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다중이용시설 공공 와이파이'의 경우 공원?광장, 복지문화시설, 청년 밀집지역 등 시민이 자주 이용하는 공공장소에 설치되는데, 특히 사회복지시설에도 공공 와이파이가 설치되어 데이터 활용에 취약한 시설 거주인에게 무료로 와이파이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사회복지법인 천성원 산하시설인 노숙인 재활시설 '자강의 집'(이하 자강의 집)은 우리 주변에 일정한 거처 없이 몸과 마음이 병든 거리의 노숙인을 위해 밝은 미래를 꿈꿀 수 있도록 노력하고 일상생활지원과 건강관리, 프로그램을 지원하여 새로운 삶의 의욕을 되찾아 우리의 이웃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지원하는 노숙인 재활시설이다.
자강의 집에 거주하는 노숙인은 사회적응훈련, 정신과 치료, 재활작업 등 재활의 의지를 갖고 자립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가족이 없거나, 가족이 있지만 그들과 단절된 삶을 살 수밖에 없는 분들은 자강의 집에서 생활을 하며 밝고 희망찬 미래를 준비한다.
자강의 집에서 생활하는 노숙인은 자립을 하기 전까지는 공동체 생활을 하는데, 시설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나 TV 시청 등 즐길 수 있는 여가활동이 한정적일 수밖에 없다. 그나마 스마트폰을 갖고 있는 분들도 있지만, 경제적인 문제로 데이터 사용에는 제약이 있을 수밖에 없는데 이번 공공 와이파이가 설치되면서 온라인상의 다양한 콘텐츠를 즐길 수 있게 되었다.
자강의 집에 거주하고 있는 오○진 씨는 평소 선불폰을 사용하며 일정 금액을 충전하여 핸드폰을 사용하고 있는데, 데이터 사용량이 많을 때는 핸드폰 요금이 과도하게 부과되어 통신비의 부담이 과중되는 경우도 발생하였다. 또 다른 거주인 이○열 씨는 스마트폰의 데이터 사용에 부담을 느껴 인근 지역의 버스정류장에 설치된 '공공 와이파이'를 사용하기 위해 매일 외출을 하는 경우도 생길 만큼 데이터 활용에 취약한 상황이었지만, 이번에 공공 와이파이가 시설 내에 설치가 되면서 평소에 즐기던 유튜브나 온라인 게임을 비용 부담 없이 즐길 수 있게 되었다.
대전시에서 추진하는 '공공 와이파이' 사업 중 특히 이번과 같이 복지시설에 공공 와이파이가 설치된 경우는, 데이터 사용에 취약하고 소외된 분들에게 즐거움과 나아가 따뜻한 사회로 접속할 수 있는 희망을 안겨준 계기가 된다 할 것이다. 대전시 '공공 와이파이' 설치로 감사함을 느끼고 있는 자강의 집 거주인들에게는 특히나 즐겁고 활기찬 시설 생활로 밝은 미래와 자립을 위한 밑거름이 될 거라는 믿음을 가질 수 있게 했다.
<권주영 명예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