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를 비롯해 대전세종연구원, 대전테크노파크 등의 기관 관계자들이 27일 대전세종연구원 대회의실에서 열린 '제1회 교육발전 포럼'을 진행하고 있다.(사진=대전시 제공) |
현시점에서 가장 관심이 뜨거운 특구사업은 크게 정부가 내놓은 4대 특구(기회발전·문화·도심융합·교육발전특구)와 글로벌혁신특구 등이다.
각 특구의 핵심은 서울과 수도권을 중심으로 발생한 국토의 양극화를 줄이고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는 것으로, 정부는 공모를 거쳐 지정된 곳에 각종 세제와 규제 등을 대폭 완화할 계획이다. 전례 없는 혜택을 누릴 수 있는 기회인 만큼 전국의 지자체들은 소수에 한정된 특구 유치 각축전에 돌입했다.
대전시도 다수의 특구 사업에 도전장을 내민 상태로, 치열한 유치전에서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기 위한 사전작업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우선 글로벌혁신특구는 1차 서류심사를 거친 뒤 27일 오후 서울 포시즌스호텔에서 최종 공모발표 평가가 진행됐다. 구체적인 결과 발표 일정은 정해지지 않았지만, 올해 연말 또는 늦어도 내년 초에는 분야별(바이오와 모빌리티, 에너지, AI데이터) 지자체 1곳을 우선 지정할 가능성이 큰 상황이다. 세포·유전자치료제를 중심으로 바이오 분야에 도전한 시는 이날 발표를 통해 국내 최대의 바이오 원천 기술이 집약된 도시가 바로 대전임을 강조한 것으로 전해졌다.
교육발전특구는 대전세종연구원과 대전테크노파크 등 다수의 기관이 힘을 합치며 유치 준비에 열을 올리고 있다.
시는 이날 대전세종연구원 주관으로 열린 '제1회 교육발전포럼'에 참여해 관계기관들과 교육발전특구를 통한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절약 방안을 논의했다. 설명회에는 대전시와 대전교육청, 대전테크노파크 관계자들과 김영진 대전세종연구원장을 포함한 연구진과 대학교수 등 관련 전문가들이 참석했다.
김영진 대전세종연구원장은 토론회 발언을 통해 "대전은 타 시·도 대비 혁신 잠재력이 충분한 도시"라며 "철저한 분석과 리서치를 바탕으로 대전형 교육발전특구 모델 형성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기업의 지방 이전과 투자를 촉진하는 게 목표인 기회발전특구의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은 내년 초 공개될 전망이다. 그동안 시는 입지현황과 투자기업, 규제특례 등 특구 기본계획 수립에 필요한 사항을 파악했으며, 올해까지 전문가 자문과 평가를 통해 최종보고서를 도출할 예정이다. 특히 평가의 핵심 지표가 될 기업 투자·유치 현황을 확보하기 위해 수도권 소재 기업과 글로벌 앵커기업 물색에 사활을 걸고 있다.
기초단체 대상의 공모사업인 문화특구는 내년도 신청을 기약하겠단 방침이다. 막대한 규모의 예산을 투입해야 한다는 조건에 대전 5개 자치구 모두 부담을 느꼈기 때문이다. 중구의 공모 참여가 논의되기도 했으나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김광신 전 중구청장이 낙마하던 시기와 맞물리면서 문화특구 준비 계획은 흐지부지됐다. 시는 내년 하반기 새롭게 열릴 예정인 문화특구 공모 도전을 목표로, 5개 자치구 실무 부서와 논의를 이어갈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올해 문화특구는 예산 부담으로 인해 마감 날까지 접수를 하지 못했다"며 "내년 6~7월 새롭게 열릴 공모엔 자치구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독려할 것"이라고 했다.
심효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