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제작 오페라 공연 무산에 창작 오페라 공모 문제까지 터진 예당은 언론의 질문에 해당 단체를 설득해보겠다는 답만 되풀이해왔다. 사태가 커지자, 11월 28일 예당은 해당 단체에 공연 의사에 대한 공문을 보내달라고 요청했다. 하루 뒤인 29일 단체에서 공연을 하지 않겠다는 공문을 회신하면서 사건은 일단락됐다.
단체에 따르면, 포기 의사를 밝힌 16일 이후부터 28일 전날까지 예당에서 연락 온 것이 단 한 번도 없었다는 거다. 예당이 정말 설득 의지가 있었는지 의문이 드는 지점이었다.
해당 공모사업은 대전 예술 단체 공연 지원, 지역 오페라 저변 확대를 위한 취지였다. 하지만 예당에서 기본계획도 세우지 않고 공모를 진행한 것이 문제의 발판이 됐다. 두 단체는 선정 후 당혹감을 드러내며, 사업비 배분에 따른 예산 부족을 호소했다.
결정적으로 계약이 늦어진 것이 컸다. 공연을 포기한 해당 단체는 앞서 공연계약이 늦어져 공문을 6차례나 보내기도 했었다. 예당에서는 두 단체가 결과에 대해 받아들이지 않고, 무리한 예산 요구를 해 계약이 늦어졌다고 이유를 설명했었다. 업무를 맡다가 중간에 퇴사한 예당 전 기획팀장 탓으로 돌리기도 했다.
예당이 민간 공연 단체였으면 이해가 됐겠다만, 무려 20년 된 공조직에서 발생할 문제는 아니었다. 이유에 대해 예당도 제대로 해명하지 못하는 모습이었다. 취재 과정에서 두 단체는 오히려 예당에서 갑질을 했다며 억울해하기도 했다. 공모에 참여한 단체가 이상한 단체로 낙인이 찍힌 거 같아 답답한 마음이 들기도 했다. 이를 포함해 예당 관련해 최근 잇따라 제보가 들어왔지만, 취재원 보호 때문에 기사화하는데 어려움이 따랐다.
요즘 지역 예술인들의 화살은 대전예당을 향해있다. 이 이유에 대해 예당에서 뒤돌아 생각해봤으면 좋겠다. 대전예당은 단순한 공연장이 아니다. 대전예술을 대표하고, 예술인들을 결집하는 상징적인 공간이다. 시간이 해결해줄 것은 아니다. 남 탓을 하며, 어물어물 넘어가기보단, 근본적으로 문제를 진단해봐야 한다. 제작오페라 무산에 대한 대전시 감사위원회 결과가 내년 1월에 나온다고 한다. 내년에는 예당이 쇄신하고 대전 대표 공연장으로서 좋은 모습을 보여줬으면 한다.
/정바름 정치행정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