소하면서 문화재단이 앞으로 기부금 모금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것이다.
2024년 정부의 예술지원 사업비는 4064억 원이지만, 문화누리카드 등 복지와 관광 목적을 뺀 실질적인 순수예술지원 예산은 243억 원 가량(14%)이 감소했다. 예술과 기술 융합 지원 사업이 폐지됐고 방방곡곡문화사업 예산도 157억 원 가량이 감소했다. 지원사업 정책 역시 단기보단 중장기, 프로젝트 지원에서 주체(핵심플레이어) 지원으로 전환됐다.
김진각 교수는 "앞으로 경기 침체, 세수감소 등으로 정부와 지자체 지원 예산이 감소하거나 개편이 불가피해 능동적인 전략이 필요하다"며 "지원 성과가 불투명한 것은 없는지 선택과 집중을 다시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재단 주도로 한국문화예술위원회와 문화원, 기초문화재단과의 협의체 구성 필요성을 다수가 제언하기도 했다. 고준환 본부장은 "지자체장이 바뀔 때마다. 정책 방향에 대한 용역을 하는데, 지속성이 관건"이라며 "앞으로 한국문화예술위원회와 광역재단, 기초문화재단의 협업도 중요한데, 중앙단위 예산이 줄어드는 상황에서는 사업 단위로 협의체를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상욱 교수는 "예술인 DB 구축, 온라인작가 장터, 메타버스 갤러리 등 작가들에게 성장과 함께 경제적 활동을 돕는 사업이 이뤄진다면 의지와 역량을 지속적으로 펼칠 수 있을 것"이라며 청년작가 후속 지원의 필요성도 제언했다.
정바름 기자 niya1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