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천식의 이슈토론이 20일 오전 9시 중도일보 스튜디오에서 열렸다. 사진 왼쪽부터 박영우 (주)와이바이오로직스 대표, 신천식 박사, 맹필재 바이오헬스케어협회장. 사진=이성희 기자 |
지역 소재 바이오 기업인 (주)와이바이오로직스이 최근 주식시장에 상장했다. (주)와이바이오로직스의 주식시장 상장은 지역 기반 특정 바이오헬스 기업의 단순한 성공이 아니라 지역 바이오산업 생태계 전반의 건강한 기반을 보여주는 명확한 사례라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특히 대전은 50년 된 대덕연구단지의 결실로 바이오헬스 기업의 창업과 성장을 위한 다양한 가능성과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다. 연구단지의 여러 연구소 중 바이오 분야는 오랜 노하우와 실력을 쌓은 연구인력들이 연구단지 내에서 창업을 많이 했기 때문이다.
이렇듯 오랫동안 축적된 기술과 유능한 인재들이 모여있는 대전에서 지속성장 가능한 바이오기업들이 많이 배출되고 성장하려면 지속 투자와 함께 기업이 터를 잡을 수 있는 공간확보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또 수도권으로의 인재유출을 막고 다른 지역에서의 인재유입을 활성화하기 위해 정주여건과 관련한 행정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20일 오전 9시 중도일보 스튜디오에서 열린 신천식의 이슈토론에서는 박영우 (주)와이바이오로직스 대표, 맹필재 바이오헬스케어협회장이 참여한 가운데 '(주)와이바이오로직스 상장! 의미와 교훈은?'을 주제로 이야기를 나눴다.
이 자리에서 박영우 (주)와이바이오로직스 대표는 "1997년 미국에서 2개의 항체가 FDA 승인을 받으면서 항체 분야가 주목받기 시작했으며, 최근에는 암, 류마티스 관절염, 자가면역질환 등 난치성 질환을 대상으로 한 항체신약 개발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며 "신약개발은 국내시장이 아닌 글로벌시장을 타깃으로 하기 때문에 전 세계적으로 경쟁력이 있으려면 독보적으로 우월한 기술력을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박 대표는 "바이오 벤처가 개발한 기술이 제품화가 되기까지는 수년의 시간과 수천억 원의 자본이 연구개발에 투자돼야 한다"며 "이러한 기술력을 갖춘 벤처가 지속성장을 하기 위해선 신약개발 파이프라인을 구축해 조기에 기술이전을 하거나 해당 기술이 필요한 기업과 공동으로 파이프라인을 구축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맹필재 바이오헬스케어협회장은 "코로나19 당시 모더나는 창업한 지 10여 년밖에 안 된 벤처기업이어서 생산공장이 없었다. 그러나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위탁생산 계약을 맺음으로써 코로나19 백신을 대량 생산해 전 세계에 빠르게 공급할 수 있었고 그 결과 지금처럼 성장할 수 있었던 것이다"고 강조하고 "대전에는 눈에 띄는 큰 바이오기업이 없다고들 폄훼하는 데 대덕연구단지에는 유능한 인재와 바이오 기술력을 갖춘 바이오벤처가 상당히 많다. 지속적인 투자 여건만 갖춰진다면 대전에서도 모더나와 같은 벤처가 나올 수 있다"고 말했다.
맹 회장은 이어 "보스턴이 세계적인 바이오클러스터를 갖췄다고 평가받는 데 대전이 보스턴을 많이 닮았다. 바이오산업을 키우는 데 최적의 도시다"고 말하며 "투자, 공간, 인재 등 인프라와 더불어 시민들의 관심도 필요하다. 지역벤처 주식사기 운동, 투자조합 가입 등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연구단지 내 '벤처 생태계'와 '시민 생태계'가 자본으로 연결되는 구조가 만들어지면 더욱 빠르게 성장할 수 있는 촉진제가 될 것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현옥란 기자 seven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