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기한 대전대 국어국문학과 교수. |
조영출이 이렇게 강렬한 민족 의식을 가질 수밖에 없었던 데에는 또 다른 이유가 하나 더 있다. 바로 금강산 건봉사의 학승 출신이라는 점 때문이다. 이 사찰이 만해 한용운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기에 그는 만해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게 된 것이다. 보성고보를 들어갈 때도 만해의 추천이 있었다. 만해야말로 이 시기 최고의 민족주의자가 아니었던가. 그는 이런 과정을 거치면서 고향과 민족에 대한 사랑을 키워나가게 된다.
초기 조영출의 시 세계는 신인답게 여러 다양한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그 가운데 무엇보다 주목을 끌었던 것은 민족 모순에 기반을 둔 시들이었다. 가령, '이 동굴 안을 거니는 자여-경주 석굴암'에서 보이는 민족 의식이 그러하고, 암울한 현실을 딛고 일어서고자 하는 의지를 드러낸 '동방의 태양을 쏘라'와 같은 시들이 그러하다.
하지만 그의 시작 행위는 1930년대 중반에 이르러 새로운 단계를 맞이하게 된다. 흔히 대중 가요로 알려진 가요시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이에 대한 창작으로 매진했기 때문이다. 그가 처음 가요시를 쓴 것은 1934년이고, 곡명은 '서울 노래'였다. 그는 이 가요시를 음반으로 만들고자 했지만 성공하지 못했다. 검열에 걸렸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성과가 전혀 없었던 것은 아니었다. 민족이 처한 어려운 현실을 더욱 알게 되었고, 그러한 현실을 대중에게 직접 호소할 수 있는 일이 어떤 것인지 고민하게 되었으며, 그 과정에서 서정시보다 노래체의 가요시가 가진 감응력의 힘을 아는 계기가 되었기 때문이다.
이 사건을 계기로 조영출은 본격적으로 가요시 창작에 나서게 된다. 이때 그는 우리에게 너무나 잘 알려진 '꿈꾸는 백마강', '선창', '알뜰한 당신' 등을 연달아 발표하게 된다. 이 가운데 무엇보다 주목되는 가요시가 1940년에 나온 '꿈꾸는 백마강'이다. 점점 조선적인 것들이 사라져가는 현실에서 백제 멸망의 역사를 담고 있는 이 노래를 발표하는 일에는 분명 커다란 용기가 필요했을 것이다. 가요가 발표되자 대중의 반응은 뜨거웠다. 그러니 일제가 이를 그냥 놔뒀을 리가 없었다. '꿈꾸는 백마강'의 가사는 이러하다. "백마강 달밤에 물새가 울어/잊어버린 옛날이 애달프구나/저어라 사공아 일엽편주 두둥실/낙화암 그늘에서 울어나 보자//고란사 종소리 사무치면은/구곡간장 올올이 찢어지는 듯/누구라 알리요 백마강 탄식을/깨어진 달빛만 옛날 같으리". 일제 강점기 백제 멸망의 역사란 곧 조국 멸망의 역사를 환기하는 일이다. 일제는 백제의 슬픈 역사가, 조선의 왜곡된 역사로 이어지는 것이 두려웠던 것이고, 이는 결국 금지곡이라는 결과를 낳고 만다.
해방은 되었고, 강요된 현실에서 그는 북으로 갔다. 월북한 사람이 작사한 노래가 남쪽에서 애창되는 것이 불편했을 터, '꿈꾸는 백마강'은 또다시 금지곡이 되고 만다. 이 노래는 남북의 관계가 해빙되면서 그 어두운 굴레에서 벗어나게 된다. 세상은 바뀌었지만, 이 노래가 담고 있는 여파는 여전히 남아 있다. 일제 강점기에는 역사가 서러워서 불렸지만, 이후에는 옛 영광과 회한이 그립고 안타까워 논산의 아버지가, 그리고 예산의 옛 연인의 어머니가 즐겨 불렀기 때문이다.
굴곡진 이 노래만큼이나 충청인들에게는 아픔이 서려 있다. 현실에는 충청대망론이라는 것이 있었다. 실체가 무엇인지 모르지만 충청대망론에 기댄 대선주자들이 허무하게 무너질 때마다 '꿈꾸는 백마강'이 환기되는 것은 무슨 이유 때문일까. "구곡간장 올올이 찢어지는 아픔"을, "이 백마강의 탄식"을 누군가는 알고 있는 것인가.
송기한 대전대 국어국문학과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